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4); 2023 > Article
천연 추출물이 포함된 모발 관련 제품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erging trends in hair-related natural materials. For the methode of studying, text mining was carried out utiliz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software R studio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s. With the use of this, we were able to extract the document's essential phrases and identify those that appeared frequently. As a result, the phi coefficien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terms with relatively high relevance as well as the groupings linked with "natural," "extract," "hair loss," "damage," "dyeing," and "growth." Six categories were constructed in the correlation network graph,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categories with the greatest concentration among them were hair growth, hair damage, and hair dyeing. The publishing type, year of publication, study method, and research subject of theses and journal theses were examined u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Trends were also discovered, and variations in research themes by year were compared and stud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quantity of papers in the topic of beauty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7, and this rise in quantity demonstrates the field's development on the academic front. Among these, it was discovered that a number of dyeing-related study results were linked to a number of dyeing-related negative effects. With regard to the study methods frequently employed in the beauty industry, the majority of papers on effect studies, characteristic studies, and impact studies—all of which were readily available—were relatively few in comparison to the number of clinical studies and actual condition studies, both of which had limited research progress. This demonstrates that although research topics are fairly equally dispersed throughout articles on different subjects, the development of study method inside the academic system is biased rather than uniform. In conclusion, investigations on natural substances that are effective on hair are increasing steadily between 2001 and 2021. This demonstrates how the view of natural materials is improving across a variety of areas and how actively research is being done to determine their usefulness.

I. 서 론

웰빙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로 인식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예전에는 외모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사회적 현상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인위적인 외모 개선에 주력했지만, 이제는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감성적 소비와 건강한 생활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를 만족시키기 위해 가치 소비 문화를 추구하며 소비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미적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미용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화장품 산업은 특히 인간의 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독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화장품 산업이 발전하면서 생산이 용이한 합성 화학 물질들이 대량 생산되어 우리의 삶의 편리함을 제공하였지만, 화학물질에 포함된 독성 물질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Song, 2019).
이처럼 오늘날 화학물질이 지니고 있는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친환경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 소재에 대한 제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대중화되고 있다. 천연 소재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원료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Lee, 2009). 천연 소재는 화학물질에 비해 빠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성을 고려해 볼 때 안정성을 가지며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이 강점이다. 특히 모발 화장품은 우리 실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지속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자극이 적고 기능성이나 효능이 증명된 소재를 찾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Park, 2018).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중심으로 인체의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로부터 벗어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모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리 활성 성분의 천연 소재와 그 성분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Kim, 2012). 이와 같이 천연 소재는 미용 산업뿐만 아니라 우리의 실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문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미용 분야에서도 시대적 흐름에 맞춰 빅데이터를 활용한 동향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모발에 관련된 선행논문에 따르면 모발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Kim & Hwang, 2014). 헤어미용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Lee et al., 2014) 등과 같은 연구가 진행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 대부분 실태를 바탕으로 동향을 분석하는 경향은 보이고 있으나 모발과 관련하여 천연소재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로 인해 모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시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천연소재 사용에 대한 동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키워드를 활용하여 동향을 연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특정 분야에서 진행되어진 유사한 연구들의 특성 및 구조를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이 중에 시각화 기법은 기존 분석 기법에서 더 나아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월하게 인식하고, 직관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도표의 일정한 패턴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동향과 일정한 범위에서 벗어난 분별된 결과도 빠르게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 2022).
이에 본 연구는 모발 개선을 위해 안전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이 포함된 모발관련 제품에 대한 연구물의 동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단어 간의 유사성 및 연관성을 파악하고, 단어들이 형성한 군집의 형태 안에서 의미와 역할을 보기 쉽게 해석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시각화하였다. 또한 연구물의 게재 형태, 발표 연도, 연구 방법, 연구 주제에 대한 수치화된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모발 화장품 개발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모발 미용분야 연구동향 선행연구

모발과 관련된 미용분야 연구동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존의 학위논문·학술지 문헌을 기반으로 계량서지학적 접근을 통해 특정 분야마다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로 현재까지 미용 추세를 파악 할 수 있다. Lee et al.(2014)은 분석된 단어체계와 헤어 미용교육·산업·과학·심리가 미용 산업에 적용되는 방법에 대한 동향 분석을 위해 1960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 2001년을 기점으로 발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육수준 인식에 따라 고객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 Na(2014)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원에 수록된 헤어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학위논문을 분석한 결과 논문의 발표수 증가는 대학교의 미용관련 학과의 개설과 상관성이 있으며, 미용은 현대인들의 외적 자기관리에 대한 관심이 소비 및 생활패턴의 변화로 나타나 미용 산업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Kim & Hwang(2014)는 모발 관련 논문의 지적연구 속성에 대한 계량서지학 분석 결과 모발연구 및 산업은 건강적인 측면과 외모 이미지 등 현대인들의 웰빙 선호 경향에 따라 미용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KIm(2020)는 지난 20년간 미용 분야의 이론 및 실무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견인한 ㈔한국인체미용예술학외의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수록된 792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2012년에서 2015년을 성장기로 보고 미용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 중에서도 ‘헤어’를 중점으로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Cha et al.(2016)은 한·중 미용분야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을 분석한 연구로 키워드 ‘헤어’라는 단어를 검색하여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에는 중국에서 미용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한국의 헤어미용의 교육이 발전됨에 따라 더 많은 미용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미용과 관련하여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연구 현황만을 고찰하여 편중성을 갖는 한계점이 있다. 모발과 관련된 학문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융합연구와 새로운 소재의 접근과 같은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계량 서지학적 분석

보편적으로 학문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관련 분야 연구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량화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기록된 문헌 정보의 구조를 고찰 및 분석하는 학문의 분석 기법을 계량서지학 분석법이라 한다. 일정 기간까지 실행되어 이루어낸 연구 결과를 근거하여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학문으로 활용한다(Kim et al., 2013). 계량서지학(Bibliometrics)이란 명칭은 1969년 발표된 프리처드(Alan Pritchard)의 논문에서 최초로 적용된 사례 이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계량서지학에 대해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지만 공통적인 견해를 종합해보면 특정 문헌 자료를 수량학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문헌에서 표출되는 정보의 속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정의한다(Lee, 2016). 계량서지학을 대표하는 연구방법은 인용빈도법(Citation frequency)과 서지결합법(Citation coupling) 그리고 동시인용분석(Co-Citation analysi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용빈도법은 인용분석에서 최초로 이용된 분석법으로 정해진 기간동안 특정 문헌이 활용된 정도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서지결합법은 복수의 문헌이 공통된 인용문헌을 포함할 때 문헌들 사이의 공유하는 주제를 가지고 있다고 파악하여 서지적으로 중복되는 결합 횟수가 많을수록 관련 문헌의 주제가 유사하다고 예측한다. 서지결합법은 단어에 얽매이지 않아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대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동시인용법은 두 편의 논문이나 두 저자에 대한 동시인용빈도가 높아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는 가정 하에 관계 정도를 활용한다. 특정 분야의 속성과 구조를 고찰하고 규명하여 역사와 현재까지 흐름을 밝히고 미래 발전 방향을 짐작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Sin, 2009). 또한 해당하는 주제 영역의 동향과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기에 적정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주제 영역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계량서지학 분석법은 수집된 자료의 정보를 검토 및 분석하여 문헌에 나타난 단어들을 추출하고 단어들 간의 상호 유사성을 규명하여 의미를 내포하는 대표 단어를 선출한다. 선출된 단어의 동시인용빈도를 측정하여 해당 분야의 중심적인 연구주제와 지식 구조를 파악 할 수 있다(Lee et al., 202).

III. 내용 및 방법

1. 분석방법 및 절차

1) 자료수집

본 연구는 현재 발표된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하기 위해 대학원 과정에서 미용 관련 전공이 개설되기 시작한 2001년을 기준하여 200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1년간 발표된 논문을 국한하였으며 2022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의 일정기간 검색기간으로 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모발관련 제품에 대한 국내 연구물 동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검색법을 이용하였다. 천연 추출물을 관련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회지 논문을 수집하였다. 문헌검색의 키워드는 ‘천연 모발’, ‘모발 추출물’, ‘모발 화장품’, ‘손상 모발’, ‘텍스트 마이닝’ 5개로 하였으며 검색 과정에서 1225편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그중 연구 주제와 중점 된 내용을 자세히 검토하여 미용 및 모발과 관련성이 없는 분야의 논문 481편을 삭제하고, 중복으로 검색된 논문 235편을 삭제하여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학위논문 253편, 학술지 256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총 50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 147편, 박사학위논문 106편이였고, 학술지 선정대상 논문이 발표된 학술지는 한국미용학회지(62편)가 가장 많았고 대한미용학회지(22편), 한국인체미용예술학(20편) 순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방법을 사용할 때 정확한 빈도 분석의 결과를 위해 전체 논문 509편에서 국문 초록이 제공되지 않은 237건의 논문을 제외하고 272건의 논문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얻었다.
분석의 시기는 세부적으로는 연구물 발표가 활발하지 않은 전반기로 구분한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를 1기, 2007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를 2기, 성장세가 시작하는 시기로 후반기로 구분한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를 3기, 2017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를 4기로 기간을 나누어 발표 연도를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게재 형태는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으로 분류하였고, 연구 방법은 크게 효과분석, 영향분석, 비교 분석, 실태조사, 임상 연구, 특성 연구로 총 6개 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 주제 분류는 509편의 연구물을 기준하여 염색, 퍼머넌트, 두피, 손상 개선, 트리트먼트, 모발 성장 총 6개 범주로 구분하였다(Gu & Kim, 2021).

2) 키워드 정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수집된 509편의 논문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중복을 제외하고 총 3,293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정확성을 위해 형태소 분석 작업 과정을 실시하였다.명사를 제외한 조사, 부사, 형용사 등 불필요한 단어를 정제 처리하여 두 음절 이상의 단어만 추출 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에서 영문으로 표기된 주제어는 한글로 변경하였고 수집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데이터에서 ‘논문’, ‘연구’, ‘결과’, ‘확인’ 등 내포하는 의미가 동일한 키워드는 네트워크의 구조적 분석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어 삭제하였고, ‘추출물’, ‘추출액’과 같은 유의어는 ‘추출’로 통일 하였고 ‘헤어’를 ‘모발’로 ‘매염제’를 ‘매염’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천연염료’, ‘모발염색’, ‘개선효과’ 등은 띄어쓰기를 하는 것으로 불명확한 개념을 구분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수집한 데이터 정제 기준은 Table 1과 같다(O, 2022).

3) 분석방법

분석은 공개 프로그램인 R Studi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R Studio는 통계 컴퓨팅, 그래픽스를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R의 통합 개발 환경(IDE)이다. 진행한 데이터 분석 방법은 네트워크 내에서 단어 구조를 공간적으로 나타냄으로써 단어와 연관된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분석이 가능한 점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를 통해 워드클라우드 및 시기별 키워드 순위를 파악하였다. 또한 중심을 이루는 주제에 대해 형성된 군집을 시각화하여 파이계수 네트워크와 연결 중심성 빈도분석, 상관관계 네트워크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등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Na, 2022; Lee et al., 2019). 또한 게재 형태, 발표 연도, 연구 방법, 연구 주제를 각각 조사하여 연도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편수의 동향을 이해하고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의 동향 및 연도별 연구 주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은 Excel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에 대한 키워드 분석

1) 워드 클라우드

상위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보다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워드 클라우드를 이용하였다. 국문 초록이 제공되어 있는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논문 자료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부을 용어 단어를 제외하고 단어 빈도 50회 이상 출현한 단어를 분석하여 워드 클라우드로 나타낸 결과는 <Fig. 1>과 같다.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모발(2429건)이었으며, 추출(1320건), 효과(993건), 염색(918건), 증가(665건), 측정(628건), 손상(621건), 순으로 나타났다.

2) 시기별 키워드 순위

Table 2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1기부터 4기까지 꾸준히 염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대중매체 진보의 영향을 받아 컬러 시장이 발달되는 것을 시작으로 염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본격적인 화학 염모제가 보급되며 자연스럽게 보편화되며 성장하게 되었다. 이후 개성을 표현하는 시대를 맞아 절대적 조건으로 정착하게 되면서 무분별한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해 부작용 및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기에는 염색을 제외하고 다른 시기와 구별된 키워드 ‘미녹시딜’, ‘탈모’, ‘성장’과 같은 모발 성장에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 단어에 포함되어 있다. 미녹시딜이란 탈모치료제에 사용되는 약제로 이 시기에 탈모에 관련된 질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후 2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단어는 ‘추출’, ‘관찰’, ‘대조’, ‘두피’ 등이 있었는데 이중 ‘추출’이라는 단어의 순위가 상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기와 4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단어 중 부분적으로 유사한 단어들이 있었는데 ‘측정’, ‘증가’, ‘사용’, ‘손상’, ‘트리트먼트’, ‘대조’ 등의 단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사한 키워드는 물리·화학적으로 인해 모발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언급되는 키워드로써 천연물로 대체하여 모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3) 파이계수 네트워크 막대그래프

파이 계수(Phi coefficient)란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각각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 나타낸 지표이다. 파이 계수를 이용하여 어떤 단어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지와 그에 비해 자주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을 상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파이 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난 그래프의 장점은 관련성이 큰 단어들로만 연결되어 그룹이 명확하게 나타나 파악하기 쉽다(Kim, 2021). <Fig. 2>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천연’에는 염료와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염모제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염착, 매염, 색소, 추출, 온도, 농도, 염색 순으로 나타났다. ‘추출’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된 단어들이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항산화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활성, 농도, 천연, 세포, 발현, 탈모, 실험 순으로 나타났다. ‘탈모’에는 효험과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성장이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모낭, 촉진, 발현, 세포, 양성, 도포, 활성 순으로 나타났다. ‘손상’에는 모발 보호와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인장강도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시술, 표면, 트리트먼트, 탈색, 큐티클, 보호,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염색’에는 모발염색과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염모제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소, 매염, 색상, 염착, 온도, 천연, 모발 순으로 나타났다. ‘성장’에는 모발 성장과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 그룹을 이루었으며 모낭이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발현, 촉진, 탈모, 양성, 세포, 활성, 대조 순으로 나타났다.

4) 연결 중심성 빈도분석(동시 출현 네트워트)

서로 연관된 단어들의 관계를 살펴보는 분석 방법을 동시 출현 단어 분석(co-occurrence analysis) 이라하며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통해 단어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동시 출현 네트워크(co-occurrence network)라고 한다. 네트워크 그래프는 특성상 무수한 단어들을 나타내는 형식으로 어떤 단어를 기준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난해하다. 이러한 면에서 동시 출현 네트워크는 연관된 단어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함께 사용되었는지 이해하기 쉬우며 연결 중심성과 커뮤니티를 표현할 수 있어 단어 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결 중심성이란 연결된 노드와 노드가 어느 정도 밀접하게 연결되는지 나타내는 값으로 노드가 빈번하게 연결될수록 자주 사용되어지는 단어라 판단 할 수 있으며 단어 간의 관계가 밀접하여 노드가 빈번하게 연결된 집단을 커뮤니티라고 한다(Kim, 2021).

5) 상관관계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는 사용자가 직관적 활용이 가능한 그래픽 처리 기술의 하나로 효과적인 표현과 의미 있는 데이터의 발견에 용이하다. 네트워크 그래프는 여러 단어와 자주 함께 사용된 단어들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네트워크 그래프에서는 파이 계수를 이용하여 자주 사용된 단어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어들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나타난 두 단어가 관련성이 클수록 에지(edge)가 진하게 표현되어 두 단어의 관련성을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Kim, 2021). 상관관계 분석 결과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6개의 군집을 이룬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게 모발 성장을 관련하여 ‘모낭’, ‘탈모’, ‘촉진’, ‘발현’, ‘세포’ 등 단어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중 ‘성장’이라는 단어와 ‘촉진’, ‘모낭’, ‘탈모’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모발 손상과 관련하여 ‘인장강도’, ‘큐티클’, ‘모 표피’, ‘트리트먼트’, ‘굵기’ 등 관련되어 있는 단어들 또한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중 ‘퍼머넌트’와 ‘웨이브’, ‘전처리’와 ‘후처리’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색과 관련된 ‘염착’, ‘매염’, ‘색소’, ‘온도’, ‘염모제’ 등 연관된 단어들이 밀집되어 있었으며 이중 ‘염착’과 ‘색소’, ‘온도’와 ‘매염’은 서로 연관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단어의 수는 다소 적지만 ‘첨가’와 ‘제조’, ‘탈색’과 ‘시료’, ‘증가’와 ‘감소’와 같이 상호관계성이 높은 단어와 함께 결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에 대한 동향

1) 발표 연도 및 게재 형태별 논문 편수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의 게재 형태 및 발표 연도를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논문은 2001년 이후 21년간 학위논문 253편(49.71%)과 학회지 논문 256편(50.29%)이 발표되었다. 학위논문 253편 가운데 박사학위 논문은 104편(41.11%) 석사학위논문은 149편(58.89%)으로 석사학위논문이 많았지만 확연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물의 발표 연도 시기로 분류하면 1기에는 총 29편(5.70%)으로 학위논문 12편(2.36%)과 학술지 논문 17편(3.34%), 2기에는 총 114편(22.4%)으로 학위논문 62편(12.18%)과 학술지 논문 52편(10.22%), 3기에는 총 177편(34.77%)으로 학위논문 90편(17.68%)과 학술지 논문 87편(17.09%), 4기에는 총 189편(37.13%)으로 학위논문 89편(17.49%)과 학술지 논문 100편(19.64%)이 발표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1기를 기점으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모두 점진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기와 3기 발표 수에 따르면 학위논문의 분량이 전반적으로 많아 학술지 논문 발표수와 확연히 차이가 날것으로 짐작했지만 4기에 학술지 논문의 분량이 증폭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기로 구분된 1기에는 2000년 이후 대학원이 설립되기 시작하면서 시기적으로 정착하지 못한 구조로 연구 발표 물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2기를 기점으로 점차적으로 미용 전공이 증가됨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Nam(2015)은 인체에 유해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화학성분으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Kim(2013)은 미용 분야에서도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고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후반기로 구분된 3기에는 안전성으로 인해 논점이 되고 있는 천연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이 미용 분야에서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모발 화장품을 주제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과 연관성이 깊다고 할 수 있다. 4기도 마찬가지로 연구 성과가 동일하게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의 양적 증가는 미용 분야의 성장이 거듭됨과 동시에 웰빙 문화의 발달함과 함께 천연 추출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천연 소재에 대한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연도별 연구주제 동향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의 연도별 연구주제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과 같다. 연구물의 연도별 연구주제로 분류하면 1기는 29편(5.70%) 중에서 염색이 17편(3.34%)으로 가장 많았고, 모발 성장 4편(0.79%), 손상 개선 3편(0.59%), 트리트먼트와 두피는 각각 2편(0.59%), 퍼머넌트 1편(0.20%) 순으로 나타났다. 2기는 114편(22.40%) 중에 염색이 46편(9.04%)으로 가장 많았고, 모발 성장 31편(6.09%), 손상 개선 13편(2.55%) 두피 10편(1.97%) 트리트먼트 8편(1.57%), 퍼머넌트 6편(1.18%) 순으로 나타났다. 3기는 177편(34.77%)으로 염색이 54편(10.61%)으로 가장 많았고, 손상 개선 28편(5.50%), 모발 성장과 퍼머넌트가 각각 27편(5.31%), 트리트먼트 22편(4.32%), 두피 19편(3.73%) 순으로 나타났다. 4기는 189편(37.13%) 중에서 염색이 50편(9.82%)으로 가장 많았고, 모발 성장 39편(7.67%), 트리트먼트 38편(7.47%), 손상 개선 37편(7.26%), 두피 13편(2.55%), 퍼머넌트 12편(2.36%)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기부터 4기까지 염색에 대한 모든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Lee(2020)의 염색에 대한 실태와 만족도 및 위험 지각에 관한 연구 중에 염색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 염색 후에 모발과 두피 등 다양한 부작용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시사함과 또한 Kim(2017)은 염모제의 부작용에 대해 모발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염모제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연관성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모발 성장에 대한 연구물은 2기부터 폭발적인 증가세를 이룬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Sin(2014)의 논문에 관련하여 현재 탈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인체에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장기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탈모에 관해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 대체 물질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나고 있다. 두피 관련 연구물의 꾸준한 증가세도 이와 관련이 깊음을 시사하고 있다. 손상 개선과 트리트먼트에 대한 연구물 또한 점차 높아지는 두드러진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연도별 연구 방법 동향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의 연도별 연구 방법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연구물의 연도별 연구 방법으로 분류하면 1기는 29편(5.70%) 중 특성 연구가 13편(2.56%)으로 가장 많았고, 효과 연구 10편(1.96%), 비교 연구와 영향 연구가 각각 3편(0.59%) 순으로 나타났다. 2기는 114편(22.40%) 중 효과 연구가 50편(9.83%)으로 가장 많았고, 특성 연구 33편(6.48%), 영향 연구 24편(4.71%), 비교 연구 4편(0.79%), 실태 연구 3편(0.59) 순으로 나타났다. 3기는 177편(34.77) 중 효과 연구가 90편(17.68%)으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향 연구와 특성 연구가 각각 37편(7.27%), 실태 연구 8편(1.57%), 임상 연구 3편(0.59%), 비교 연구 2편(0.39%) 순으로 나타났다. 4기는 189편(37.13%) 중 효과 연구 93편(18.27%)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 연구 51편(10.02%), 특성 연구 34편(6.68%), 실태 연구 6편(1.18%), 비교 연구 5편(0.98%)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기를 제외한 2기부터는 연구 방법 중 효과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음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관련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1기부터 특성 연구와 영향 연구가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천연 소재의 고유한 특수 성질이 어떠한 작용으로 모발에 효과 및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에 비해 양적으로 미흡해 보이는 임상 연구는 아무래도 안전성과 유효성을 직접 인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연구 방법인 만큼 안전성에 대한 논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다른 연구 방법에 비해 연구물이 적음을 볼 수 있다.

4) 연구주제와 연구 방법 동향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의 연구주제 및 연구 방법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와 같다. 효과 연구는 234편(47.7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 연구는 117편(22.99%), 영향 연구는 115편(22.60%), 실태 연구 17편(3.35%), 비교 연구 14편(2.75%), 임상 연구 3편(0.60%)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효과 연구는 총 234편(47.71%)으로 모발 성장이 61편(11.9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상 개선이 55편(10.81%), 트리트먼트가 28편(5.50%), 염색이 32편(6.29%), 퍼머넌트가 31편(6.09%), 두피가 16편(3.14%) 순으로 나타났다. 특성 연구는 총 117편(22.99%) 중 염색이 107편(21.02%)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리트먼트와 손상 개선이 각각 3편(0.58%), 두피 2편(0.39%), 모발 성장과 퍼머넌트가 각각 1편(0.20%) 순으로 나타났다. 영향 연구는 총 115편(22.60%)으로 모발 성장이 32편(6.29%)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피 21편(4.13%), 손상 개선 20편(3.92%), 염색 16편(3.14%), 트리트먼트 15편(2.95%), 퍼머넌트 11편(2.16%) 순으로 나타났다. 실태 연구는 총 17편(3.34%)으로 두피가 6편(1.1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발 성장 5편(0.98%), 염색과 손상 개선이 각각 2편(0.39%), 퍼머넌트와 트리트먼트가 각각 1편(0.20%) 순으로 나타났다. 비교 연구는 총 14편(2.75%)으로 염색이 11편(2.16%)으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리트먼트 2편(0.39%), 퍼머넌트 1편(0.20%)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 연구는 총 3편(0.59%)으로 모발 성장이 2편(0.39%), 트리트먼트가 1편(0.20%)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로써 임상 연구는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며 연구 진행이 제한적인 분야로 다른 주제에 비해 세분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누적 편수가 적음을 볼 수 있었고, 효능연구와 영향 연구는 그에 비해 제시하는 연구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연구 방법이라는 점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발표되었다. 특성 연구에서는 염색 분야에 집중되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은 생리 활성 및 특성에 따라 그 기능성과 견뢰도가 상이하므로 세부적인 다양한 연구가 주를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모발과 관련된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물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유사한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들의 범주를 파악하고 학문 및 학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동향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발표 연도, 게재 형태, 연구 방법 및 연구주제 등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발표된 천연 소재에 대한 핵심주제와 세부 영역을 이해하고 동향을 고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모발 관련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물과 그에 따른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천연 소재 관련한 연구의 실정을 검토하고 연구 분야를 탐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2001년부터 1월부터 2021년까지 1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 및 학회지 논문 509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먼저 데이터 분석 결과 워드 클라우드에서 나타난 상위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살펴보면 모발과 관련하여 천연소재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어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모발 손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지각하고 천연 소재에 대한 인식이 전향하는 경향으로 볼 수 있다.
첫째, 시기별 키워드 순위 결과를 보면 1기부터 4기까지 염색에 대한 키워드가 상위 단어에 포함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모발에 관련하여 염색에 대한 시술이 오래전부터 소비자들의 생활 속에 정착하여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세부적으로 1기에는 탈모라는 질환에 대한 연구로 모발(hair), 미녹시딜(minoxidil), 효과(effect) 등 모발 성장에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 단어에 포함되어 있었고, 2기에는 점차적으로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염색(dyeing), 추출(extraction), 처리(process) 등 이와 관련된 단어들이 차츰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기와 4기에 등장하는 키워드가 유사하였는데 천연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파이계수 네트워크 막대그래프 결과에서 키워드 ‘천연’은 염모제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추출’에서 항산화라는 키워드 사용이 많은 이유는 천연 추출물에서 다양한 항산화 성분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르는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탈모’에서 성장이라는 키워드 사용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탈모라는 질환을 치료하는 근본과 모발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으며, ‘손상’에서 키워드 인장강도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모발 손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인장강도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염색’에서 키워드 염모제와 ‘성장’에서 키워드 모낭 사용의 높은 빈도는 두 단어의 상관 관계성의 높음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라 볼 수 있다.
셋째, 파이계수 네트워크 막대그래프 결과에서 ‘천연’, ‘추출’, ‘탈모’, ‘손상’, ‘염색’, ‘성장’은 밀접하게 관련된 단어들로 각각 그룹을 이루었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전반적으로 빈번하게 연결되지 않아 군집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단어와 단어가 서로 연결되어 관련성을 이루고 있음을 상관관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판단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물을 발표 연도별로 분류 후 분석한 결과 전반기인 1기(2001년-2006년)를 제외한 2기(2007-2011년)부터는 1기와 비교해 보았을 때 114편(22.40%)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꾸준히 나타내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물의 양적 증가는 미용 분야의 학문적 성장과 천연 소재를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인해 시장성이 넓어짐과 동시에 그에 따른 요구를 충족하고자 모발 화장품에 대하여 천연소재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확대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본 논문에서 연도별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염색에 대한 연구결과가 확연하게 많은 것은 화학제품으로 인한 부작용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정성 및 기능성이 검증되어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과 시의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연도별 연구 방법을 분석한 결과 효과 연구와 특성 연구, 영향 연구 이 세 가지 연구 방법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연구 분야에 비해 접근성이 용이하고 대중적인 확산세가 유지되고 있는 만큼 천연 소재 분야와 연관 가능성이 높은 연구 방법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임상 연구 및 실태 연구는 논문 발표수가 현저히 근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모발 관련 천연 소재의 사용 실정의 근본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연구주제 및 연구 방법을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주제의 논문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그에 비해 연구 방법은 효과 연구와 특성 연구, 영향 연구에 편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모발과 관련된 다양한 천연소재가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비해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연구물이 전무한 실정으로 이후에는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한 설계의 연구물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임상실험에 대한 분량이 상대적으로 극히 적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실태와 제품화의 가능 여부에 대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실태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많은 분야에서 실질적인 사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데 미용 산업 현장에서 천연소재를 통해 모발 손상을 완화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채취한 모발에서 효능을 검증하여 얻은 긍정적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임상실험이 이루지는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Fig. 1.
Research paper keyword word cloud.
JKSC-2023-29-4-925f1.jpg
Fig. 2.
Pi coefficient network histogram.
JKSC-2023-29-4-925f2.jpg
Fig. 3.
Co-occurrence analysis.
JKSC-2023-29-4-925f3.jpg
Fig. 4.
Correlation network graph.
JKSC-2023-29-4-925f4.jpg
Table 1.
Data Processing Standards
Division Method Example
delete search word word spacing, study, result, confirmat
integrated similar concept extract
hair
mordant
alter word spacing naturaldyestuff → natural dyestuff
hairdyeing → hair dyeing
improvement effect → improvement effect
Table 2.
Keyword Ranking of Research Papers by Period
Rank 2001-2006 2007-2011 2012-2016 2017-2021
1 hair hair hair hair
2 apply dyeing extraction extraction
3 dyeing effect dyeing effect
4 minoxidil extraction effect confirmation
5 effect process process measurement
6 hair loss observation increase increase
7 growth contrast procedure dyeing
8 treatment use damaged use
9 combination scalp use damaged
10 damaged growth measurement treatment
Table 3.
Periodic Information of Research Trend
Division Dissertation Thesis % Journal %
lperiod 2001-2006 0 12 2.36 17 3.34
2period 2007-2011 23 39 12.18 52 10.22
3period 2012-2016 40 50 17.68 87 17.09
4period 2017-2021 41 48 17.49 100 19.64
sum 253 (49.71) 256 (50.29)
total 509 (100)
Table 4.
Relationship Between Year and Research Topic Publication Type
Division Research topic Dissertation % Journal % Sum (%)
1period dyeing 6 1.18 11 2.16 29 (5.70)
permanent 0 0.00 1 0.20
scalp 2 0.39 0 0.00
improvement 3 0.59 0 0.00
treatment 0 0.00 2 0.39
hair growth 1 0.20 3 0.59
2period dyeing 20 3.93 26 5.11 114 (22.40)
permanent 3 0.59 3 0.59
scalp 7 1.38 3 0.59
improvement 10 1.96 3 0.59
treatment 3 0.59 5 0.98
hair growth 19 3.73 12 2.36
3period dyeing 24 4.72 30 5.89 177 (34.77)
permanent 11 2.16 16 3.14
scalp 14 2.75 5 0.98
improvement 13 2.55 15 2.95
treatment 13 2.55 9 1.77
hair growth 15 2.95 12 2.36
4period dyeing 16 3.34 34 6.48 189 (37.13)
permanent 4 0.79 8 1.57
scalp 8 1.57 5 0.98
improvement 13 2.55 24 4.71
treatment 24 4.72 14 2.75
hair growth 24 4.72 15 2.95
sum 253 (49.71) 256 (50.29)
total 509 (100)
Table 5.
Relationship Between Year and Research Method Publication Type
Division Research method Dissertation % Journal % Sum (%)
lperiod effect 5 0.98 5 0.98 29 (5.70)
characterist 2 0.39 11 2.17
comparison 2 0.39 1 0.20
clinical 0 0.00 0 0.00
influence 3 0.59 0 0.00
reality 0 0.00 0 0.00
2period effect 29 5.70 21 4.13 114 (22.40)
characterist 15 2.94 18 3.54
comparison 1 0.20 3 0.59
clinical 0 0.00 0 0.00
influence 15 2.94 9 1.77
reality 2 0.39 1 0.20
3period effect 39 7.66 51 10.02 177 (34.77)
characterist 19 3.73 18 3.54
comparison 0 0.00 2 0.39
clinical 2 0.39 1 0.20
influence 25 4.91 12 2.36
reality 5 0.98 3 0.59
4period effect 47 9.23 46 9.04 189 (37.13)
characterist 12 2.36 22 4.32
comparison 3 0.59 2 0.39
clinical 0 0.00 0 0.00
influence 24 4.91 27 5.11
reality 3 0.59 3 0.59
sum 253 (49.71) 256 (50.29)
total 509 (100)
Table 6.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of Research Topic
Division Research method Dissertation % Journal % Sum (%)
Effect research permanent 11 2.16 20 3.93 234 (47.71)
dyeing 11 2.16 21 4.12
scalp 13 2.55 3 0.59
improvement 20 3.93 35 6.87
hair growth 37 7.26 24 4.72
treatment 27 5.30 21 4.12
Characterist research permanent 1 0.20 0 0.00 117 (22.99)
dyeing 43 8.44 64 12.57
scalp 1 0.20 1 0.20
improvement 2 0.39 1 0.20
hair growth 0 0.00 1 0.20
treatment 1 0.20 2 0.39
Influence research permanent 5 0.98 6 1.18 115 (22.60)
dyeing 7 1.38 9 1.77
scalp 15 2.95 6 1.18
improvement 13 2.55 7 1.38
hair growth 19 3.73 13 2.55
treatment 9 1.77 6 1.18
Comparison research permanent 0 0.00 1 0.20 14 (2.75)
dyeing 6 1.18 5 0.98
scalp 0 0.00 0 0.00
improvement 0 0.00 0 0.00
hair growth 0 0.00 0 0.00
treatment 0 0.00 2 0.39
Clinical research permanent 0 0.00 0 0.00 3 (0.6)
dyeing 0 0.00 0 0.00
scalp 0 0.00 0 0.00
improvement 0 0.00 0 0.00
hair growth 1 0.20 1 0.20
treatment 1 0.20 0 0.00
Reality research permanent 0 0.00 1 0.20 17 (3.35)
dyeing 1 0.20 1 0.20
scalp 3 0.59 3 0.59
improvement 2 0.39 0 0.00
hair growth 3 0.59 2 0.39
treatment 1 0.20 0 0.00
sum 253 (49.71) 256 (50.29)
total 509 (100)

References

Ban, H. J. (2015). Manufacture of hair-caring cosmetic products utilizing physiological vitalization function of Taraxaci herba and their hair protection eff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1-2.
Moon, S. H., & Lee, J. S. (2016). A Bibliometric Approach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and Chinese Hairdressing-related Studie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 1153-1159.
Choi, J. S., & Jin, B. S. (2018). Preparation of Hair Treatments Containing Flaxseed oil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Hai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9(4), 297-314.
crossref
Choi, J. S., & Jin, B. S. (2019). Hair Protection Effects of Hair Conditioner Containing Shea But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2), 593-605.
crossref
Choi, M. S. (2014). Application of the Earthworm Autolyzate on the Acid Permanent of Dyed Hai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
Gang, D. K. (201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f Finger root (Boesenbergia pandurata) and Shampoo manufacturing utilization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3.
Gu, J. H., & Kim, K. E. (2021). The Analysis of Semi-permanent Make-up Study Trend.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1), 13-15.
Hong, S. G. (2006).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reatment and Hair Damaged by Chemical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
Jo, E. S. (2021).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air treatments using Walnut and Hempseed Oils on hair impro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
Kim, C. H.. (2012). Natural bioactive substances Seoul, Yuhansa.
Kim, J. S., Kim, E. Y., & Yu, M. G. (2013). Bibliometric Analysis on Nail Beauty Research Trend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7(2), 57-72.
Kim, J. S., Park, G. W., & Kim, J. S. (2016).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List o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3), 175-188.
crossref
Kim, J. S., & Hwang, D. Y. (2014). A Bibliometric Study of Research Trends in Hai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5(2), 123-138.
Kim, S. M., & Na, M. S. (2014). Research Paper : A Study of Current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Hairdressing.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2), 319-326.
Kim, S. H. (2020).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7), 122-130.
Kim, S. H. (2020).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1(3), 127-141.
crossref
Kim, S. H. (2012).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natural hair essences based on oriental medicine raw materi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2.
Kim, S. H.. (2004). natural dyeing Gwangj, Sun Bijyeon.
Kim, Y. U.. (2021). Do it! Easy to learn R text mining Seoul, Easy.s. Publishing.
Lee, G. E. (2020). Actual Condition, Satisfaction and Risk Perception of Dyeing in Hair Salon and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1-5.
Lee, J. R. (2012). A study on natural hair dye made with black soybea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mbu University, Kwangju, 1.
Lee, O. G. (2009). The Natural Hair Dyeing using Extracts of the Pueraria thunbergiana Roo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3.
Lee, M. H., Kim, G. J., & Kim, J. S. (2020). Bibliometric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Field of the Coffee: Focusing on Domestic Graduate Thesis.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9(1), 234-236.
crossref
Lee, S. S. (2011). study on the effects improvement of hair using autolysate of lugworm Marphysa sanguin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81-82.
Lee, S. Y., Kim, J. S., & Yun, C. S. (2014).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field of Hair Beaut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8(2), 43-63.
Lee, Y. R. (2016). Bibliometrical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s Research Trend related to Make-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7-20.
Na, J. H. (202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Beauty Theses Journal and News Using Big Data 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3-12.
O, M. N. (2018). Preparation of hair treatment containing rosemary extra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1-2.
O, Y. G. (202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kin Ca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 1308-1317.
crossref pdf
Park, B. G. (2017). The effect of functional water on hair during chemical trea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1.
Park, S. H. (2018). Study on the effect of hair toner formulated with Rubus occidentailis [sic] L. extract on damaged hai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1.
Shin, B. S. (2014). A study on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pine-needle extra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15.
Sin, S. H. (2009). A Study on the Selection of Key Law Journals through Citation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15.
Song, Y. N. (2019).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for hair using prescription of Bookkyoungohsuba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ju Woman's University, Kwangju, 1.
Yu, S. E., & Kang, S. M. (2009). Study on Development and Retentive Force of Hair Conditioner using a Earthworm Autolysate - Centering around the bleached hair.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7(4), 239-25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