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ternational Engineering Market Focusing on Engineering/Consulting Delivery System

엔지니어링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유망국가 분석 - 시장 현황 및 입낙찰 절차를 중심으로 -

  • 김상범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곽현준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12.17
  • Accepted : 2013.01.03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Domestric Construction & Engineering market has been long in recession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ies consequently looks at overseas construction markets where relatively more construction projects are constantly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Korean engineering companies to keep the pace with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various construction related date and stat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from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re closely reviewed. Investigation of preliminary data and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draw remedies for their overseas expansion. Moreover, it is attempted to classify foreign markets as the Asia, Africa and etc. (Europe, North America/the Pacific and Latin America) to provide the list of first target countries and its regional market information focusing on their bidding system. This study had tried to show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bidding procedures between Korea and the selected countries to suggest measures of improvements for the domestic bidding system.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policy recommendations to meet the requirement of bid qualification to advance the global market that was suggested with validated clustering bidding data.

장기화되어가는 세계 경제위기와 더불어 내수시장은 침체의 덫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필연적으로 국내 건설업계는 대규모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주되고 있는 해외 건설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시공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의 기업들은 그나마 해외시장의 개척에 성과를 얻어가고 있으나, 중소 규모의 업체 특히 규모가 영세하고 해외 실적이 부족한 엔지니어링 업계는 해외시장 진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시장에 기진출한 경험이 매우 적거나 앞으로의 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업체들을 위하여 해외시장 진출의 기초 정보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외 건설시장 진출을 위해 관련기관 및 유관단체의 선행연구와 건설 엔지니어링 업체들의 건설통계자료를 수집하고, 그 진출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분석을 수행했다. 해외시장을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기타(유럽, 북미 태평양, 중남미)지역 등으로 구분하고 각 권역별로 진출 유망국가를 선정하여 최종 선정된 국가의 입낙찰 관련 제도 정보를 중심으로 개괄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외 해당국가들의 사업 입찰시 자격요건 충족 및 입 낙찰절차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입 낙찰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분석은 해외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의 기초정보 확보에 합리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율.김한성.박복영.황주성.홍수연 (2006), "우리나라 대외원조정책의 선진화방안: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 ODA의 개혁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상범, 김재욱, 이정대(2008), "엔지니어링입.낙찰제도해외 사례 벤치마킹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2D호, pp.249-258.
  3. 박환표.박상훈.조문영 (2004),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대외 경쟁력 저하원인 분석을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 건설관리, 제5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01-109.
  4. 박환표.신은영 (2006).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베트남 진출전략", 건설관리, 제7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98-108
  5. 이승우 (2004), "공공공사 입.낙찰제도의 현황과 효율적 운영 방안; 최저가 낙찰제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 장시복(2008),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세계 경제의 위기", 사회경제평론 제31호, 한국사회경제학회, pp.77-108
  7. 장현승.최석인.현준식 (2005), "해외 엔지니어링 시장진출을 위한 선진 엔지니어링 업체의 사업구조 혁신전략 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8. 정진팔.박문선.김용수 (2007), "건설공사 입.낙찰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대한주택공사의 발주공사를 중심으로" ,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9. 조문영.이교선.박환표.신은영.박상훈.윤영주.김종현 . 김태엽.박형원.박민우.김태완.권율.박복영.지만수.조현준.권경덕.오동윤.배희연(2003),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엔지니어링 핵심기술개발 연구: 건설엔지 니어링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지세현.이현수.박문서.송상훈 (2006), "국내 공공공사 발주 및 낙찰제도 개선방안; 미국, 영국, 일본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367-373
  11. 최봉건.박성제.조훈희(2006), "국내건설엔지니어링입.낙찰 제도 개선방안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12. 최준열.전락근.김재준(2006), "해외건설 실적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시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09-117

Cited by

  1. Improvement of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vol.17, pp.6,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6.031
  2. Hierarchical Structure Analysis of Engineering Competitiveness in Overseas Construction vol.32, pp.8, 2016, https://doi.org/10.5659/JAIK_SC.2016.32.8.35
  3. CM Prospects and Strategies Based on Contract Statistics : 1997 through 2014 vol.17, pp.5,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5.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