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Prosthodont. 2022 Oct;60(4):362-373. Korean.
Published online Oct 26, 2022.
© 2022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Case Report
디지털 방법을 활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최종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물로 이행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조은한,1 이영후,1 홍성진,2 백장현,2 배아란,2 김형섭,2 권긍록,2 노관태2
Full-mouth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method to transfer provisional restoration to final fixed implant restoration
Eunhan Cho,1 Younghoo Lee,1 Seoung-Jin Hong,2 Janghyun Paek,2 Ahran Pae,2 Hyeong-Seob Kim,2 Kung-Rock Kwon,2 and Kwantae Noh2
    • 1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
    • 2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1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 2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ceived August 04, 2022; Revised September 20, 2022; Accepted October 06,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완전 무치악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시 수술 전 적합한 치아 위치를 확인하고 잔존 치조‍골과 연조직의 평가를 통해 수술을 계획하여 정확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CAD-CAM 기술은 보철 치료와 수술을 동시에 계획할 수 있고 치료에 대한 예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임상 증례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시의치 제작, 고정성 수복 치료 전 심미성 평가 및 가이드 수술을 계획하‍였다. 수술 후에도 기존에 얻었던 정보들을 통해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For a full-mouth fixed prosthetic treatment of the edentulous patient, it is essential to confirm the proper tooth position and thorough evaluation of the remaining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before surgery. CAD-CAM dentistry and guided implant surgery have such advantages of providing simultaneous planning of surgery and prosthetic treatment to ensure pre-knowledge of the treatment. In this clinical case,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digital temporary denture fabrication, esthetic evaluation before fixed prostheses treatment, and guided surgery planning was possible. After the surgery, previously obtained data was used for fabricating fixed temporary prostheses. Definitive zirconia prostheses transferred from the provisional prostheses were fabricated and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satisfying results were obtained.

Keywords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Edentulous jaw; Computer guided surgery; 3D printing surgical guide; CAD-CAM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완전 무치악; 컴퓨터 가이드 수술; 3D 프린팅 수술 가이드; 캐드캠

서론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 방법은 가철성 치료인 총의치, 오버덴쳐, 임플란트 유지 국소의치부터 고정성 치료인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1 가철성 보철물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보철물을 세척하고 관리하기 쉬우며 과도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구순지지가 부족한 경우 의치상으로 지지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구강 내에 보철물의 부피로 인해 불편감이 있으며 장기간의 적응 기간과 주기적인 첨상이 필요하다. 반면에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고 자연치와 유사하게 제작 가능하며 탈착‍이 필요 없어 환자의 사용에 있어 더 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비싸고 수술이 필요하며 장기간의 골유착 기간이 필요‍하다.2, 3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더 만족도가 높은 고정성 보‍철물을 선호한다. 치과의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잔존골의 질‍과 양, 점막의 두께 등과 함께 심미적인 요소인 미소선의 높‍이와 구순지지의 여부를 전반적으로 검사하고 확인해서 치료‍의 진행방향을 결정해야 한다.4 고정성 보철물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라고 판단되면 식립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보철물의 위치를 계획하고 이에 적절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 최근 guided implant surgery와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을 활용한 보철물 제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5 컴퓨터 단‍층영상촬영을 활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우는 방법은 수술 전 보‍철 치료 계획 및 외과적 수술 계획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빠르고 덜 침습적이며 계획된 위치에 정확하‍게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치료의 예지성을 확보해 주는 장점이 있다.6, 7, 8

또한 임플란트 진단 프로그램과 CAD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의 임시 보철물에 담긴 치아위치와 크기, 수직 수평적 악간 관계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활용하면 최종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 더욱 수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9 본 증례에서는 양‍악 무치악 악궁에 computer guided system 과 CAD-CAM‍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위치의 계획과 식립, 그‍리고 기존 임시보철물을 활용하여 임플란트 전악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하였다. 임시의치에서 적응된 수직고경과 치아배열‍을 참고하여 상악과 하악 각각 3-piece design, 나사 시멘트 유지형 고정성 임플란트(screw cement retained fixed implant prosthesis, SCRP) 최종 보철물로 디자인하였고 단일 구조(monolithic) 지르코니아로 제작되었다. 이를 통해 술자‍와 환자의 편의성 확보와 함께 기능적, 심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 59세 여성으로 전반적으로 심한 치아 우‍식 및 하악 양측 구치부의 치주질환으로 인해 상, 하악 치아가 모두 발치 된 상태로 본과에 내원하였다 (Fig. 1A-C). 환자는 가능하다면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원하였으며 잔존 치조골‍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 하악 좌측 구치부 부위는 치주질‍환으로 인해 심한 치조골 흡수가 관찰되었고, 다른 특이할 만한 전신 병력이나, 구강 악습관, 턱관절 질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Fig. 1D). 구외 평가시 상순지지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얇‍은 입술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 기준으로 상순의 돌출 정도‍는 양호한 편이었다 (Fig. 1E). 발치부위의 연조직과 잔존골의 치유기간동안 임시의치를 제작하여 사용하면서 추후 고정성 보철물 수복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도록 계획하였다.

Fig. 1
Intraoral photograph in the initial examination. (A) Maxillary occlusal view, (B) Mandibular occlusal view, (C) Frontal view, (D) Pre-operative panoramic radiographic image, (E) Pre-operative extraoral photographs.

알지네이트(Aroma fine plus; GC, Tokyo, Japan)로 예비 인상을 채득하여 진단모형을 제작(Neo Plumstone; Mutsumi Chemical Industries, Yokkaichi, Japan) 하였‍다. 왁스 교합제와 기록상(Ostron 100; GC, Tokyo, Japan)‍을 제작하고 Willis 법에 맞춰 수직 및 수평적 악간관계를 채‍득하고 교합평면을 결정하였다.10, 11 추후 고정성 보철물 수‍복에 대한 평가 및 치아배열을 활용하기 위해 임시의치는 치‍아 크기가 조절 가능한 디지털 방법으로 제작하기로 하였다. 마운팅된 모형을 Desktop scanner (DOF Freedom HD Dental Scanner; Dentium, Suwon, Korea)로 스캔하여 STL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파일로 변환되‍었다 (Fig. 2A, B). CAD 소프트웨어(exocad DentalCAD; exocad, Darmstadt, Germany)상에서 해부학적 기준점과 왁스림을 토대로 모형을 분석하였다 (Fig. 2C). 현재의 치아‍배열을 임플란트 수술가이드와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 활용하‍기 위해 치아 크기를 임플란트 직경을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Fig. 2D). 최종 디자인된 디지털 총의치를 3D 프린팅 레진‍(Denture base, C&B permanent; One Dental System, Inchon, Korea)을 사용하여 출력하여 제작하였다 (Fig. 3).

Fig. 2
Digital fabrication temporary denture. (A) Working cast mounted on the articulator, (B) Digital model of working cast by desktop scanner, (C) Digital cast analysis, (D) Digital artificial tooth arrangement.

Fig. 3
Photographs of temporary denture printed by 3D printer.

임시의치를 제작하여 환자 구내에서 평가하였을 때 유지력은 양호하였으나 순측 의치상의 두께로 인한 입술의 과도한 돌출로 인해 환자는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구순지지와 안모를 평가하기 위해 전치부의 협측 의치상을 제거한 시적의치를 출‍력하여 시적하였으며 (Fig. 4), 자연스러운 안모와 개선된 구‍순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B, C). 전반적인 안모와 잔‍존 치조골의 상태를 고려했을 때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치료를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Fig. 4
Photographs of patient’s Lip support. (A) Trial denture without buccal flange, (B) Denture with buccal flange delivered, (C) Denture without buccal flange delivered.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중인 임시의치를 사용하였다. 임시의치에 방사선 불투과성 레진‍(Tetric N-flow; Ivoclar Vivadent AG, Schaan, Principality of Liechtenstein)을 사용하여 마커(Marker)를 형성‍하고 콘빔 전산화단층촬영(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을 진행하였다. 의치만의 CBCT 데이터와 구내 장착한 CBCT 데이터를 얻은 후 (Fig. 5A, B) 임플란트 진단 프로그램(Implant studio; 3Shape, Copenhagen, Denmark)‍을 사용하여 마커를 기준점으로 데이터를 중첩하였으‍며 높은 정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Fig. 5C). 중첩된 데이터‍로 임시의치의 치아 배열과 CBCT 데이터를 참고하여 수술을 계획하였으며 (Fig. 6A-C) 구치부는 교합력을 생각하여 가능‍하면 임플란트 4.5 mm 직경으로, 전치부는 직경 4.0 mm로 계획하였다. 상악은 전치부 식립 각도상 측방압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중절치 부위에 1개를 추가 식립하도록 계획하여 총 7개(좌측 중절치, 양측 견치, 양측 제1소구치, 양측 제1대구‍치), 하악은 6개의 임플란트(양측 견치, 양측 제1소구치, 양측 제1 대구치) 식립 및 하악 좌측 제1대구치 부위 협측 골이식을 계획하였다 (Fig. 6D).

Fig. 5
Aligning procedure of Implant Studio program. (A) CBCT data of denture with marker, (B) CBCT data of patient, (C) Alignment of both CBCT data.

Fig. 6
Implant planning using Implant Studio program. (A) Maxillary occlusal view, (B) Mandibular occlusal view, (C) Frontal view, (D) Planned Implant position on the program.

Implant studio에서 기존 의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합면 부분과 가이드 부분이 따로 제작되고 결합될 수 있는 2-piece surgical guide를 제작하였다 (Fig. 7A-C). 임플란트 고정체‍는 내부 연결 타입(Osstem TS III, Osstem, Seoul, Korea)‍을 선택하였고 Osstem one-guide kit를 사용하여 계획대로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하였다. 수술 전 환자의 구강 내에 교합면 부분이 결합된 가이드를 시적하여 안정적으로 교합이 되‍도록 교합조정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가이드를 구강 내 장착‍하여 안정적인 교합상태에서 가이드가 올바르게 위치된 것을 확인한 후 고정용 핀을 식립해 가이드를 악궁 내에 고정하였‍다 (Fig. 8A, B). #36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골이식이 필‍요하지 않아 무피판절개로 수술이 진행되었고 #36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 후 피판 절개를 시행하여 골이식을 하였다 (Fig. 8C, D).

Fig. 7
2-piece surgical guide. (A) Maxillar y and mandibular occlusal pieces, (B) Maxillary and mandibular guide pieces, (C) Each piece assembled state.

Fig. 8
Guided implant surgery using surgical guide. (A) Guide adaption for checking proper position, (B) Guide fixation using anchor pins, (C, D) Post surgery state.

각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값이 전반적으로 35 Ncm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측정되어 즉시부하를 결정하였다. 상악 전치부‍는 식립 각도를 보상하고자 Angled Multi Abutment (Osstem, Seoul, Korea)를 장착하여 외부 연결 타입(external type)으로 변환한 후 scanbody (TS Multi Scan Body, Osstem)를 연결하였다. 다른 부위는 기존의 scanbody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으며 스캔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Scan Healing Abutment, Osstem)를 구내 장착하였다. 2-piece surgical guide를 개인트레이처럼 사용하기 위해 구내 시‍적하고 scanbody와 간섭이 되는 부분을 조정하였다. 실리‍콘 인상재(Imprint Ⅱ Garant Regular Body, Light Body; 3M ESPE, St. Paul, MN, USA)로 임플란트 인상을 채득하‍였으며 surgical guide의 교합면을 활용해 실리콘(O-bite; DMG, Hamburg, Germany)으로 악간관계를 채득하였다 (Fig. 9A-C). 채득한 인상체와 악간관계를 desktop scanner로 스캔하고 캐드 프로그램(Meshmixer; Autodesk Inc., San Rafael, CA, USA)의 ‘Flip Normals’ 기능을 통해 인상‍면을 뒤집어서 작업 가능한 디지털 모델 데이터로 변환하였다 (Fig. 9D). Exo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맞춤형 지대주와 함‍께 상·하악 PMMA 임시보철물이 제작되었으며 cross-arch stabilization을 위해 상하 각각의 임시보철물은 1-piece로 제작하였다 (Fig. 10A-C). 하악 좌측 제1대구치 부위는 골이‍식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해당 식립부위는 즉시부하가 되지 않‍도록 cantilever 형태로 제작하였다. 임시보철물을 장착 후 중심교합시 양측 구치부에서 균일하게 교합이 되도록 조정하‍였으며 측방운동시 구치부에 간섭이 없도록 교합조정을 시행‍하였다. 약 3개월의 골유착 기간동안 2주 간격으로 정기적인 내원을 통해 추가적인 교합조정 및 임시보철물 상태를 확인하‍였고, 임시 보철물의 파절은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는 임시의 치에 비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였으며 턱관절에도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 9
Fixture level impression for immediate loading using 2-piece surgical guide and scan healing abutment. (A) Maxillary view, (B) Mandibular view, (C) Interocclusal relation registration, (D) STL file of digital working model from the impression.

Fig. 10
Provisional prosthesis. (A, B, C) First provisional prosthesis 7 days after the surgery for immediate loading, (D, E, F) Second provisional prosthesis after 3 months of osseointegration, (G) Extraoral photograph after provisional prosthesis delivery.

3개월 뒤 안정적인 교합과 수직고경을 확인하고 정중선과 치축을 수정한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최종보철물로 이행하‍기 위한 단계를 평가하기로 하였다. 해당 파일을 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중선과 치축을 개선하고 상하악 모두 전치‍부와 양측 구치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임시보철물을 제작하고 장착하였다 (Fig. 10D-F). 약 1달간의 개선된 임시보철물 사‍용을 통해 교합 안정 여부와 보철물의 심미적 조화 및 환자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환자는 심미적으로 만족하였고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Fig. 10G).

이를 위해 임시보철물을 제거하고 구내 스캐너(Trios 4; 3Shape, Copenhagen, Denmark)를 이용하여 지대주들‍이 연결된 상하악 악궁을 인상 채득하였다. 각각의 맞춤형 지‍대주도 전부 모델스캐너를 사용하여 다시 스캔하여 악궁스캔 파일과 중첩하여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적응된 악간관‍계 기록을 위해 전치부 임시치아와 기존의 전방부에서 O-bite‍로 채득한 교합제를 사용하여 스캔 후 (Fig. 11A, B) 중첩하‍여 STL 파일로 저장하였다 (Fig. 11C). 환자의 CBCT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상교합기에 디지털 안궁이전을 하였으며 (Fig. 12A, B), 이전의 스캔파일을 사용하여 임시고정성 보철물과 동일하게 전치부와 양측 구치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최종보철‍물을 디자인하였다. 측방교합은 군기능 교합이 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전방교합시 구치부 이개가 되어 상호보호교합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Fig. 12C, D). 최종보철물은 나사-시멘트 유‍지형(Screw and cement retained implant prosthesis, SCRP)타입의 지르코니아 재료로 제작하여 장착하였고 (Fig. 13) 구강 위생교육 또한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물 장착 후 2‍주, 1개월, 3개월 간격으로 경과 관찰을 수행하면서 환자의 구‍강위생 관리 및 교합 안정을 확인하였고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작과 발음 시에도 불편감이 없었으며 환자는 개‍선된 발음과 심미, 기능에 만족하였다.

Fig. 11
Impression for definitive prosthesis. (A) Anterior bite registration, (B) Posterior unit removed and scanned for combining maxillary and mandibular abutment level scan data, (C) Finished abutment level scan data with adapted interocclusal relationship.

Fig. 12
(A, B) Digital facebow transfer using CBCT data, (C) Confirming group function, (D) Confirming anterior guidance and posterior disclusion.

Fig. 13
Delivery of definitive prosthesis. (A) MICP at right side, (B) MICP fr om Frontal view, (C) MICP at left side, (D) Group function at right side, (E) Posterior disclusion, (F) Group function at left side, (G) Maxillar y occlusal view, (H) Mandibular occlusal view, (I) Panoramic radiograph, (J) Extraoral photograph (pre-operative), (K) Extraoral photograph (at rest), (L) Extraoral photograph (smile).

고찰

본 증례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전악 보철 수복에 있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평가 및 치료를 진행하였다. 모든 보철치료에 앞서 환자의 구내 및 안모 평가를 통해 치료의 방‍향을 정하고 계획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때, 환자의 선호‍도, 환자의 전신적 건강 상태, 구내 경조직 및 연조직의 상태, 경제적 능력 등의 평가가 필요하며11 안모 분석을 통한 구순지‍지 등의 구외 연조직 평가 또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임시의치 장착 후 평가 시 지속적인 의치 조정을 통해 교합의 안정이나 수직고경 등은 비교적 잘 적응‍하였지만 순측 의치상으로 인한 상순의 과도한 돌출로 인해 비심미적인 안모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상악 전치부의 의치상‍을 제거한 시적의치를 통해 안모를 평가하였으며 이 과정은 환자와 의사간의 소통과 치료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구강내 평가 시 기존 하악 양측 구치부의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해 발치 후 치유된 부위의 치조골 흡수가 심했으며 이로 인해 광범위한 수직적 골이식을 하지 않으면 임플란트 식립‍이 불리하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경제적 비용과 수술의 용이‍성, 악궁이 평균보다 작고 교합력이 강하지 않은 60대 여성 환‍자임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제1대구치까지만 수복하기로 결정하였다.12, 13

본 증례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부터 고정성 임시보철물과 최‍종 보철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임시의치에서 계획되었다. 따라‍서 임시의치 제작 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도록 치아가 배‍열되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배열 시 크기가 작은 치아를 사용‍하거나 배열이 치조정에서 많이 벗어나게 되면 이를 활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할 때 치아 위치를 참고하는데 있어 제‍한이 생긴다. 디지털로 임시의치를 제작하게 되면 치아의 크기를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악궁과 치아의 위치를 삼차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임플란트 식립까지 고려하여 제작된 임시의치의 치아위치는 임플란트 계획 및 다음단계의 임시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진단 프로그램인 Implant studio에서 기존 의치 데이터를 활용하면 교합면 부분과 가이드 부분이 따로 제작되‍고 결합될 수 있는 2-piece surgical guide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가이드수술과 보철물 제작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술시에는 안정된 교합 확인을 통한 가이드의 올바른 안‍착을 통해 고정핀을 식립할 수 있다. 술후에는 악간관계 채득‍까지 가능한 개인트레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약간의 내면 조‍정후 임플란트 인상채득과 임시의치로 적응된 교합관계를 동‍시에 채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상채득 후 보철물 제‍작 시에는 교합면 부분에 기존에 사용하던 치아의 정보가 있‍기 때문에 고정성 임시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있어 기존 배열을 참고하여 더 수월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시부하를 위한 초기 고정성 임시보철물은 임시의치를 통‍해 제작된 2-piece surgical guide 상의 치아배열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전반적인 심미성과 교합은 양호하였지만 정‍중선과 치축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3개월간의 골유착 기간 후 정중선과 치축 및 치아의 외형을 수정한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최종 보철물 제작 전 심미성을 평가하였다. 계획‍된 최종 보철물과 동일하게 3-unit, SCRP 타입으로 제작하여 screw hole 위치의 적절성도 확인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나사풀림과 도재의 파절은 종‍종 발생하는 합병증이다.14 본 증례에서는 이러한 불가피한 합‍병증에 대처하기 위해 유지, 보수 및 수동적 적합 등의 장점‍을 가진 SCRP 타입의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15 상악 전치‍부는 해부학적으로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평행하게 식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식립 각도를 보완하면서 Screw 타입의 보철물로 제작이 가능한 Angled MUA (multi-unit abutment)‍를 사용하여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하악에서‍는 개구시 Mandibular Flexure가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전치부와 양측 구치부로 나누어 보철물을 나누어 제작하였‍다.16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한곳에 교합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 임플란트의 실패나 보철물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확률이 가지므로 견치에서 제2소구치 부위까지 군기능 교합을 형성해 교합하중의 분산을 도모하였다.17, 18

결론

본 증례는 무치악 환자의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수‍복에서 다양한 디지털 장비와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임‍시보철물을 제작하고 평가하며 이를 활용하여 가이드 수술과 임시 고정성 보철물 및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고자 하였다. 고‍정성 수복을 고려하지 않은 임시의치 제작은 치아배열을 임‍플란트 가이드로 활용할 때 위치와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참‍고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고정성 수복을 고려한 임시의치 제작시에는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도록 치아배열이 치조‍정을 많이 벗어나지 않아야 하며 임플란트 직경도 고려하여 치아의 크기를 결정해야 추후 임시의치에 담긴 정보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다. CAD를 이용한 임시의치 제작은 치아와 치‍조정과의 관계 확인 및 치아 크기 조절이 더 용이하다. 이렇‍게 제작된 임시의치는 가이드 수술을 계획할 때 활용되었고, 2-piece surgical guide와 scan healing abutment를 활‍용하여 임플란트 인상채득과 함께 임시의치 사용을 통해 적응‍된 수직, 수평적 악간관계를 동시에 채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좀 더 수월하고 빠르게 제작하여 즉‍시부하를 하였다. 골유착이 완료된 후 기존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 제작하였고, 환자와 술자에게 예지성이 있고 기능적, 심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ferences

    1. Misch CE. In: Dental implants prosthetics. 2nd ed. St. Louis: Elseiver; Mosby; 2015. pp. 11.
    1. DeBoer J. Edentulous implants: overdenture versus fixed. J Prosthet Dent 1993;69:386–390.
    1. Goodacre CJ, Bernal G, Rungcharassaeng K, Kan JY.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J Prosthet Dent 2003;90:121–132.
    1. Jivraj S, Chee W, Corrado P. Treatment planning of the edentulous maxilla. Br Dent J 2006;201:261–279.
    1. Harris BT, Chen L, Lin WS. Digital imaging and prosthetic-driven implant planning: efficient, accurate, and reliable treatment. Compend Contin Educ Dent 2017;38:492–494.
    1. Becker CM, Kaiser D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J Prosthet Dent 2000;83:248–251.
    1. Kapos T, Ashy LM, Gallucci GO, Weber HP, Wismeijer D.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ssisted manufacturing in prosthetic implant dentistr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9;24:110–117.
    1. Choi BH, Jeong SM. In: Digital flapless implantology. 1st ed. Seoul: Jisung Pub; 2015. pp. 9-30.
    1. Hassan B, Gimenez Gonzalez B, Tahmaseb A, Greven M, Wismeijer D. A digital approach integrating facial scanning in a CAD-CAM workflow for complete-mouth implant-supporte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edentulism: A pilot clinical study. J Prosthet Dent 2017;117:486–492.
    1. Kwon KR. The prosthetic approach for collapsed vertical dimensions of occlusion. J Dent Rehabil Appl Sci 2004;20:169–181.
    1. Zitzmann NU, Marinello CP. Treatment plan for restoring the edentulous maxilla with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removable overdenture versus fixed partial denture design. J Prosthet Dent 1999;82:188–196.
    1. Kanno T, Carlsson GE. A review of the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focusing on the work by the Käyser/Nijmegen group. J Oral Rehabil 2006;33:850–862.
    1. Solow RA. Comprehensive implant restoration and the shortened dental arch. Gen Dent 2010;58:390–399.
    1. Wittneben JG, Buser D, Salvi GE, Bürgin W, Hicklin S, Brägger U. Complication and failure rates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and single crowns: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4;16:356–364.
    1. Wittneben JG, Millen C, Brägger U. Clinical performance of screw- versus cement-retained fixed implant-supported reconstructions-a systematic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4;29:84–98.
    1. Zarone F, Apicella A, Nicolais L, Aversa R, Sorrentino R. Mandibular flexure and stress build-up in mandibular full-arch fixed prostheses supported by osseointegrated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103–114.
    1. Schulte W. Implants and the periodontium. Int Dent J 1995;45:16–26.
    1. Kim Y, Oh TJ, Misch CE, Wang HL. Occlusal considerations in implant therapy: clinical guidelines with biomechanical rationale. Clin Oral Implants Res 2005;16:26–35.

Metrics
Share
Figures

1 / 13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