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7(1); 2023 > Article
대형 조선소 내 자동화재탐지설비 종류별 오작동 사례 수집 및 시험분석을 통한 비화재보 원인 분석

요 약

비화재보의 발생은 화재 신호에 대한 불신을 증가시킨다. 특히, 대형 조선소에서 발생하는 비화재보는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감소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화재보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985건의 화재신호 발생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569건(58%)은 원인을 추적할 수 없는 이상 동작 및 원인불명이었다. 이를 제외하면 화기 작업 194건(20%), 수분 유입 92건(9%)이 주된 비화재보 원인을 차지하였다.

ABSTRACT

Non-fire alarms can increase the distrust of employees toward fire signals. In particular, occurrences of non-fire alarms in large shipyards reduce employees’ work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entaile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non-fire alarms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to derive a method to reduce non-fire alarms. Of the collected 985 fire signal occurrences, 569 (58%) were abnormal operations for which the causes could not be traced. Excluding these cases, 194 cases of hot work (20%) and 92 cases of water inflow (9%) accounted for the leading causes of non-fire alarm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화재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작동해야 하는 설비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이다. 이 설비는 화재를 감지하여 재실자들에게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알려서 신속한 피난과 초기소화를 돕는다. 그러나, 소방시설의 최전선에 있는 감지기의 잦은 비화재보로 인해 사람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비화재보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 원인에 대해서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화재보 발생 원인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소방청에서는 소방시설 오작동으로 인한 오인 출동 건수 통계 정도만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화재보험협회 등 안전 관련 기관에서도 부분적으로 조사⋅관리하고 있으며, 외부로 공개된 자료의 질과 양은 미미한 수준이다(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형 조선소 현장조사를 통해 비화재보 발생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비화재보 재발을 감소시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근무자들의 대피,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계된 생산설비 중단 등 비화재보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조선소 사업장의 비화재보 발생사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비화재보의 발생 원인, 발생 장소, 발생한 설비 등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비화재보가 발생한 감지기를 수거하여 감도시험 검사를 실시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2. 대규모 조선소 비화재보의 특징

2.1 대규모 조선소의 특수성

대규모 조선소에서는 제품 생산을 위해 화기 작업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사업장 내 생산 제품이 변경됨에 따라 설비 변경이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생산설비 변경 공사나 건축물 내외부 변경 공사가 진행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비화재보가 다른 특정소방대상물에 비해 자주 발생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잦은 오동작으로 인해 생산설비가 가동 중단되거나 경보로 인해 근무자들이 대피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생산력 저하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이는 회사 측에서 손실을 부담해야 한다. 만약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가 더 크거나 여러 건물의 특정소방대상물이 연결되어 있다면 비화재보로 인한 피해는 더욱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법적 기준에 의하면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특정 시설에서 지속적으로 비화재보가 발생한다면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화기를 직접 취급하는 제조업 사업장에는 열, 연기, 불꽃 등이 상시 존재한다. 그러나,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과 화기 작업 시 발생하는 것을 구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비 운영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설비를 운영하는 방법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비화재보를 유발하는 환경과 실제 화재 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2.2 비화재보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비화재보의 심각성과 개선방안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대두되었다. 이에 국내외 연구자들이 비화재보를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Kanakam 등(2)은 감지기에 다양한 센서들을 추가함으로써 비화재보를 구분하는 방법과 화재의 패턴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화재보의 입자 패턴을 구분하여 정밀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Festag(3)은 독일 소방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비화재보 감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독일에서는 화재속보시스템으로 인한 비화재보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비화재보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 원인을 명확하게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Seo와 Nam(4)은 아날로그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먼지 등으로 인한 비화재보를 예방하기 위해 비화재보 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제 화재인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Lee(5)는 연기감지기의 감지 원리와 종류에 따른 비화재보의 영향요인, 실제 현장에서의 연기감지기 운용실태 및 비화재보에 따른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감지기 설치기준과 시험 및 검사기준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Na(6)는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운영하는 문화집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공장, 근린생활시설을 각각 3개씩 총 15개소 사업장을 선정하여 비화재보 발생 요인을 파악하고,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 기상별로 발생빈도를 조사하였다.
이처럼 국내 연구자들 또한, 비화재보를 구별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화재보 발생 현황 및 법령 점검 등을 통해 비화재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처럼 비화재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으나, 일반화된 해결방안을 정의하기에는 아직은 무리가 있다. 더 많은 실증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비화재보 발생 원인 분석, 해결방안의 실효성 평가 등의 작업이 충분히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울산시에 위치한 조선소를 대상으로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조사하였다.

3. 비화재보 발생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

3.1 비화재보 조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선정한 현장조사 대상지는 대규모 조선소 사업장으로 건축물 130개동 연면적 합계 약 170만 m2 규모이며 주변에 해안을 접하고 공장 내에는 용접, 용단 작업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사기간은 2017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총 36개월이었다.
해당 사업장에 설치된 자동화재탐지설비에 구성된 기구로는 수신기 127개소, 발신기 2,767개, 감지기 14,220개이며, 감지기의 종류는 불꽃감지기(472개),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스포트형 감지기로 차동식감지기(7,937개), 정온식감지기(1,188개) 및 광전식감지기(4,623개)가 있었다. 현장조사 대상 사업장은 자동화재탐지설비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체 구역의 동작 신호 수집이 가능하다.
비화재보 분석을 위해서 해당 구역에 동작된 기구를 탐색하고, 발신기나 감지기에 부착된 LED의 점등 여부로 해당 기구가 동작하였음을 판단하였다. 동작된 기구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발신기 단자대에 회로 전압을 측정하여 비화재보 동작에 대한 경위를 분석하였다.
동작된 감지기가 확인되면 어떠한 이유로 동작이 되었는지, 감지기가 설치된 주변의 환경에 감지기를 동작시킬만한 요인이 존재하는지 조사하였다. 감지기 작동에 원인이 될만한 요인을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3.2절에 설명하였다.

3.2 비화재보 발생원인의 분류

비화보재가 발생한 발신기나 감지기의 작동 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가) 단락⋅파손: 감지기나 발신기의 불량, 부식, 공사 등으로 인해 파손 단락 되는 경우를 말한다. 동작된 감기지는 확인되지 않고, 화재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절연 불량 상황도 단락⋅파손으로 분류하였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다) 화기 작업: 용접, 산소절단, 가열 작업 등 실제로 작업 공정이나 공사 등으로 인해 필요한 화기 작업으로 열과 연기를 동반하여 주변의 감지기가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라) 흡연: 실내, 계단실 등 담배 연기를 화재로 인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현장에서 흡연을 하고 있거나 담배꽁초를 모아둔 흔적, 담배 냄새를 추적하여 분진 발생 상황과 구분하였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마) 화재: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비화재보가 아니지만 원인별 분류 항목에 포함하였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바) 고온 발생: 화기 작업이나 불꽃이 주변에 없지만, 평소보다 온도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로 고온 또는 고온 증기 등에 의해 작동한 경우를 말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사) 분진 발생: 생산 공정 중에 발생하는 다량의 먼지 등이 부유하여 감지기가 작동한 경우를 말한다. 비화재보를 확인하여 현장에 도착하였을 때, 분진이 남아 있는 경우는 육안으로 판단하였으며, 분진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변의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원인을 추적하였다.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거나 작업 공정상 다량의 분진을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아) 수분 유입: 감지기나 배관에 수분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기 하부에 물방울이 맺혀있거나 감지부를 조사하였을 때, 물기가 발견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또한, 우천 시에 건물 내에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도 해당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자) 이상 동작: 감지기의 LED가 점등되어 육안으로 동작된 감지기가 확인되었으나, 주변에 감지기를 작동시킬 만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 (나) 발신기 누름: 화재가 아님에도 실수로 동작시키거나 다른 비화재보 신호로 경보음이 울려질 때 동작시키는 경우, 자재나 물건 이동 중 부딪혀 눌려지는 경우, 고의적으로 동작 시켜 화재 신호를 일으키는 경우가 해당된다.(차) 원인불명: 수신기의 지구 회로에는 화재신호가 감지되었으나, 현장에서 확인한 결과 동작된 감지지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985건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 사례를 대상으로 위의 10가지 발생 원인으로 분류하였다.

4. 비화재보 발생현황 및 원인 분석

4장에는 2017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동작한 985건의 사례를 분석하여 비화재보가 발생한 기구, 발생 원인, 발생 장소 등을 기준으로 분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4.1 기구별 비화재보 발생 현황

자동화재탐지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기구별 비화재보 발생 건수를 Figure 1에 정리하였다. 차동식감지기(differential heat detector), 불꽃감지기(flame detector), 광전식감지기(photoelectric smoke detector), 미확인(unconfirmed), 정온식감지기(temperature heat detector), 선로(line), 발신기(transmitter) 순서로 비화재보 발생 빈도가 잦았다.
Figure 1
Number of false alarms by equipment (N, %).
kifse-37-1-51-g001.jpg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한 985건 중에서 781건(약 79%)이 감지기에서 비화재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감지기에서의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원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감지기 종류 및 개수별 비화재보 발생 현황을 분석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Table 1
Ratio of False Alarm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Installed Detectors by Detector Type
Installed Number False Alarm Occurrence Ratio (%)
Flame Detector 472 195 41.3
Temperature Heat Detector 1,188 85 6.9
Differential Heat Detector 7,937 319 4.0
Photoelectirc Smoke Detector 4,623 182 3.9
Table 1의 내용에서 의하면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발생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꽃감지기의 경우에는 주로 20 m 이상의 공장동에 설치되어 주로 화기 작업에 의해 동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화기 작업이 수행되는 장소에는 불꽃감지기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온식감지기의 경우에는 차동식감지기나 광전식감지기보다 비화재보 발생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온식감지기가 주방과 같이 고온이 발생하거나 수분 유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소에 많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동식 및 광전식 감지기보다 비화재보 발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4.2 비화재보 발생 원인별 현황

3.2절에서 정의한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 사례 985건을 원인별로 분류하여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Number of False Alarms by Cause
Number of Occurrence Ratio (%)
Abnormal Operation 421 42.8
Fireworks 194 19.7
Cause Unknown 148 15.0
Water Inflow 92 9.3
High Temperature Occurs 46 4.7
Short Circuit, Breakage 34 3.5
Dust Generation 21 2.1
Press the Transmitter 19 1.9
Smoking 6 0.6
Fire 4 0.4
Total 985 100.0
감지기 동작 LED가 육안으로 확인이 되었지만 어떤 요인에 의해 감지기가 동작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를 이상 동작(abnormal operation)으로 정의했다. 이상 동작이 42.8%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다음으로 화기 작업(fireworks)이 19.7%, 원인불명(cause unknown)이 15.0%를 차지하였다. 원인불명은 수신기에 신호는 들어왔지만 감지기 동작 LED가 미확인되거나 현장에서 아무런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원인불명” 사례는 원인을 추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하지 않았다.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는 “이상 동작” 사례는 4.4절에서 별도로 설명하였다.
“화기 작업”에 의해 발생한 비화재보의 건수는 194건이다. 이 중 불꽃감지기에서 179건(92%), 광전식감지기에서 12건, 차동식감지기에서 3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지는 용접 작업을 자주 실시하는 대형 조선소 사업장이다. 감지기 부착 높이가 20 m 이상일 경우에는 선택할 수 있는 감지기의 종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불꽃감지기 사용 비율이 높다. 화기 작업에 의한 불꽃용접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산소절단 불꽃이 화재신호로 그대로 감지되어 비화재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 유입”에 의한 비화재보는 92건이다. 이는 월별 강수량과 비교해 본 결과(Figure 2),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 유입이 증가하여 비화재보 발생 건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2
Comparison of rainfall and number of false alarms due to water inflow by month.
kifse-37-1-51-g002.jpg
“고온 발생”의 경우에는 사무실 28건, 식당 12건, 기계실 5건, 창고 1건으로 조사되었다. 사무실에는 난방기구, 식당에서는 주방의 조리기구, 기계실에서는 발전기 등에 의해 비화재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락, 파손”에 의한 비화재보는 34건이 조사되었다. 이 중 19건은 공사 중 단락, 절연불량 8건, 기구 불량 5건, 배관파손 2건으로 조사되었다. 사무실 내 구획 변경, 공장 내 설비 변경 중 작업자의 실수로 선로 및 배관을 단락, 파손하면서 수신기를 작동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분진 발생”의 경우는 모두 광전식감지기에서 비화재보가 발생하였으며, 먼지가 많이 쌓이는 공간에 압축공기를 사용하였을 때, 다량의 먼지가 부유하여 감지기를 작동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발신기 누름”은 버튼을 보호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보호판을 적당한 힘으로 눌러서 설비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발신기가 눌러진 이유는 3가지로 추정된다. 먼저, 다른 비화재보로 발신기 경종이 울려진 경우에 작업자가 발신기 버튼을 누른 경우, 노동자 파업 중인 근무자에 의해 버튼을 누른 경우, 위의 경우를 제외한 단순 실수를 말한다. 발신기 누름 19건 중 고의로 추정되는 것은 11건이다.

4.3 장소별 비화재보 발생 현황

발생 건수를 기준으로 공장(factory), 사무실(office), 식당(cafeteria), 계단(stair) 순으로 비화재보 발생건수가 많다. 대형 조선소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공장과 사무실의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이를 장소별 감지기 설치 개수별 비화재보 발생 건수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식당, 공장, 주차장(parking lot), 계단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내용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Table 3
Ratio of False Alarm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Installed Detectors by Location
Installed Number False Alarm Occurrence Ratio (%)
Factory 3,179 350 11.0
Office 5,598 301 5.4
Cafeteria 658 98 14.9
Stair 1,160 85 7.3
Warehouse 1,698 77 4.5
Machine Room 1,377 45 3.3
Parking Lot 227 18 7.9
Restroom 323 11 3.4
Total 14,220 985 -
식당은 제조업 사업장 내 단체 급식을 실시하는 식당, 주방, 세척실 등으로 식당 내 조리실의 조리기구 등에 의한 고온 발생, 집기류 및 주방 내 물 세척 및 조리 시 수분 유입이 비화재보의 주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당과 같은 습한 환경 조건일수록 비화재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장에서는 화기 작업이 빈번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화재보가 자주 발생하며, 주차장의 경우에는 건물 내 주차공간, 주차장 전용 건물 등에는 냉난방 설비가 없어서 외기가 그대로 유입된다. 또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에 인한 습기 및 연기로 인해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4 감지기 이상 동작의 원인 분석

현장조사에 의해 수집된 985건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 사례 중에서 실제 화재사례 4건을 제외한 981건이 비화재보 사례이다. 이 중에서 421건(약 43%)이 이상 동작에 의한 비화재보이다. 이렇게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인의 원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먼저, 감지기 종류별로 이상 동작 발생 비율을 분석하였다. 정온식감지기의 이상 동작 발생 비율이 비교적 높았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다(Table 4).
Table 4
Number of Abnormal Operation Occurrences per Detector Type
Installed Number Number of Abnormal Operations Abnormal Operation Ratio (%)
Temperature Heat Detector 1,188 55 4.6
Differential Heat Detector 7,937 244 3.1
Photoelectirc Smoke Detector 4,623 122 2.6
Total 13,748 421 -
다음으로 발생 장소별 이상 동작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상 동작 발생은 사무실에서 187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지만 감지기 설치 개수를 고려하였을 때, 발생 비율은 3.3%이다. 반면에 식당에서는 발생 비율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5).
Table 5
Number of Abnormal Operation by Location
Installed Number False Alarm Occurrence Ratio (%)
Factory 2,740 35 1.3
Office 5,598 187 3.3
Cafeteria 658 56 8.5
Stair 1,160 54 4.7
Warehouse 1,665 45 2.7
Machine Room 1,377 21 1.5
Parking Lot 227 15 6.6
Restroom 323 8 2.5
Total 13,748 421 -
4.2절에서 비화재보 발생 원인을 분석할 때, 수분 유입도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조사 대상지의 월별 평균 습도와 이상 동작 발생 건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략적으로 평균 습도가 비교적 높은 7∼9월에 이상 동작에 의한 비화재보가 잦은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3).
Figure 3
Comparison of mean humidity and number of false alarms due to abnormal operation by month.
kifse-37-1-51-g003.jpg

5. 결 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비화재보는 장소, 환경, 감지기 종류 등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발생된다. 비화재보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응성이 높은 감지기로 변경하고 화재로 오인할 만한 것을 제거하는 등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용접, 용단 작업과 같은 화기취급 공간에 화재감지기에 대한 실효성 검토와 감지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전체 985건의 화재신호 중 습도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이는 이상 동작(421건), 수분 유입(92건)으로 전체 발생률의 52%가 습도와 수분으로 인하여 비화재보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감지기종류,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기존 스포트형 감지기를 방수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비화재보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후 기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1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본 논문은 제 1저자의 학위논문(7)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E. H Hwang, S. J Park and S. E Lee, “A Study on Mistaken Dispatch Reduction Measure due to Unwanted Fire Alarm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4, No. 6, pp. 23-30 (2020), https://doi.org/10.7731/KIFSE.be0e09b6.
crossref
2. P Kanakam, S. M Hussain and A. S. N Chakravarthy, “Electronic Noses:Forestalling Fire Disasters:A Technique to Prevent False Fire Alarms and Fatal Casualti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omputing Research (ICCIC), (2015), http://doi.org/10.1109/ICCIC.2015.7435629.
crossref
3. S Festag, “False Alarm Ratio of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in Germany-A Meta Analysis”, Fire Safety Journal, Vol. 79, pp. 119-126 (2016), https://doi.org/10.1016/j.firesaf.2015.11.010.
crossref
4. B. K Seo and S. G Nam, “Study of the Improvement of False Fire Alarms in Analog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5, pp. 108-115 (2016), https://doi.org/10.7731/KIFSE.2016.30.5.108.
crossref
5. S. S Lee,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moke Detector for Unwanted Alarm in Korea”,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eajeon, South Korea, (2016).

6. S. W Na, “An Analysis of Occurrence Frequency of False Fire Alarms on Specific Objects Targeted for Fire Prevention Law Focused on Seocheon-gun”,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South Korea, (2019).

7. S. W Kim, “A Cause Analysis of False Alarms i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t a Manufacturing Plant”,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2021).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1,169 View
  • 52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Fire Sci. En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