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7 No.2 pp.152-162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2.7.152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Sex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ang-Wook Park1, Haeng-Mi Son2, Joo-Hyeon Kim3, Hye-Jin Park3, Hye-Seon Byun3, Mi-Soob Jang3, Hye-Ji Heo3, Do-Kyeong Ko4
1Nusery Teacher, UNIST Child Education Center, Ulsan, Korea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3Master's Degree Student, Graduate School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4Ulju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Childcare Expert, Ul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Son, Haeng-Mi https://orcid.org/0000-0002-5165-4536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Korea.
Tel: +82-52-259-1239, Fax: +82-52-259-1236, E-mail: sonhm@ulsan.ac.kr
September 20, 2022 ; October 17, 2022 ; October 31, 2022

Abstract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eachers'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Methods: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Record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Alth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childre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parting sex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Teachers lacked confidence because they themselves had not received proper education related to teaching sex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methods and materials were lacking and outdated, and the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when sexual behavior problems occur in children.


Conclusion:

Systematic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sex education and to communicate smoothly among them.



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육 경험

박 상 욱1, 손 행 미2, 김 주 현3, 박 혜 진3, 변 해 선3, 장 미숲3, 허 혜 지3, 고 도 경4
1UNIST어린이집 보육교사
2울산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3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석사학위과정
4울주군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전문요원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모가 증가함에 따라 보육기관에서 영 유아 보육이 증가하고 있다. 보육교사는 영유아 성장발달 단계 와 교육적 환경 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영유아의 중 요한 대안 애착의 대상인 보육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 고 있다[1,2].

    최근에 성역할 고정관념을 갖기 쉬운 영유아의 정신적·신체 적 성장이 빨라지고 있어 영유아의 성정체감과 올바른 성역할 개념을 정립하고 성폭력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영유아기에 성 교육을 제공하는 조기 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4].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교육부, 그리고 여성가족부는 영유아 의 성행동 문제 대응과 올바른 성인식 정립을 위해 2020년부 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영유아 성교육 담당자’를 지정하고 유아 성 행동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매뉴얼 제공과 성교육 시스템을 마련하였다[5]. 이와 같이 보육기관에서 성교육 시행 을 의무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 육에 대한 책임과 의무, 그리고 그 영향력이 증가되고 있음을 시 사한다.

    양질의 성교육은 성 발달, 생물학적 건강, 자기 조절과 안전, 대인관계, 정체성, 의사소통기술,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탄력 성, 의사결정, 사회적 성, 도덕/윤리적 가치관과 같은 측면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6]. 그러므로 내실있는 영유아 대 상 성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보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성교육 실태 파악과 함께 성교육 시행의 중심에 있는 보육교사 의 태도와 인식, 그리고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 등을 파악 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현재 보육현장에서 성교육에 대 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적극적인 역할과 실천이 필 요함에도 불구하고[7] 보육교사들은 성교육 실행에 대한 어려 움과 자신감 결여를 호소하고 있어[8,9] 성교육의 질과 효과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국내외적으로 아동의 성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은 편으 로 교육의 주체, 교육방법, 교육자료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국내 영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 는 2000년 이후 상당히 증가하였다[10]. 구체적인 연구 주제는 교사들의 성교육 인식과 실태[8,9,11-15], 아동 성폭력의 실태와 예방 교육[16,17]과 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18,19] 등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양적연구들로 보육교사들은 성교육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적절한 교구와 교육방법의 부재, 부모와의 갈등을 주요 연구결 과로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양적연구결과들은 보육교사들이 직접 영유아에게 성교육을 제공하면서 느끼거나 생각했던 경험 의 탐색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융통성이 있 어 질적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질적주제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가 영유아와의 생활 속에서 실행했던 성교육 경험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성인식 개선, 보육교사의 요구를 반 영한 영유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정책 수립에 도움 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육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 고 기술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이며 직접 보육에 참여하 고 있는 담임교사 18명이었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은 20대 9명, 30대 5명, 40대 4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자 4 명 미혼자 14명이었고 학력은 대학원졸 2명, 대졸 12명, 전문대 졸 4명이었다. 보육교사 경력은 1년 미만이 3명, 1~5년 미만이 6명, 5년 이상~10년 미만이 7명, 10년 이상 2명이었고 담당반 은 0세반 2명, 1세반 8명, 2세반 4명, 3세반 1명, 4세반 1명 5세 반 2명이었다(Table 1).

    3. 자료수집

    연구자들은 연구참여자 선정을 위해 연구자의 직장동료 보 육교사 또는 지인들로부터 보육교사를 소개받아 개별적으로 접촉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 한 자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개별 심층면담을 통 해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편안 해 하는 장소인 어린이집, 식당, 카페 등에서 이루어졌다. 면담 은 1시간 정도 진행되었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하였다. 면 담 질문은 ‘어린이집에서의 성교육 경험에 대해 말씀해 주세 요’이었고, 부가적인 질문으로 ‘성 하면 떠오르는 생각이나 이 미지는 무엇인가요?’,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성 관련 이상행 동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요?’, ‘성교육시 겪는 문제점이나 어 려움은 무엇인가요?’, ‘실무자로서 성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은 무엇인가요?’ 등을 준비하였다. 자료는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 였는데 더 이상 새로운 면담 내용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수집하 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0월~12월이었다.

    4. 자료분석

    면담을 시행한 연구자가 면담 내용을 직접 필사하였다. 연 구자들은 참여자가 말한 그대로 필사된 면담 내용을 녹음된 내 용과 비교하여 반복적으로 들으면서 필사자료의 정확성을 확 인하고 오류가 있는 부분은 수정하였다. 자료분석은 Braun과 Clarke [20]이 제시한 질적주제분석을 적용하였다. 먼저 수집 된 자료와 친밀해지기 단계에서는 연구자 개개인이 필사본에 집중하여 필사본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주제와 관련된 단어 나 문장에 밑줄을 그었다. 두 번째 초기 코드 생산하기 단계에 서 연구자들은 그룹토의를 통해 각자가 파악한 자료의 의미를 공유함으로써 전체 자료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논의 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자들은 각자가 의미있다고 파악한 자료 들을 모아서 유사한 것끼리 분류하고 명명하여 초기 코드를 생 산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주제 찾기 단계에서 연구자들은 그룹 토의를 통해 생성한 초기 코드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 면서 유사한 개념끼리 그룹화하였고 그룹화된 코드들의 관련 성을 검토하면서 추상성이 증가한 잠정적인 하위주제와 주제 를 추출하였다. 네 번째 단계인 주제 검토하기 단계에서는 추출 된 하위주제가 전체 자료와 부합하는지 검토하면서 유사한 하 위주제들을 정련하고 하위주제들의 관련성을 확인하면서 추 상성이 증가된 개념으로 주제를 도출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인 주제 명명하기 단계에서는 전체 자료에 대해서 각 주제의 의미 를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주제로 명명하였고, 마지막 단계 인 보고서 작성하기 단계는 연구결과를 독자에게 제시하는 글 쓰기 단계로 보육교사의 성교육 경험을 생생하게 드러내어 독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인용구를 적절히 인용하면서 연구자의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 연구의 타당성 확보

    본 연구에서는 Guba와 Lincoln [21]의 질적연구의 평가기 준에 따라 진실된 가치, 적용가능성, 일관성, 중립성을 확보하 고자 노력하였다. 진실된 가치는 연구가 현상을 얼마나 생생하 고 충실하게 서술하고 해석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본 연 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실제를 반영하기 위해서 면 담을 녹음하고 정확히 필사하였고 연구결과를 일부 연구참여 자와 공유하여 연구결과에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이 왜곡없 이 적절히 드러내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적용가능성 확보를 위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보육현장에서도 본 연구결과가 적 용될 수 있도록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배경과 보육교육 경력을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일관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들은 질적주 제분석 연구방법 단계를 충실히 이행하고 연구과정과 절차를 상세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층면담 질문지 작성, 자료 수집과 분석, 연구결과 기술을 포함한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 구자들의 반복적인 검토와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중립성 확보 를 위해 공동연구자 대부분이 보육교사라는 점을 고려하여 면 담과 자료분석 과정에서 공동연구자 각자가 성찰을 통해 사전 지식 및 선경험을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연구자들은 면 담과정에서 적극적 경청자로 임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자들 은 수집된 원자료들의 정확성과 자료분석 과정에서 연구참여 자들의 피드백은 물론, 질적연구 전문가와 논의하였고, 그리고 동료 보육전문가들과의 의견교류 및 논의를 통해서 중립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6. 윤리적 고려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연구참여 의사를 구두로 동의받았다. 또한 개인적인 정보와 경험에 대한 면담내용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익 명성과 사적인 비밀유지, 연구참여의 자발적 철회 가능성, 잠 금장치를 한 컴퓨터에 자료보관, 연구 종료 후 자료의 파기 등 윤리적 고려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연구참여자에게 소정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연 구 결 과

    연구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에 대한 성장발달을 고려하여 보육기관에서의 조기 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러나 참여자들은 성교육 의무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최소한의 교육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열악한 교육현장의 문제점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였고 자신들의 성교육 역량 부족에 대해 불안해 하 였다.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의 역량강화와 부모들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하였다(Table 2).

    1. 현장과 동떨어진 성교육

    참여자들은 영유아들의 발달에 따른 성에 대한 호기심과 성 행동 문제에 대한 염려로 성교육을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내용보다 형식에 치우치고 있는 성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1) 해야만 하는 성교육

    영유아기는 발달 특성상 자신의 몸을 인식하고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는 시기이며 사회적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가하고 있어 참여자들은 영유아기 때부터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참여자들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 복적이고 지속적인 성교육은 영유아들의 성장발달에 긍정적 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관심 가질 때 그 영아나 뭐 유아나 마찬가지로, 그 친구 가 관심 가질 때가 제일 효과가 좋을 것 같아요. 아무래도 그 친구가 관심 있어 하는 부분이니까 그 때가 제일 교육 적으로 효과가 좋지 않을까 싶어요.(참여자 I)

    저희 반 아이들은 물론 말을 못할지라도 계속 들으면 들을수록 효과는 나중에라도 분명히 있을 거고 그게 지속 적으로 이어져야 나중에도 관심을 보인다고 생각을 하거 든요. 그래서 그럼 지금부터 이어져야 하고⋯(참여자 M)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교사의 말에 절대적인 믿음을 보 이는 영유아에게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성교육을 한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영유아에게 올바른 성지식과 태도를 교육 함으로써 영유아들의 성 관련 문제행동 발생을 예방하는데 도 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아이들은 제가 말하는 거를 바로 듣고 선생님이 저렇게 얘기 했으니까 저게 맞는 거구나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아이들이라서 사실은 저도 그 부분에 대해서도 조심스럽 고, 생각을 많이 하고 아이들한테 좀 알려주는 편인 것 같 아요.(참여자 Q)

    그런데 참여자들의 성교육에 대한 사명감 이면에는 성교육 에 대한 법적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 혹은 어린이집 평가지표 를 의식하여 성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의무감도 있었다. 참 여자들이 성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 않고 의무이기 때문 에 한다고 언급하고 있어 자발적인 동기보다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별하게 관심이 있다기보다는 이제 교육 때문에 필요 하니까, 교육목적으로 그때그때 교육할 때만 자료 찾아가 지고 성교육하고 그랬던 것 같아요. 특별하게 제가 관심 을 가지지 않고 있고 그때 그때 의무라서.(참여자 I)

    2) 형식만 있고 내용이 없는 성교육

    참여자들은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영유아 대상 성교육은 보육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규정이라고 하였다. 참여 자들은 성교육의 내용보다 법적 기준에 따라 규정된 시간을 채 우는데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 보육현장에서 다양한 업무를 해야 하는 참여자들은 다른 업무에 비해 성교육은 우선 순위가 떨어진다고 하였다.

    어린이집에서 솔직히 이런 교육 말고도 할 게 많으니까 선생님들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 같아 요.(참여자 B)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교육이나 성행동 문제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점을 성교육 수행의 어려움으로 지적하 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부모님과의 면담 시 발생하게 될 갈등을 책임질 조직이나 인적자원이 없어 힘들어했다. 문제발생시 교 사인 참여자들이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은 부당하며, 조직적인 차원에서 명확한 책임이 필요하고 가정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당연히 교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이를 한정을 하면 안 되죠. 가장 중요한 건 가정이고, 가정에서 기인한 것들 이 또 많을 테고, 그래서 한정한다는 건 절대로 안 되는 말 인 것 같은데⋅⋅(웃음) 우선은 책임이 있을 수도 있죠. 이렇 게 어린이집에서나 이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는 일이니까 그렇긴 한데.. 그거는 다 같이 부모뿐만이 아니고 어떻게 보면은 지역사회, 매체 모든 것들이 다 같이 책임을 져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참여자 C)

    2. 교사들의 감춰진 불안과 불평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보육교사가 된 이후로 전문적인 성교 육 방법과 성교육 매뉴얼을 전달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성교육 에 대해 자신감이 부족하였다. 교육현장과 동떨어진 성교육 관 련 자료들은 영유아의 발달상태에 적합한 교육을 하기 어려웠 다. 더구나 성행동 문제 발생 시 부모와의 소통과 부모의 태도 가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이었다.

    1) 준비되지 않은 교사의 성교육 역량

    참여자들은 성교육은 주제 자체가 다루기 부담스럽다고 하 였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성교육을 받아본 경 험이 없었고 성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이야기를 나 누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다. 이들은 영유아가 표현하는 성행동 에 개입하는 자체가 조심스럽고 예민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였 다. 그렇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 관련 질문에 대해 적절한 답변이 어렵고 교육방식에 대해 스스로 의문을 가지거 나 불안하였다.

    저는 어렸을 때 그런 이야기를 잘 못 듣고, 교육을 받지 않고 자랐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아이들 앞에서 약간 그런 애정하는 부분이나 그런 드라마에서 볼 때 약간 저도 약간 살짝 부끄럽고 아이들한테 그냥 방에 들어가 이렇게 얘기 하는 편도 좀 있었어요.(참여자 A)

    또한 영유아와 성인의 사고방식과 생각의 발상이 다르기 때 문에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 관련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당혹감 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더구나 동료 교사들마다 성교육에 대 한 인식이 달라 동료들과 생각을 나누고 대화하기도 힘들었 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할 도움을 원하였다.

    아이들은 내 생각과 다르게 조금 아이들의 발상은 조금 다른 거니까 거기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이게 올바 른 건가 올바르지 않은 건가 아이들은 순수한데 약간 성인 의 생각, 사고방식과는 조금 달라서 그 답변이 올바른 건 지에 대해서는 이게 맞나 싶었던 게 있었던 것 같아요.(참 여자 K)

    참여자들은 성교육과 관련하여 스스로 전문성이 부족함을 느꼈다. 참여자들은 표준화된 교육자료나 매뉴얼이 없어 자신 들의 경험위주의 교육이 영유아에게 부정적인 교육효과를 가 져오지 않을까 우려하였다.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자위행동, 다 른 성을 가진 친구의 신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같은 성행동 문제 및 성교육의 어려움에 직면하였을 때 즉각적인 도움을 받 을 수 있는 성교육 전문가나 전문기관과 같은 조력자가 필요하 였다. 참여자들은 성교육 전문기관에서 성교육을 진행한 후 아 이들이 성에 관해 올바른 단어를 사용하는 등 긍정적으로 변화 된 모습을 보고 전문기관의 지원의 중요성을 절감하였다.

    단 그 최근에 뭐지? 세이브더 칠드런? 굿네이버스? 라 는 그 기관에서 성교육을 한 번 해 주신 적이 있었는데, 지 난주에⋯ 그때 평소에 친구들이 그런 걸 계속 알려줘도 약 간 확실하게는 하지 못하고 자기들이 평소에 사용하는 그 런 단어를 사용해서 약간 신체 부위를 이렇게 얘기를 계속 했었거든요. 아무리 알려줘도⋯ 습관적으로⋯그런데 그 선생님께서 오셔서 확실하게 강사님께서 진짜 신체 부위 랑 똑같은 인형을 보여주시면서 이렇게 설명을 해주시니 까 그 뒤로부터는 친구들이 조금씩 그런 걸 사용하려고 하 는 것 같아요.(참여자 A)

    2) 교육자료 부족

    참여자들은 주로 동화나 그림자료 등의 시청각 자료 및 인형 을 사용하여 성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집 내에 비치 되어 있는 성교육 자료들은 시대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해마 다 반복해서 사용되고 있어 적절한 성교육 자료를 선택하는데 한계를 느꼈다. 참여자들은 시대의 흐름이 반영된 다양한 성교 육 자료와 영유아의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구체적인 사례 중심 의 맞춤형 자료가 필요하였다. 참여자들은 보육교사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한 표준화된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여주 기식 교육이 아닌 내실있는 교육이 제공되기를 원했고 영유아 의 성행동 문제 발생 시 대처나 부모상담, 관련 행정처리에 도 움이 되는 매뉴얼의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제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다고 했는데 지금 봐도 조금 자료가 옛날 자료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조금 사회 에 맞게 사회 변화에 따른 그런 자료들이 활성화되고.(참 여자 K)

    저희가 아동들한테 어떻게 대처하고 어떻게 답변을 줘 야 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정확한 매뉴얼이 아동 상 호작용만큼이나 저희에게 갖춰져 있지는 않다는⋯(참여 자 P)

    3) 부모의 아동의 성행동 문제 외면

    가정은 영유아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면서 영유아에게 영향 을 미치는 곳이다. 참여자들은 부모의 성에 대한 보수적인 고 정관념이나 부정적인 태도가 아동의 성행동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 블릿 PC를 통해 성 관련 영상에 영유아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치하는 부모의 무감각과 방임되는 가정환경을 우려하 였다.

    아직 부모님들이 좀 보수적이라고 해야 되나 그런 부분 이 좀 많더라고요⋯성에 관해서 아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교사한테 그냥 우리 애가 왜 이럴까요. 문제가 있는 걸 까요. 약간 계속 그런 식으로 교사한테 물어보는 경우도 좀 있거든요⋯(중략) 그거를 엄마도 약간 아시는 것 같아 그게 문제라는 걸 아는데 인정하기가 싫으니까 자기 애가 문제라는 걸 인정하기 싫으니까 괜찮아지지 않을까요. 하 시는데⋯어머니 그건 문제에요 라고하면 엄청 화가 나시 겠죠⋯(참여자 O)

    한 친구는 엉덩이 그림만 보면 너무너무 웃겨하고 좋아 하고 이제 과하게 찾아보고 모든 책에서 엉덩이 그림을 찾 아본다던가 어떻게 보면 이런 건강하지 않은 행동을 보이 는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 가정에서 보니까 궁금해 하는 것들을 완전히 막아버리다가 아이가 태블릿 PC를 활용할 때는 다른 일을 하느라 인지하지 못하고 계셔서 태블릿 PC에서 알아서 네이버나 유튜브를 통해서 그런 성을 접 하게 돼서 불건전한 방법으로 됐던 것 같아요.(참여자 P)

    한편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성행동 문제를 부모와 상담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영유아의 성행동에 대해 부모가 소극 적이거나 공격적으로 반응하거나 교사와 부모의 서로 다른 가 치관으로 인해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부모 들은 교사와의 면담이나 가정에서의 지도 사항 요청에 비협조 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자위 행동에 대해서 엄마들마다 다르고 교사마다 다른 것 같은데 ⋯ 엄마한테 말씀드렸는데 엄마는 아이 말로는 그게 물고기 흉내 내는 거라던데요. 이렇게 하는 거에 요⋯ 그냥 놀이라고 생각하나봐요⋯(중략) 선생님은 좀 그거를 강하게 바꿨으면 좋겠다 생각을 하셔서 엄마한테 계속 얘기를 하시는데.(참여자 O)

    3. 성교육의 양보다 질 강화 필요

    참여자들은 성정체성과 성역할의 변화를 인식하면서도 변 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보육현장의 분위기와 대처를 지적하였 다. 참여자들은 성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강화 와 부모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증가하면서 이분화된 성역할보다 다양한 성역할을 반영한 성 교육의 필요성도 피력하였다.

    1) 변화하는 사회의 성역할 인식

    참여자들은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성 관련 인식을 고려한 성 교육이 필요한데 보육현장에서의 공감은 부족하여 영유아 교 육에서 수용과 변화가 느리다고 지적하였다. 참여자들은 신체 적 성 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예전에는 이제 친구들이 서로의 몸이 다르고 친구들이 함부로 자신의 몸을 만져서는 안 되고 이런 정도에만 치우 쳤다면, 요즘은 사회적 젠더갈등도 그렇고 사회적 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져서 그런 부분에서도 교사가 자각하고 인지하고 얘기를 막 해줘야 되는 것 같아요.(참여자 P)

    사회적 성을 주제로 이렇게 교육을 적극적으로 하지는 않지만, 옛날 동요나 이런 것들을 보면 되게 뚜렷하게 구분 이 되어 있잖아요⋯ 그거를 조금씩 저희가 바꿔 나가면서 아이들과 함께 이제 아이들도 아무래도 가정에서 보는 모 습들을 많이 이야기 하곤 하는데.. ‘아니야 아빠도 같이 할 수 있지’ 이렇게 자연스럽게 얘기를 해주고 있는 것 같아 요⋯ 시대가 바뀌어 가고 아이들도 안전 교육에 대한 변화 가 이루어 져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참여자 H)

    2) 교사의 성교육 역량강화

    참여자들은 교사로서 영유아의 성인식과 태도에 대해 책임 감을 느끼고 보육교사로의 역할을 다하고자 하였다. 영유아들 과 상호작용하면서 영유아의 성 관련 언행을 관찰하고 성 관련 질문에 교사로서 적절하게 개입하려고 노력하였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영유아의 질문이 구체화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영유아의 발달과정을 고려하여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언어의 선택과 태도에 신중하였다.

    5살 여자친구가 있었는데, 이면지를 가져와서 선생님 옷 안에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면서 어른 몸을 그려달 라고 얘기한 적이 있어요. 그때는 이 친구의 발달시기에 맞게 포괄적인 내용들을 그림으로 그려서 알려주면서 조 심스럽게 끝낸 적이 있어요.(참여자 P)

    참여자들은 양질의 성교육은 일상생활 보육에서 이루어져 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영유아들의 발달특성상 기저귀갈이, 화 장실 사용, 기본생활습관 지도와 같은 일상생활과 자유놀이 중 에 필요에 따라 직접적이고 자연스럽게 성교육을 하였다. 예를 들면, 영유아에게 생식기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알려주고 생식 기를 함부로 만지지 않도록 하는 등 필수적인 생활습관 및 태도 를 습득하도록 하였다.

    성교육을 따로 하지 않지만 영아들이 이제 그.. 어떤 생 식기 부분에 대해서는 말을 하는.. 정확하게 언어를 사용 하지 않으면 정확한 명칭을 알려주고 아이 영아들이 성기 를 만진다고 하면 소중한 몸이니깐 우리가 소중히 다뤄야 된다. 위생적으로도 교육을 하고⋯(참여자 E)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기반의 성교육이나 일상에서 잠깐씩 이루어지는 성교육에서 보육교사의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하 였다. 특히 성교육 중간에 영유아의 돌발적인 성문제 행동 발생 시 적절한 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시간 회수, 부모와의 소통 등을 포함하여 보육교사에게 실질적인 재량권 이 주어져야 한다고 했다.

    이제 다는 할 수는 없지만 조금 시간이 길었던 순간들 이나 그런 순간들은 남겨요. 책을 읽으면 한 권 읽는 데도 시간이 조금 걸리고 아니면 관련된 손 인형 들고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는 시간도 조금 한 10분에서 15분 정도 소요 가 되잖아요. 그런 거는 이제 기록하고 있는데 일상에서 순간순간 약간 지나가는 1분, 2분, 5분 이런 것들은 그냥 이제 마음속으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참여자 G)

    참여자들은 교사 대상 성교육이 형식적으로 행해지는 경향 이 있어 영유아의 성행동 문제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할 능력이 스스로 부족하므로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를 희망하였다. 참여 자들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 보편화 되어있으나 시대 의 흐름을 반영한 실질적이고 표준화된 자료와 교육방식의 개 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성교육 전문기관에서 교사 대상의 체 계적인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 성 관련 최신 지식습득과 실무적용 능력을 강화하고 싶어 했다.

    교육을 조금 형식적으로 그런 부분들이 있어요. 그래서 실질적으로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그런 교사 교육이 좀 더 주기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좋겠어요. 일률적으로 이 럴 때는 성기의 명칭을 말해라 말 알려줘라, 이런 교육보 다는.(참여자C)

    어린이집이나 유아교육기관에 성행동 담당자들을 교 육하는 사람이 성에 대해 조금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 는 강사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 분들을 통 해서 전문적인 성교육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는 것 같아 요.(참여자 R)

    참여자들은 영유아 대상 성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에서 영유아 성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를 통해 예 비 보육교사로서 준비되기를 원하였다. 보육교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성교육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면 영유아에 게 올바른 성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 아동의 성행동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보육교사를 준비하는 과목 안에서도 성교육과 관련된 과 목을 저희가 수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 해요. 예를 들면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 권장되는 상 호작용 틀이 조금 있잖아요. 이런 행동을 했을 때 이런 이야 기를 해줘야 되는 등 전체적인 틀이 저희가 4년 동안 공부하 면서 머리 속에 잘 잡혀가는데, 성교육에 관한 상호작용은 저희가 회피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오히려 도움이 안 될 것 같아서 과목을 수강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참여자 P)

    3) 부모와 협력하기

    참여자들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성교육과 어린이집에서 할 수 있는 성교육이 다른 만큼 교사와 부모는 영유아가 올바른 성 인식과 태도를 배울 수 있도록 부모의 책임감과 협조가 절실하 다고 하였다.

    일단 영유아가 가장 많이 생활하고 많이 지내고 있는 곳이 집이고 그렇기에 가장 많이 만나는 사람이 나의 엄마 나의 아빠 이렇게 되니까 이제 가정에서부터 조금 부모님 이 그런 책임감을 가지고 영유아들한테 올바른 성교육을 시켜줘야 된다고 생각해요.(참여자 L)

    참여자들은 아동의 성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너무 민감하거 나 둔감한 경우 대화나 중재가 힘들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참 여자들은 부모의 아동의 성 정체성과 행동에 대한 인식을 개선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부모 의 관심과 개방적인 소통이라고 생각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정 이나 어린이집에서 영유아가 보이는 성행동 문제에 소극적으 로 대처하는 부모의 태도는 지양되어야 하며, 부모의 성교육 요구를 확인하여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 조하였다.

    예전에 한 학부모님께서 유아반이 되면 화장실 칸을 남 자 전용 칸, 여자 유아 전용 칸을 확실히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의견이 있었어요.(참여자 G)

    논 의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성교육 경험을 기술하고 이해 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성교육 인식 개선과 성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영유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보완과 개발에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영유아기 때부터 조기 성교육이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영유아기 때 실시하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교육은 성에 대한 건전한 태 도를 심어주는데 필요하며[13] 영유아의 성지식과 성태도의 향상, 그리고 성역할의 고정관념 변화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 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15] 지지한다. 선행연구에서 적절한 성교육 시기를 3~4세로 보고하고 있으나[4,13,22]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영아의 조기 성 교육을 포함한 영유아기의 성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올바른 성행동 교육을 받지 못한 영유아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성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갖게되고 올바른 성민감 성을 갖지 못하게 되어 청소년기에 불안, 반항,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우울 등 정신병리 현상에 노출될 수 있다[23]. 그러 므로 유아에게 적극적으로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해야 하고,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목표와 내용, 교육방법의 구체 적인 제시와 유아교육 현장의 다양한 수업사례가 제시될 필요 가 있다[24].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대학의 교과과정을 통해 예비 보육교 사들이 성교육에 대한 교육을 미리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예비 보육교사들이 성교육에 대한 정확 한 정보와 지식 습득을 위해 교육 참여의사가 있다고 보고한 선 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3] 보육교사의 성교육 역량을 대학 에서부터 준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교사의 성교육 활동은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긍정적 으로 변화시키고 유아 성교육에 대한 목표, 내용, 교수방법을 변화시키게 된다[14]. 그러나 본 연구결과, 현재 유아교육기관 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유아의 성교육은 법적규정 준수 혹은 어 린이집 평가지표 의식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실시되고 있어 내용 보다 형식에 치우치고 있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성교육에 대 한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부족과 표준화된 교육자료와 매뉴얼 부재 등으로 체계적인 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음도 확 인되었다. 이는 보육교사들은 성교육 자료부족, 성교육 지도방 법의 부재, 잘못된 지식 전달에 대한 우려, 체계적인 성교육 프 로그램의 부족 등을 이유로 성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음을 밝힌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8,9,12,22]. 특히 영유아 에게 질적인 성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보육교사의 전문적 역 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다양한 교육 배경을 가진 보육교사 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 양성 교육 내용의 공통된 기본방향 을 명확히 하고, 교육 방향의 차이를 좁혀야 한다는 주장을[25] 토대로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 사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선행연구는[26] 성 교육 원리, 성 정체성, 성 발달단계별 성교육 접근법, 아동의 성 관련 질문, 아동의 자위행위, 아동의 성학대 등 6가지 영역에서 유아교사의 지식과 태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어 이를 근거로 6가지 영역을 고려한 표준화된 교사 교육 프 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 램은 기초과정부터 상급과정까지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상급과정은 전문지식과 자질을 갖춘 성교육 전담교사 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편 본 연구결과에서 영유아 성교육과 성행동 문제에 대한 부모의 폐쇄적이고 수동적인 태도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 라서 부모의 폐쇄적인 태도에 대한 심도깊은 탐구를 통해 영유 아 성인지 발달의 장애가 되는 부모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부모의 폐쇄적인 태도에서 드러나는 의미와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성행동 문제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반응이 차이가 있 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아동의 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와 부모가 필요 하다고 생각하는 아동의 성교육 내용에 대한 차이를 보고하고 있는 선행연구결과들은[27,28] 부모와 보육교사의 아동의 성 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본다. 부모는 영유아의 성도덕, 성 심리 발달, 신체의 생리적 발달단 계 등에 대한 성교육이 실행되기를 원하며[27], 보육교사는 성 적 다양성 이해, 친밀한 동료관계, 성 학대 예방과 사회성 향상 에 따른 정서적 학습 등에 대한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28]. 그러므로 영유아의 성행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모와 교사의 바람직한 연계를 위해서[12]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제 기된다. 부모들은 아동의 성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으며 [4,29] 부모들은 인터넷 육아커뮤니티를 통해 아동의 성 관련 정보를 얻고 있었다[30]. 이러한 부모들의 교육요구도와 정보 수집의 적절성과 만족도를 확인하여 부모요구를 반영한 교육 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부모교육의 요구내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또한 부모와 보육교사가 성교육에 대해 일 관된 관점을 갖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상호보완적인 교육시스 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부모교육 프로그 램은 보육기관에서 제공한 성교육을 가정의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영유아의 성행동 문 제 발생 시 응급대처나 상담이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활용까지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들은 영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성교육 수행을 위한 보육교사의 준비, 교육방법과 교 육자료, 부모와의 협력 등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유 아 성교육은 아동이 교육기관에 입문하는 가장 어린 나이에 시 행하는 조기교육으로 아동에게 적절한 성정체성과 성역할을 포함한 성문화를 형성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유아 대상 성교육에 적용한 다양한 교수방법의 개발과 평가 가 필요하며 보육교사와 영유아 부모 대상 영유아기 성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보육교사, 부모, 지역사회 등 보육 현장의 주체와 환경적 요인이 영유아 의 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요인들의 협력적 상호작 용을 제시할 수 있는 통합적인 역할 수행 모델을 개발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eachers' Experiences with Sex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References

    1. Lee MS, Lee EJ. Levels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parents and caregiver in daycare center toward the children's right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013;17(2):265-284.
    2. Korth BB, Baum AC. Teachers supporting future teachers: A critical pa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Young Children. 2011;66(3):20-26.
    3. Kim YJ, KIM JW, Park HM. The recognition about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06;6(2):193-210.
    4. Yoo HJ, Kim M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and parents' sex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factors on the necessity, and the differences in demanded education timing. Keimyu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2017;36(1):71-108.
    5.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 response manual for the management of sexual behavior problems in infants and toddlers in daycare centers [Internet]. Seoul: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2020 [Cited 2022 Aug 11]. Available from: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Sl.jsp?flag=Sl&BBSGB=50&BID=77950
    6. Blake S. There's a hole in the bucket: The politics, policy and practice of sex and relationships education. Pastoral Care in Education. 2008;26(1):33-41.
    7. Brouskeli V, Sapountzis A. Early childhood sexuality education: Future educators' attitudes and considerations. Research in Education. 2017;99(1):55-68.
    8. Kim JE. The current status of sex education with a focus on early childhood perceptions and the demand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findings from daycare centers in the Gyeongsangbuk-do a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9;23(5):29-54.
    9. Ryu JH, Kim SH.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the gender equality promotion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paramete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2021;39(3):81-106.
    10. Woo MJ.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1;31(3): 83-100.
    11. Kim CM, Nam HK. A fact-finding survey on sex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day care centers.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1):23-31.
    12. Nam GW, Joo HJ, Kim NY. An analysis on the statu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sex education for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6;20(6):141-165.
    13. Park SY, Kim SH.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on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for Infant Mental Health. 2014;7(2):1-26.
    14. Woo MJ. A Study in kindergarten teacher's variation of awareness and teaching practice about sex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0;14(3): 131-147.
    15. Lee SY, Yang SE.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1(3):245-257.
    16. Park YS. A study on the situation of child sexual violence and how to prevent recidivism.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2012;26:129-150.
    17. Lim CH. A study on the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juveniles in community.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2013;12(1):184-216.
    18. Woo MJ. 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1;15(2):33-56.
    19. Kim YO, Hong KS.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ex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 children: Focusing on picture book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22;23(2):177-199.
    20.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06;3(2):77-101.
    21.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Available from: https://psycnet.apa.org/record/1992-97542-000
    22. Jim JS, Moon HJ. Comparisons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Human Science. 2006;26(1):131-150.
    23. Bufferd SJ, Levinson CA, Thomas M, Olino TM, Dougherty LR. Dyson MW, et al. Temperament and psychopathology in early childhood predict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in adolescenc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22;151(1):1-10.
    24. Kim JS, Moon SY. A study on children's ‘gender cognitive sensitivity' picture book experience.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021;6(2):71-91.
    25.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ternet]. A study on way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er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cited 2022 Aug 11]. Available from: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371/2/%5B%EC%88%98%ED%83%81%EB%B3%B4%EA%B3%A0%202009-05%5D%20%EB%B3%B4%EC%9C%A1%EC%A2%85%EC%82%AC%EC%9E%90%EC%9D%98%20%EC%A0%84%EB%AC%B8%EC%84%B1%20%EC%A0%9C%EA%B3%A0%20%EB%B0%A9%EC%95%88%20%EC%97%B0%EA%B5%AC.pdf
    26. Martin J, Riazi H, Firoozi A, Nasiri M. A sex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of preschool children: A quasi-experimental study in Iran. BMC Public Health, 2020;20(692).
    27. Balter AS, van Rhijn T, Davies AWJ. Equipp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xuality in childhood: Identification of pre-and post-service training needs.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2018;27(1): 33-42.
    28. Goldfarb ES, Lieberman LD. Three decades of research: The case for comprehensive sex educa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21;68(1):13-27.
    29. Lee HJ. Study on construction of a sex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y parents' recognition, actual condition and dem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4;18(4):115-136.
    30. Woo MJ, Ahn HJ, No SH. Parental concerns regarding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on internet child-rearing commun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6;20(6): 385-405.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