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Situation Prediction Simulation for Navigation Information System of Ship

선박의 항행정보시스템을 위한 상황 예측 시뮬레이션 방안 연구

  • 이미라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전자통신공학부)
  • Received : 2010.08.29
  • Accepted : 2010.09.1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Modern marine navigation requires officers on the bridge to monitor a torrent of data on both the insides and outsides of the ship from numerous useful devices. But despite these tools, navigators can still find it difficult to make a safe decision for two reasons: one is that too much data if provided too quickly tends to cause fatigue and overwhelm the officer, and the other is that any inconsistency across data from several different types of devices can lead to confusion. Indeed, the fact remains that the many marine accidents can be attributed to human error, and hence there is a strong need for decision-support tools for marine navigation. One technique of providing decision support is through the use of simulation to evaluate or predict system dynamics over time using an accurate model. This paper, as a simulation method for risk prediction for a navigation safety information system of ship, suggests a navigation prediction simulation system using various knowledge bases and discrete event simulation methodology, and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system through the examples of components in a restricted navigation situation scenario.

최근의 현대화된 다양한 항해장비들로 인해 선박에 있는 항해사들은 위험상황 인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한 도구들에도 불구하고 항해사들은 여전히 안전항행을 위한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장비들이 제공하는 선박 내 외 상황에 관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는 항해사의 부담과 여러 장비 간 정보의 불일치성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해양 사고가 항해사의 부주의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행 상황의 일부 정보만을 제공하는 보조 장비를 넘어서 항해사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지원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은 의사결정을 지원 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며, 선박에서의 실시간 주변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및 예측 가능한 시스템은 항해사의 안전항행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은 선박을 위한 항행안전정보 시스템에서의 위험 상황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다양한 지식 베이스 및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방식을 활용한 시스템 전체 구성 방법을 제안하고 제한된 항행상황 시나리오에서의 구성 요소들의 예시를 통해 시스템의 타당성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연, 조대운, 이미라, 박계각, "정보융합 기술 기반의 지능형 항행안전정보 시스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 2010년. https://doi.org/10.5391/JKIIS.2010.20.2.226
  2. 1972 COLREGs 규정집
  3. 박병수, 안영섭, "ANOVA에 의한 해양사고의 통계 분석," 해양환경안전학회, 13(3), 2007년.
  4. Bernard P. Zeigler, H. Preahofer, and T.G. Kim, Theory of Modeling and Simulation,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2000.
  5. A.N. Ince and E. Topuz, "Modeling and Simulation for Safe and Efficient Navigation in Narrow Waterways," The Journal of Navigation, pp. 53-71, 2004.
  6. 이재식, 이준범, 오진석,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반복 항해 훈련이 선박 조종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해항만학회, 30(6), 2006년.
  7. Mira Yi, Gyei-Kark Park, and Jongmyeon Jeong, "DEVS Approach for Navigation Safety Information Syste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10.
  8. 강일권, 김형석, 김민석, "'72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을 고려한 충돌위험도 결정 시스템," 한국어업기술학회논문지, 45(2), 2009년. https://doi.org/10.3796/KSFT.2009.45.2.106
  9. 강성수, 이영일, 정희, "BK곱과 COLREGs에 기반한 지능형 선박의 충돌회피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논문지, 11(1), 2007년.
  10. "연안 통항로 해상교통 환경 평가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