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1)

옥일남 1 ,
Il-Nam Ok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서원대학교 부교수
1Associate Professor,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Il-Nam Ok, E-mail : inok@seowon.ac.kr

ⓒ Copyright 201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5, 2017 ; Revised: Feb 13, 2017 ; Accepted: Feb 14, 2017

Published Online: Feb 28, 2017

요약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의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육과정기를 시대별로 도입기, 정착기, 성장기, 변혁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변화된 특징과 내용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에는 민족 주체성 교육, 국민의 자질 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오늘날에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교육하기 위한 다양성, 개방성을 반영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도입기에는 민주 사회의 공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착기에는 민주 국가의 국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다. 성장기에는 ‘국민’으로부터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의 변혁기에 접어들면서 공통교육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의 2원 체제를 유지하여 학습자의 선택권을 존중 하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에 국가 사회적 요구에 의한 개정이 많이 발견되었다. 사회과의 분과 및 통합 경향은 단원내용 편성 과정에서 여러 차례 번복되면서 변화를 맞고 있었다. 앞으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은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미래의 민주 시민 양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 took a chronological approach, dividing curricula of Social Studies into introductory period, setting period, growth period, transformational period.

First, introductory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civic(公民) in a democratic society. Second, setting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people(國民) in a democracy. Third, growth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d the qualities of 'citizen' out of 'people'. Fourth, transformational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presented common curriculum and selecting curriculum, respects the right of choice of learners.

We could find some issues from this research. First, national social needs have been the driving force towards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there have been a conflict between division and integration of general Social Studies, history and geograph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wards demands of consumers of education, future democratic citizens.

Keywords: 사회과교육과정; 교수요목기;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
Keywords: Social Studies Curriculum; syllabus perio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Ⅰ. 들어가기

민주시민 교육을 위해 해방 이후 사회과가 만들어진 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어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이끌어오는 것이 바로 사회과교육과정이라고 할 것이다.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는 교육과정의 변화의 흐름과 함께 해 오고 있다. 과거에는 경성 개정 방식에 따라 주기적인 변화를 겪어 왔으나 최근 들어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필요한 사안의 발생에 따라 개정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의 특징을 추출해 냄으로써 민주시민 교육의 장에 사회과교육과정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역사적으로 그 특성을 파악해 나가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교수요목기부터 현재의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해 나갈 것이다. 특정의 주제나 영역에 한정하여 그 영역의 변화 과 정을 짚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기마다 사회과교육과정의 문서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특징을 읽어냄으로써 시기별 특징을 고찰해 나가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의 중심 흐름을 파악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변화 과정을 파악해 나갈 것이다. 해방 이후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사회과교육과정상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의 맥락을 찾아나갈 것이다. 그리하여 시기별로 사회과교육과정 문서에서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또는 내용상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는지 역사적으로 변화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될 것이다.

Ⅱ.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및 시대 구분

1. 사회과교육과정 관련 연구

사회과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져왔다. 교육과정은 객관적이고 공식적 지식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선택에 따른 정치적 산물이라고 파악하는 애플(Apple) 등 비판적 관점의 입장이 있어왔다. 최근에는 무엇을 선택하여 왜 가르치는가의 문제에서 나아가 어떻게 조직하여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로 변화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강대현, 모경환, 2013, p. 5에서 재인용). 이러한 교육과정의 정치학에 대한 논쟁은 교육과정의 객관성에 대해 짚어볼 수 있는 중요한 관점이라고 본다. 본 교육과정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 고찰함에 있어 이러한 정치적 선택의 관점이 깃들어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이루어진 연구가 있는데, 먼저 교수요목기를 살펴보자. 이 시기의 경우 미군정이 주도하여 일제강점기의 수신과를 폐지하고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공민과를 도입하여 사회과를 초등학교에 주당 2시간씩 도입하게 되었다(강대현, 모경환, 2013, p. 8). 이 당시 역사, 지리, 공민이 종합적으로 구성된 사회생활과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는 민주주의적 교육을 표방하고 있음을 문서에서 명시하고 있다. 초등 공민 과목에서는 자유, 민주정치, 정의, 사회, 우리 민족성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초등공민 5․6학년 합병용; 이진석, 2003, p. 100에서 재인용).

또한 학문적으로는 미국의 ‘신사회과’ 움직임이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친 시기가 제3차 교육과정기라고 할 수 있다. 신사회과 운동의 배경이 되는 학문 중심 교육과정은 신사회과가 강조하는 지식의 구조, 탐구라는 특성과 함께 이 시기의 초․중학교에서 탐구와 발견, 문 제 해결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이진석, 2001, p. 239).

제6차 시기 통합의 경향이 나타나는데 초창기 ‘현대사회와 시민’의 통합 과목을 구상한 뒤, 민주시민 교육을 위해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나 난항을 겪으며 부분적 통합 과목인 ‘공통사회’를 통해 의사결정력을 함양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종합적 판단력을 키우고자하였다(김영석, 2013, p. 18).

제7차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했을 때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말하고 있으며, ‘지식 제시형’과 ‘활동 중심형’의 선호도를 조사했을 때 ‘활동 중심형’에 대해 더 많이 선호하고 있었다(서재천, 2003, pp. 38-39, 43).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활동 중심의 문제 해결형에 대해 수용하는 교사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제7차 시기 주제 및 문제 중심의 활동 중심 구성에서 내용 구성이 제대로 되었는지 살펴보면 지식 중심에 비해 초점이 흐려져 여전히 보완할 점이 있다고 보았다(강대현, 2008, p. 17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초등학교에서는 주변국의 국세 정세의 변화를 반영하여 국사 교육이 강화되고 국사를 초등학교 5학년 1, 2학기에 다루게 되었다. 최근 일본과 중국의 역사 왜곡 문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국사 교육의 비중이 늘어나게 되었다(설규주, 2007, p. 85). 이러한 위로부터의 역사 교육 강화로 인해 과거 지향해 온 초등학교의 통합지향적 교육이나 환경 확대 원칙의 파괴라는 문제점도 함께 불러온 것으로 보고 있다(김정인, 2008, p. 1).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공통 교육과정의 단축이 생기고 중학교에서도 학년군제가 적용되어 집중이수제가 실시되는 등으로 학습량의 적정화를 위한 감축 노력이 야기되었다. 이로 인해 학습 결손 현상이 야기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모경환 외, 2012, p. 607).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교과별 핵심 역량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는데 향후 미래 사회에 당면하는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델파이 조사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기능을 추출하고 핵심 역량을 파악하려는 노력들은 급변하는 교육 상황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사회적 실제에 적합한 통합적 접근을 꾀하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한춘희, 신범식, 2009, pp. 129-130).

특히 사회과교육과정 변천 과정에서 특정 분야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분석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 변천 과정에서 사회과의 목표에 나타난 교과의 성격을 살펴본 남호엽, 류현종(2009)의 연구가 있다. 교수요목기에는 사회생활에 유능한 국민을 양성하는 것이며,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어린이의 욕구에 의한 문제를 다루며 지리, 역사, 공민을 종합적으로 다루어 공민의 자질을 함양해야 하며, 제2차와 제3차에서는 기능의 영역을 강조하며 공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다. 제4차와 제5차에서는 국민적 자질이 등장하고, 제6차에서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강조하여 ‘시민’ 형성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관점은 제7차에도 이어지게 된다.

시민성 교육이 사회과교육과정별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살펴본 권오현(2012)에 의하면, 초기에는 국가시민성이 강조되고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적 시민성은 시기별로 차이를 두어 강조되어 나타나며, 제6차 교육과정기 들어 국가시민성이 약화되어 민주적 참여나 실천의 태도가 강조되고 있다고 한다.

이진석(2008)은 닫혀진 영역이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이 때 제6차 교육과정기에 접어들자 이데올로기나 민족주의와 애국심 등은 주로 사라지고, 다문화 사회, 통일 문제, 성 불평등, 사회 불평등, 권력과 법의 영역에서는 열린 영역으로 자유로운 사고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제6차 교육과정기에 들어 사회과의 목표나 내용 구성 면에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교육과정 변천 과정에서 역사 영역의 변천에 관한 김정인(2008)의 연구가 있다. 교수요목기 역사는 공민, 지리와 함께 사회생활과에 통합되어 구성되었으며 제1차 시기에도 환경확대법의 원칙에 의해 종합적으로 다뤄지며, 제2차 시기에 역사 교육에서 민족주의적 가치가 직접적으로 강조되며, 제3차 시기에 국사를 독립 교과로 하여 국사교육의 주체성과 민족적 자부심 교육을 강화하게 되었다. 제4차 시기에는 다시 역사가 사회과에 통합되고 제5차 시기에도 사회교과로 통합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제6차 시기에도 이러한 통합적 성격이 강화되어 중학교 국사가 사회과로 복귀되었으며, 제7차 시기에는 열린 민족주의를 지향하며 이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리하여 사회과와 통합형 역사 교육에서 출발하여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역사 교육이 대두하여 과목 독립을 이루어나갔으나 위로부터의 역사교육이 강화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보았다.

최근들어 강대현(2015)은 2009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 양상을 분석하여 국가 주도의 개혁, 총론 주도의 개혁, 통합 대 분과의 갈등, 현장과 괴리된 개정 등의 특성을 포착해 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거시적 특성을 추출하기보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사회과에서는 어떤 변화를 겪어오면서 사회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주안점을 두어 고찰하고자 한다.

2.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과 시대 구분
가.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과정

해방 이후 교수요목집이 우리나라에 적용된 이후 10여 차례의 교육과정의 개정 작업이전 반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때로는 이전의 교육과정 시기와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부분적 수정을 한 시기도 있으나 큰 틀의 변화와 개혁을 도모한 시기도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 내용의 흐름을 표로 제시하면 <표Ⅱ-1>과 같다.

표 Ⅱ-1.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개정 흐름

시기

교수요목기 제1차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 제3차 교육과정
1946. 9 1955. 8 1963. 2 1973. 2
특징 및 변화 ․미군정기 미국 교육 과정의 한국 도입
․사회생활과 등장․초등-환경확대법
․국민학교 명칭
․한국에서 처음으로 교육과정 개정
․한국적 특수성 반영(반공 사상 강조)
․한국적 특수성 반영(반공·도덕 생활 편성)
․일반사회, 국민윤리 편성(고교)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
․국민의 자질 함양
․학문중심 교육과정영향
․정치·경제,사회·문화로 편성(고교)
시기 제4차 교육과정 제5차 교육과정 제6차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1981. 12 1987. 6 1992. 9 1997. 12
특징 및 변화 ․국민의 자질 함양․
사회Ⅰ, 사회Ⅱ로 제시(고교)
․중학교에서 민주 시민 자질 함양 목표 등장
․초등학교 3학년 부터 사회 제시
․초·중·고교에서 민주시민 자질 함양 목표․초등 1∼2 학년- 슬기로운 생활에 사회와 자연 통합 내용 제시
․교육과정에 성격, 목표, 내 용체계표 제시
․공통사회(고교) 등장
․초·중·고교 교육과정이 하나의 문서 에 제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10학년) 및 선택중심교육과정(11∼12학년) 체제
․사회-3∼10학년의 내용체계표 제시
․수준별 교육, 수행평가 등장
․초등학교 명칭 등장
시기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2007. 2 2009. 3 2015. 9
특징 및 변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10학년) 및 선택중심교육과정(11∼12학년) 체제 유지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개정 연도명 부여
․동아시아사 등장
․공통교육과정(1∼9학년) 및 선택교육과정(10∼12학년) 체제로 연도 조정
․사회-3∼9학년의 내용체계표 제시
․초등 2개 학년씩 묶어 제시
․법과 정치로 통합
․공통교육과정(1∼9학년) 및 선 택중심교육과정(10∼12학년) 체제
․선택중심 중 공통 과목으로 통합사회, 한국사 제시
․통합사회 등장
Download Excel Table
나. 사회과교육과정의 시대 구분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온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사회과 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을 교육과정 시기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특징을 고찰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분석 시기는 교수요목기부터 오늘날의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포함하여 살펴볼 것이다.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대 구분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사회과의 발전 과정과 변환의 시점이나 교육과정 개정기별로 나타나는 국가 사회적 요구나 사회과에 나타난 새로운 흐름 등을 고려하여 구분하기도 한다(박은종, 2008, p. 120). 예를 들어, 초기사회과 시대(제1차) / 사회과의 정착기(제2차) / 사회과의 토착화 시기(제3차) / 사회과의 성숙기(제4, 5차) / 사회과의 본질 구현기(제6, 7차)로 구분하거나(교육인적자원부, 1999, pp. 229-233), 사회생활과의 도입과 정착기(교수요목기, 제1차) / 사회과교육의 체계화와 적절성 모색기(제3∼5차) / 사회과교육의 본질추구기(제6, 7차)로 구분하기도 한다(한면희, 2001: 박은종, 2008, p. 121에서 재인용).

이러한 기존의 시대 구분 이후에도 교육과정 개정 작업은 현재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계속되어왔기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 나타난 성장과 변화의 흐름을 중심으로 공통적인 중심 요소를 포착하여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 구분은 사회과의 변천 과정을 각 해당 시기뿐 아니라 시기별로 묶어 기술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동일한 시기 로 구분한 배경이나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과가 도입되어 우리나라에서 사회과가 마련된 시대를 사회과의 ‘도입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에는 교수요목기와 제1차 교육과정기가 해당된다. 교수요목기는 미국의 교육과정을 우리나라에 도입한 시기이며, 제1차교육과정기는 우리나라에서 직접 처음 교육과정을 마련한 시기이다.

둘째로, 우리나라의 시대적 상황을 민감하게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고유한 교육과정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는 시대를 사회과의 ‘정착기’로 구분하여 고찰할 것이다. 이에는 제2차, 제3차, 제4차 교육과정기가 해당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으로 정착하는 가운데 반공 등의 한국적 특수성, 국민의 자질 등이 특히 강조되었던 시기이다.

셋째로, 우리나라 시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사회과의 성장과 변화를 꾀하려는 시대를 사회과의 ‘성장기’로 구분하여 고찰할 것이다. 이에는 제5차, 제6차 교육과정기가 해당된다. 이 시기부터는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을 목표로 제시하기 시작하였으며 초등 3학년부터 사회를 제시하는 등 변화를 도모하며 성장을 꾀한 시기이다.

넷째로,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따라 교육현장에서의 학문적 변화를 도모하고 사회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변혁을 도모하는 시대를 사회과의 ‘변혁기’로 구분하여 고찰할 것이다. 이에는 제7차 교육과정기, 2007개정, 2009개정, 2015개정교육과정기가 해당된다. 이 시기부터 국민 공통 과정과 선택 과정으로 체제를 변혁적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수요자의 입장을 반영하려는 교육적 시도와 개혁들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10여 차례의 개정 과정에서 사회과교육에서 나타난 큰 변화의 흐름을 고려하여 <표Ⅱ-2>와 같이 도입기, 정착기, 성장기, 변혁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해 나가고자 한다.

표 Ⅱ-2.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대 구분
변화 단계 사회과의 도입기 사회과의 정착기 사회과의 성장기 사회과의 변혁기
교육과정 시기 교수요목기∼제1차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제4차 교육과정 제5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2015개정 교육과정
특징 ․사회과교육과정이 도입되고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들어짐. ․우리나라의 시대 상황에 따라 조금씩 강조점이 드러나며 정착함. ․우리나라의 시대적 변화 흐름에 따라 중요한 변화를 보이며성장하려는 국 면이 나타남. ․현재의 2원 체제가 갖추어져 큰 축이 마련되었으나 여전히 세부적인 변화를 모색함.
공포연도 1946∼ 1963∼ 1987∼ 1997∼
Download Excel Table
다. 연구 문제 및 분석 기준

시기별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살펴보려는 주요한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회과의 목표와 성격은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② 한국이나 동북아 시대 상황은 어느 개정 시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③ 한국의 사회적 요구 사항은 어느 개정 시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④ 학문적 경향이 어느 개정 시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한 주요 기준을 제시하면 <표 Ⅱ-3>과 같다.

표 Ⅱ-3.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분석 기준
시대 분석의 관점
사회과의 목표 시대 상황 반영 사회적 요구 학문 경향 및 선택 과목
사회과의 도입기 교수요목기∼
제1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목표의 변화
․시대별 사회과의 성격의 변화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목표
․공산주의 반대, 반공사상 강조
․민족주체성 강조
․민주화 경향
․동북아시아의 정세 반영
․수요자 중심 원리
․역사 교육 강화
․경제 교육 강화
․인성 교육 강화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선택 과목 명칭 변화
․통합 및 분과의 경향
․선택 과목 종류 변화
사회과의 정착기 제2차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성장기 제5차 교육과정∼ 제6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변혁기 제7차 교육과정∼ 2015개정교육과정
Download Excel Table

이러한 분석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이 어떤 변화를 거쳐 왔으며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특정의 주제나 영역을 한정적으로 지정하여 분석하기보다는 열린 포괄적 분석을 해 나갈 것이다. 즉,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다양한 영역 중 사회과의 목표나 성격, 시대 상황이나 사회적 요구 사항, 사회과의 과목 편성에 영향을 주는 학문적 요소나 내용 구성에 나타난 변화 내용 등을 포착해 나갈 것이다. 교육과정 시기별로 변화 과정에서나 타나는 특징적인 면을 포착하고자 하며, 이전 시기보다 달라진 영역이나 내용 구성상의 특징을 포착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특징을 파악한 것에 기초하여 사회과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변화 및 성장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하여 교육과정 시기별 분석 결과를 교육과정 시기별로 표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표의 상단에는 각 학교 급별 해당 시기의 새로운 특징이나 표방하는 바를 제시할 것이며, 표의 하단에는 과목별 대단원명을 중심으로 정리한 단원내용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이 표 의 중심적인 특징을 해석하여 기술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변 화 흐름과 그 특성을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함에 있어 초․중학교의 경우 통합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표 안에서 함께 제시하고자 하나 고등학교의 경우 통합 과목인 ‘사회’를 제외하고 대부분 분과 중심의 여러 선택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군에서 발견되는 핵심 특징이나 변화 내용은 일사, 지리, 역사 영역 상관없이 표 안이나 내용 기술에서 선정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표 안의 단원내용 기술에서는 분량 제한으로 인해 사회와 일반사회 영역의 과목을 중심으로 기술할 것이다.

Ⅲ.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1. 사회과의 도입기
가. 교수요목기

해방 이후 민주시민 교육을 위해 처음으로 등장한 교육과정이 교수요목이다. 교수요목기 의 경우 초등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집이 제시되고 있어 이에 대해 살펴보면 <표 Ⅲ-1>과 같다. 이 시기 중등학교의 경우 실업 과정의 과목들이 제시되어 생략한다.

표 Ⅲ-1. 교수요목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교수요목집(1946. 9) 국민학교 사회생활과
특징 ․국가 생활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며, 저학년에서는 고장 생활에 대한 적응을 우선적으로 하고 4학년 이상에서는 우리 나라를 파악하게 함.
․질문식 교육: 각 단위의 세목마다 질문식으로 제시하여 이를 해결하는 데에 여러 근원을 찾아봄.
․사회생활과에 역사, 지리, 공민의 종합이 필요하며, 하급 학년에서는 일상적 고장 생활을 다루고 상급 학년에서는 역사, 지리, 공민이 종합되어 있음.
․사회생활과의 목표는 사회 생활의 이해 체득에 있으므로 인륜 도덕에 맞는 활동을 실천시켜야 함.
․민주주의적 교육: 교사와 아동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찰, 연구, 추리, 비판, 토론을 하여 아동들 자신이 정당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지도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가정과 학교 고장 생활 여러 곳의 사회 생활 우리 나라의 생활 다른 나라의 생활 우리 나라의 발달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 집의 동물
․우리 가족의 음식
․우리 가족의 의복․우리 가족의 휴양
․우리의 식량
․우리의 의복
․우리의 집
․우리 고장에서의 여행
․우리의 통신
․그 밖의 사회생활을 돕는 이들․일년 중의 기쁜 날
․우리 나라 국기와 다른 나라 국기
․우리 지방
․각 지역의 생활 양식의 다름(한대/열대/산간/해양 도서지방)
․사람의 자연에 대한 적응(농업/거주/의복)
․우리 나라의 지도 공부
․우리 나라 생활의 자연 환경
․우리 나라의 자원 과 산업
․우리 나라의 교통
․우리 나라의 도시와 촌락
․우리 집의 생활
․우리 민족의 유래와 고문화
․우리 나라와 외국과의 관계
․지구 이야기
․원시인의 생활
․고대 문명
․아시아와 그 주민
․유우롭과 그 주민
․아프리까와 그 주민
․남북 아메리까와 그 주민
․대양주와 그 주민·우리 나라와 세계
․원시 국가와 상고 문화
․삼국의 발전과 문화
․남북조의 대립과 그 문화
․고려와 그 문화
․근세 조선과 그 문화
․일본인의 압박과 해방
․건전한 생활
․우리 나라의 정치
․우리 나라 산업과 경제
·우리 민족성
․우리의 자각과 사명

(출처: 군정청, 문교부, 1946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면에서 질문의 형식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답을 찾아나가도록 설계하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환경확대법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표 Ⅲ-1>의 단원내용을 보면 가정 → 고장 → 지역 → 우리 나라 → 다른 나라라는 순으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공간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구성되고 있다.

나. 제1차 사회과교육과정기

미국의 교육과정을 도입했던 교수요목집 이후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교육과정을 개정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제1차 사회과교육과정기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좀 더 체계적으로 살펴보면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제1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1차 교육과정기(1955. 8) 국민학교 사회생활과
특징 ․국민학교 사회생활과는 사회적 및 어린이의 욕구에 의한 기초적 문제가 다루어져야 하며, 지리, 역사, 공민은 분과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심신 발달 단계로 보아 종합적으로 다뤄져야 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우리 집
우리 학교
이웃 생활 고장 생활 우리 생활의 내력 산업의 발달 우리 나라의 발전과 세계
․우리 학교
․인사
․소풍
․물건을 아껴쓰자
․안전
․좋은 버릇을 기르자
․튼튼한 몸
․동무
․우리집
․즐거운 날
․우리 학교와 우리 집
․착한 2학년
․우리 고장을 지켜주는 이들
․사람과 물건의 수송
․물건을 대어주는 이들
․심부름
․편지를 전하는 이들
․정직한 어린이
․금융조합과 은행
․면(읍) 사무소와 시청
․시간을 지키자
․우리들의 건강을 돌봐주는 이들
․우리들의 생활을 즐겁게 해주는 장소와 시설
․훌륭한 어린이
․우리 고장의 자연 환경
․우리들의 식량
․책임과 공역
․우리들의 옷
․우리들의 집
․도시와 시골 생활
․우리 나라의 북부 지방의 생활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 생활
․우리 나라의 산간지방 생활
․우리 나라의 해안지방 생활
․우리들의 예법
․우리 고장의 발전
․자유와 협동
․애림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우리 나라의 명승고적
․아름다운 풍속
․우리가 사는 지구
․손연모의 발달
․농사의 시작
․모듬살이
․예법을 지키자
․근로
․의약과 오락
․자원의 이용
․기계 발달과 산업
․교통과 수송
․상업과 무역
․은행과 조합
․우리 나라의 인구와 도시
․세계와 여러 나라
․국산품 애용
․아름다운 습관
․우리 나라의 내력
․우리 역사를 빛낸 이들과 물건
․우리 나라의 정치
․민주주의
․국제연합
․통일과 부흥
․아름다운 것
․종교
․국민의 본분
․우리들의 앞길
시기/급 제1차 교육과정기(1955. 8) 중학교 사회생활과(공민 부분)
특징 ․사회생활과 과정을 지리, 역사, 공민으로 잘라서 작성하며, 사회생활과에 배당된 시간 중 도의 교육 시간을 공제 한 나머지 시간 중에서 3 부분을 분리하여 교수함. 희망할 경우 3 영역을 종합하여 학습 가능함.
․공민 부분의 목적: 공민으로서 올바른 인간 관계를 유지 발전시키는 생활 태도를 개발하고 충성된 대한민국 국민을 길러내고자 하는 목적, 유능한 민주주의 국가의 국민이 되게 함.
․공민 부분의 교수 목표: 공민 부분 교수를 위해 이해, 기능, 태도 세 측면으로 분석함.
․공산주의를 물리치고 민주주의를 살려 국가 민족을 살리는 방안을 강조함.
․지식만을 이해시키려는 교수를 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민주 국가 사회의 공민으로서 올바른 계발을 위해 교수 방법 개선에 주의해야 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 공동 생활 국가 생활 국제 관계
내용 ․가정 생활
․학교 생활
․지방 생활
․그 밖의 공동 생활
․사회 생활의 실태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
․공동 생활에 필요한 요소
․공동 생활에 공헌하는 길
․집단 생활과 국가 생활
․우리 나라 민주 정치
․국회와 법원
․중앙 행정과 지방 행정
․선거
․경제 제도
․직업과 우리 생활
․현명한 사회 생활
․국가와 민족
․국가와 국가와의 관계
․무역
․국제 평화
․민주주의의 이상
․대립된 세계
․부흥 재건 ·문화의 향상
․우리 민족의 과업
․세계 인류에 공헌하는 길
시기/급 제1차 교육과정기(1955. 8) 고등학교 사회과(일반사회 과정)
특징 ․고등학교 사회과는 (필수인) 일반사회, 도덕, 국사와 (선택인) 세계사, 지리의 5 분과로 됨.
․일반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중심으로 민주주의 생활 원리와 양식을 도야 향상시키므로 도덕 교육과 병
행하고 사상 선도에 유의해야 함.
․일반사회 교육 목표: 공민의 자질 계발, 애국 애족의 정신, 건전한 비판력으로 문제 해결, 반공 사상 철저.
․민주주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능력과 태도 계발.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정치와 사회 경제와 사회 문화의 창조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국회는 어떻게 조직되며 그 하는 일은 무엇인가?
․정부는 어떻게 조직되며 그 하는 일은 무엇인가?
․법원은 어떻게 조직되며 그 하는 일은 무엇인가?
․재정이란 무엇이며, 우리 나라 재정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지방 자치
․국가란 무엇이며 국가의 사명은 무엇인가?
․민주주의의 근본정신
․입헌 정치
․권력의 분립이란 무엇이며 그것은 왜 필요한가?
․선거 제도
․교육과 사회 발전
․사상 문제
․민족과 국가
․사회 문제란 무엇이며 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국민의 길
․우리 생활과 경제
․생산과 산업
․생산의 요소
․기업
․우리나라 산업
․수요
․공급
․가격·화폐·금융
․소비·국민 소득의 순환
․재정·경제의 변동
․경제와 도덕
․실업 문제와 노자 문제
․사회 보장 무과 사회 산업
․경제 문제와 국제적 협동
․현실과 이상
․학문
․예술
․도덕
․신념과 사상
․문화의 창조

(출처: 문교부, 1955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중학교 일반사회의 교수 목적을 이해, 기능, 태도 영역이라는 세 측면으로 분류하고 있다.

오늘날 사용하는 지식, 기능, 태도와는 약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당시 지식 위주의 수업 방향을 극복하여 공민의 자질을 개발할 수 있는 ‘이해’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육과정 중 ‘국가와 민족’ 단원에서는 우리 국가가 단일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수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민족의 과업으로 국토 통일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또한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가 대립된 국제 정세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등학교에서도 국민의 길에서 민주주의 구현이나 국민의 권리와 의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남북 통일을 위한 노력 등으로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다.

1950년 중반의 이 시기에는 국민과 민족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반공 사상을 철저히 하여 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가는 공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회과의 도입기(교수요목기, 제1 차 교육과정기)에는 민주 사회의 공민적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사회과의 정착기
가. 제2차 사회과교육과정기

제2차 교육과정기의 경우 반공․도덕 교육을 강조하며 이를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독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시기의 학교 급별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표 Ⅲ-3>과 같다.

표 Ⅲ-3. 제2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국민학교 사회
특징 ․국민학교 교육과정은 사회를 포함한 8개의 교과 활동, 반공․도덕 생활, 특별활동으로 구성됨.
․반공․도덕 교육을 전체 학교 교육에서 실시하여 철저한 반공 의식을 함양하고 민주적 신념과 태도를 기르고 올바른 국민 정신의 신장 강조.
․사회과의 목표로 자유 민주 국가의 참된 사회 생활을 이해시키고 투철한 반공 생활 영위 강조.
․학년 목표: 1학년은 우리, 학교나 가정, 2학년은 학교, 가정, 이웃, 3학년은 고장, 4학년은 이웃 지방의 생활, 5학년은 우리 나라의 산업, 6학년은 우리 나라의 자유 민주 국가로서의 정치, 제도, 세계 여러 나라와 협조, 국토 통일 등을 다루도록 제시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즐거운 우리 학교
․선생님과 동무
․학교 가는 길
․우리 집
․이웃의 놀이터
․여러가지 행사
․우리 마을의 살림살이를 맡아보는 분들과 기관
․물건을 대어주는 분들과 시설
․우리에게 소식을 전하여 주는 분들과 시설
․여행과 물건의 수송
․우리들의 생활 안전을 지켜주는 분들과 기관
․우리들의 마을 생활
․고장의 자연 환경
․고장의 살림살이를 돕는 기관과 시설
․고장에서 나는 것
․여러 고장의 생활
․옛날의 우리 고장
․앞날의 우리 고장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
․산림 녹화
․우리 나라의 명승 고적
․우리 나라 여러지방의 생활
․모듬살이
․농업의 발달
․우리 지방의 발달
․근로와 우리 생활
․자원의 이용
․기계 발달과 산업
․경제 생활과 금융기관
․교통과 상업
․우리 나라 산업의 발달
․우리 나라의 발달
․민주주의와 정치
․세계 여러 나라의 생활
․한국과 국제 연합
․새로운 문화 생활
․우리의 할 일
시기/급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중학교 사회과
특징 ․애국 애족의 정신과 반공 민주 국가 건설의 신념을 기르는 것을 사회과의 목표로 함.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우리 나라가 발전하도록 하고, 국제협조에 공헌하는 태도를 가짐.
․1학년은 우리 국토의 생활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2학년은 단일 민족으로 통일의 과업을 완수하도록 하고 경제나 문화, 세계의 발전을 이해하게 하고, 3학년은 공산주의를 배격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하도록 함.
․중학교 사회과: 공민, 역사, 지리 부분의 구분을 하지 않고 역사 단원에서도 세계 역사와 한국의 역사를 같은 단원에 제시하여 동일 시대의 역사를 파악하도록 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향토 생활과 향토의 제 문제
․우리 나라 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활
․우리 나라의 자연과 생활
․세계 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활
․세계의 자연과 생활
․세계와 우리 나라
․인류 문화의 시작
․삼국 시대의 고대 세계의 생활
․민족의 통일과 세계의 발전
․우리 나라와 세계의 근대화
․대한민국의 발달
․오늘의 세계와 우리의 할 일
․인간과 사회 생활
․민주 정치
․경제 생활
․문화와 사회 문제
․국제 관계와 우리 생활
시기/급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고등학교 사회과
특징 ․고등학교 사회과: 일반사회, 국민윤리, 정치․경제, 국사, 세계사, 지리Ⅰ, 지리Ⅱ 과목을 포함함.
․일반사회는 민주주의 사회 생활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게 하고, 고등학교 사회과의 한 과목으로 국민윤리는 우리국민 윤리와 국민성 순화에 공헌하고 민주주의에 위배되는 사상을 민주주의와 비교 고찰함. 정치․경제에서도 반공, 도의 정신의 앙양을 강조하고 있음. 국사에서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찾고 반공 사상을 강화함. 세계사에서는 세계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왕조의 흥망보다는 사회, 경제, 사상의 문화 생활을 중시함. 지리Ⅰ에서는 국토 지리의 계통 학습에 중점을 두고 우리 나라의 국토와 자원에 대해 학습하고, 지리Ⅱ에서는 세계의 자연과 인문 생활의 특징을 파악함.
과목 일반사회 국민윤리 정치․경제
단원내용 ․민주주의
․공산주의의 비판
․개인과 국가
․국민 경제 생활
․국토 건설
․사회 문제
․민족 문화의 향상
․청소년의 자각
․문화와 윤리
․윤리적 가치 판단
․사상의 변천과 윤리
․우리 국민 윤리의 확립
․품격의 도야와 인생관의 형성
․민주 정치의 본질
․우리 나라의 헌법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경제의 구조
․우리 나라의 경제
․국제 관계와 국제 정세

(출처: 문교부, 1963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이 시기는 교육활동 전반에서 반공정신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초등학교에서는 반공․도덕 생활 영역을 교과 활동 영역 외에 별도로 구성하였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사회과의 한 과목으로 ‘국민윤리’를 신설하여 사상 교육과 국민의 윤리 의식의 확립을 강조하였다. 또한 일반사회 과목에서도 공산주의 비판 및 민주주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치․경제에서는 정치와 경제를 다루고 있으며, 민주 정치를 소개하고 사회주의나 공산주의 정치를 비판하고 있다. 이 외에 헌법의 영역을 다루고 국제 관계 영역으로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의 대외 정책을 제시 하고 있다. 중학교 사회과에서는 역사 영역의 기술에서 세계사와 한국 역사를 동일 시대에서 함께 제시하여 동시대의 동서양의 흐름을 파악하게 하고 있다.

그리하여 1960년대의 이 시기에는 사회과 내 여러 과목에서 반공 의식 강화를 강조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과 내 ‘국민윤리’라는 과목까지 신설하여 국민의 의식 교육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제3차 사회과교육과정기

1970년대 들어 제3차 교육과정기의 경우 국민의 자질 함양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이 시기의 학교 급별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표 Ⅲ-4>와 같다.

표 Ⅲ-4. 제3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3. 2) 국민학교 사회
특징 ․국가 발전과 국민적 과제 해결에 참여하는 국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1학년은 학교와 가정 등 집단 생활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고 2학년은 자기가 사는 고장의 사회 생활에 관심을 갖고, 3학년은 고장 생활의 특색을 이해하여 시공간에 대한 의식을 넓히고, 4학년은 시․도의 사회 생활의 모습을 이해하고, 5학년은 조상의 생활에 애정을 갖고 세계 여러 곳의 생활에 관심을 갖고, 6학년은 민주주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 국가 국민의 자각을 굳게 하고 국제 관계 속 협력에 대해 인식함.
․사회과 내에서 5, 6학년의 경우 국사 부분, 지리․공민부분으로 나뉘어 제시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학교생활
․가정생활
․이웃과 동네의 생활
․물건의 생산과 유통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
․교통․통신에 종 사하는 사람들
․생명, 재산 건강 보호에 종사하는 사람들
․고장의 생활
․자연의 이용과 의․식․주
․여러 고장의 생활
․세계 여러 곳 사람들의 생활
․고장 생활의 옛날과 오늘
․고장 사람들의 협동 생활
․우리가 사는 시․도
․우리 나라 각 지방 의 생활
․국토환경과국민생활
․국토의 보전과 개발
․우리 조상들의 생활 내력과 그 자취
․우리 나라 경제 생활의 발전
․우리나라문화의발전
․산업과 경제 생활
․경제 개발 계획과 국민 생활의 향상
․우리가 사는 세계
․우리 민족의 성장
․근대 사회로의 전환
․세계 안의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우리의 생활
․국민으로서의 책임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3. 8) 중학교 사회과
특징 ․국사가 사회과에서 독립되어 제시됨.
․민주 국가의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높여 국가와 인류 공영에 기여하는 자질 함양.
․1학년은 지역의 특색, 국토의 자원 개발에 대해 이해하고 2학년은 문화 형성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3학년은 민주주의의 제 원리를 기반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생활의 특성을 인식.
․중학교에서는 국토 통일과 민족 중흥의 사명을 강조하고 민족 주체 의식을 강조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향토 사회 생활
․우리 나라 각 지역의 생활
․우리 나라의 자연과 생활
․세계 각 지역의 생활
․세계의 자연과 생활
․우리의 당면 과제
․인류와 문화
․고대 세계의 생활
․중세 세계의 생활
․근세 세계의 생활
․아시아의 근대화 운동
․세계의 시련과 오늘의 우리
․민주주의와 정치
․국민 생활과 법률
․경제 생활·경제 개발
․현대 사회와 우리 생활
․인류 사회의 여러 문제
․우리의 사명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4. 12) 고등학교 사회과
특징 ․국사는 독립되어 제시되고 고등학교 사회과는 정치․경제, 사회·문화, 세계사, 국토지리, 인문지리 과목을 포함함.
․민주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갖고 국가와 민족의 번영에 이바지하는 태도와 능력 함양.
․정치․경제는 민주 정치의 발전과 민주주의를 토착화하는 데 이바지하는 태도 함양, 법률의 이해, 경제의 기본 원리와 국민 경제의 특징 이해.
과목 정치․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우리 나라의 현실과 민족 중흥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우리 나라의 헌법
․국민과 법률 생활
․국민 경제의 순환과 성장
․우리 나라의 현실과 민족의 진로
․개인과 사회 생활
․사회 변동과 근대화
․국가의 발전 계획

(출처: 문교부, 1973, 1974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제3차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지도상의 유의점에서는 제1학년에서 이웃과 동네, 제2, 3학년에서 고장, 제3학년에서 우리와 다른 생활을 하는 사람들, 제4학년 이상에서는 여러 자료의 해 석과 활용에 의한 사고의 경험을 개발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환경확대법의 원리를 전반적으로 적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다른 주제의 학습 내용을 결합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국민의 자질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일환으로 국사를 사회과에서 독립시켜 구성하였으며, 국토 통일이나 민족 주체 의식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사회․문화의 ‘국가의 발전 계획’ 단원에서는 새마을 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리하여 1970년대의 이 시기에는 민족 주체 의식을 강조하는 우리 나라의 국가적 요구가 강하게 반영되었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는 사회과학의 탐구 방식을 강조하는 경향도 함께 포착이 되고 있다.

다. 제4차 사회과교육과정기

1980년대 제4차 교육과정기의 경우 제3차 교육과정기와 마찬가지로 국민의 자질을 강조하 고 있으나 차이점도 발견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표 Ⅲ-5>와 같다.

표 Ⅲ-5. 제4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4차 교육과정기(1981. 12) 국민학교 사회
특징 ․민주 국가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가져 국민적 자질 함양.
․1학년은 학교와 가정, 이웃 등 생활 주변 현상을 이해하고 2학년은 우리 고장의 사회 생활에 관심을 갖고, 3학년 은 고장 생활의 변천, 특색을 이해하고, 4학년은 시․도의 생활의 모습과 우리나라의 자연 및 인문 환경을 이해하고, 5학년은 국가 및 우리 민족의 생활을 이해하고 세계 여러 곳의 자연 환경 및 생활에 관심을 갖고, 6학년은 민주주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 국가 국민의 자각을 굳게 하고 세계 속 한국인의 민족 문화 발전과 인류 공영에 대해 이바지하는 태도를 함양.
․1학년 나라 사랑의 단원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국가 원수를 제시하고 있음.
․국사 내용을 사회과에 넣어 구성하고 있는데 6학년에서 많이 제시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학교 생활
․가정 생활
․이웃 생활
․나라 사랑
․우리들의 생활 모습
․우리 고장 의 자연 환경
․고장 사람 들의 협력
․자연의 이용과 우리 생활
․여러 고장의 생활
․우리와 자연 환경이 서로 다른 고장 사람들의 생활
․고장 생활의 변화와 발전
․고장의 공동 생활
․시․도 및 지역 의 생활
․우리 나라의 자 연과 생활
․지역 개발과 국토의 활용
․사회 생활과 우리의 할 일
․우리 민족의 생활 자취
․국가와 국민 생활
․우리들의 경제생활
․우리가 사는 세계
․우리 나라 사회 생활의 발달
․우리 나라 산업의 발달·우리 나라의 학문과 기술의 발달
․우리 나라 종교와 예술의 발달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국민 경제 생활의 발전
․세계와 우리 나라
․우리 민족의 형성과 성장
․민족 국가의 발전
․근대화의 길
․20세기의 민족사
시기/급 제4차 교육과정기(1981. 12) 중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각을 갖고 국가와 인류 공영에 기여하는 국민적 자질 함양.
․내용 제시 순서에서 지리, 일반사회, 세계사의 영역이 혼재되어 구성되고 있음.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인간과 사회
․향토의 생활
․우리 나라 각 지방의 생활
․국가 생활과 정치
․법과 국민 생활
․경제 생활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산업 활동
․국토 개발과 당면 과제
․세계의 자연 환경과 생활
․아시아 및 아프리카 각 지역의 생활
․고대 아시아의 생활
․중국 사회의 발전
․아시아 여러 민족의 활동
․유럽,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 각 지역의 생활
․지역간의 상호 의존과 세계 속의 한국
․서양 문화의 형성
․중세 유럽의 세계
․서양 근대 사회의 발전
․아시아의 근대화
․현대의 세계
․민주 정치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국민 경제의 순환과 국제 경제
․현대 사회와 우리의 생활
시기/급 제4차 교육과정기(1981. 12) 고등학교 사회과
특징 ․국사는 독립되어 제시되고 고등학교 사회과는 사회Ⅰ, 사회Ⅱ, 지리Ⅰ, 지리Ⅱ 과목을 포함함.
․민주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갖고 국가와 민족의 번영에 이바지하는 태도와 능력 함양.
․사회Ⅰ은 민주 정치의 발전과 법의 이해, 시장 경제의 기본 원리 이해. 조국 통일과 국가 번영을 위한 국민 정신교육 충실. 사회Ⅱ는 민주 국민의 자각을 갖고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 사회 과학 탐구 방법 습득 및 사회 문화 특성과 헌법의 이해, 국민 경제 이해.
과목 사회Ⅰ 사회Ⅱ
단원내용 ․올바른 사회 생활
․개인과 사회 생활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국민 생활과 법
․경제 생활
․현대 사회와 국민 복지
․사회 현상의 과학적 인식
․인간과 문화
․국가와 정치
․우리 나라의 헌법
․국민 경제

(출처: 문교부, 1981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80년대 초반인 이 시기에도 국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1학년 ‘나라 사랑’의 단원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국가 원수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초등학교의 국사 내용을 사회과에 넣어 구성하고 있다.

중학교 사회과에서는 지리, 세계사, 일반사회 내용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어 사회과 내 통합을 지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의 경향은 고등학교의 과목명에서도 나타나는데, 사회Ⅰ, 사회Ⅱ, 지리Ⅰ, 지리Ⅱ로 제시하여 학문의 내용 영역을 과목명에서 구체적으로 명시하던 제3차 시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제4차 시기에는 국민의 자질,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세 등을 강조하며 교육을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과의 정착기(제2차, 제3차,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민주 국가의 국민의 자질’ 함양을 강조하며 민족의 주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사회과의 성장기
가. 제5차 사회과교육과정기

제5차 사회과교육과정기에 접어들면서 초등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제시되는 특징을 갖는다. 사회과의 이러한 학년 구성 방식은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데 이 시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표 Ⅲ-6>과 같다.

표 Ⅲ-6. 제5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5차 교육과정기(1987. 6) 국민학교 사회
특징 ․민주 국가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가져 국민적 자질 함양.
․국민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6학년에 제시됨. 3학년은 고장 생활의 특색을 이해하고, 4학년은 시․도의 생활의 모습과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을 이해하고, 5학년은 국가 및 우리 민족의 생활을 이해하고, 6학년은 민주주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 국가 국민의 자각을 통해 세계 속 한국인으로서 인류 행복에 대해 이바지하는 태도를 함양.
․도덕 과목으로 바른 생활(1,2학년), 도덕과(3~6학년), 자연 과목으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등장.
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우리들의 생활과 자연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고장
․우리 고장의 공동 생활
․우리 고장의 변화와 발전
․우리 시․도의 생활
․우리 나라 각 지방의 생활
․우리 민족의 생활 자취
․인간의 사회 생활
․국가와 국민 생활
․우리들의 경제 생활
․우리 나라의 산업 발전
․국토와 자원의 활용
․우리 문화 생활의 발달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우리 경제의 흐름
․세계와 우리 나라
․우리 민족의 형성과 발전
․근대화의 길
․대한 민국의 발전
시기/급 제5차 교육과정기(1987. 3) 중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적 자질 함양.
․1학년은 지리, 세계사 내용, 2학년은 세계사, 일반사회 내용, 3학년은 일반사회와 지리 내용이 제시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인간 생활과 사회 현상·향토의 생활
․우리 나라 각 지방의 생활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생활
․유럽,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의 생활
․인류 문화의 기원
․아시아 사회의 성장
․서양 고대 문화의 형성
․서양 중세 사회의 성장
․아시아 사회의 변천
․서양 근대 사회의 발전
․아시아의 근대화
․현대의 세계
․국민 생활과 정치
․국민 생활과 법
․인간과 경제 생활
․인간과 사회·문화 생활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국민 경제와 국민 생활
․우리 나라의 경제
․현대 사회의 성격과 우리의 사회·문화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주민 생활
․국토의 이용과 환경의 보전
․세계의 자연 환경과 인간 활동
․발전하는 우리 나라와 미래 사회
시기/급 제5차 교육과정기(1988. 3) 고등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갖고 국가와 인류의 공영에 이바지하는 국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고등학교 사회과에는 정치·경제, 사회·문화, 한국 지리, 세계 지리, 세계사 과목이 제시됨.
․정치·경제는 민주 정치의 특성과 시장 경제의 기본 원리 이해 및 자유 민주주의의 생활 원리 이해를 다룸.
․사회·문화는 사회 문화적 행동 특성과 법의 이해를 다룸.
과목 정치·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정치 경제 현상의 인식
․민주주의와 정치
․국가와 정치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가계 기업 및 시장
․국민 경제의 구조와 순환
․국민 경제와 경제 발전
․우리 나라의 경제
․사회 현상과 사회 과학
․개인과 사회 생활
․문화의 특성과 변동
․사회와 법 규범
․현대 사회와 복지 생활

(출처: 문교부, 1987, 1988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사회과는 국민적 자질의 함양을 교과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중학교 사회과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함양할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제5차 교육 과정기에 들어 중학교의 목표 기술에서 ‘국민’이라는 용어를 생략한 것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시기에 들어 초등학교의 사회과가 3학년부터 제시되는 특징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1∼2학년에는 ‘바른 생활’과 ‘슬기로운 생활’ 과목이 등장하였는데 이 시기의 ‘슬기로운 생활’에는 자연 과목의 내용 위주로 구성이 되었다.

그리하여 198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시민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시민의 자질’이라는 용어가 문서에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제6차 사회과교육과정기

1990년대 제6차 교육과정기에 들어 초·중·고등학교의 목표에서 모두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 시기부터 과목별로 내용 체계표를 구성하여 교육과정 문서의 틀을 잡아나가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표 Ⅲ-7>과 같다.

표 Ⅲ-7. 제6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 급 제6차 교육과정기(1992. 9) 국민학교 사회
특징 ․민주적 생활과 조화로운 인간 관계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함양하며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적 자질 함양.
․국민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6학년에 제시됨. 3학년은 고장 생활의 특색을 이해하고, 4학년은 시․도의 생활의 모습과 우리나라의 생활 환경을 이해하고, 5학년은 우리 나라 산업을 이해하고, 6학년은 세계 자연 환경과 우리나라 민주 정치를 파악함.
․도덕 과목으로 바른 생활(1,2학년), 도덕과(3∼6학년), 사회와 자연의 통합과목으로 슬기로운 생활(1,2학년) 등장.
․교과별 목표와 내용, 지도 및 평가상 유의점이 제시되던 과거와 달리, 교과별 성격, 목표 및 학년별로 내용 체계 표, 방법, 평가 내용이 제시됨.
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우리 고장의 생활 환경(시·군) 시·도 지역의 공동 생활(시·도) 우리 나라의 생활과 문화(국가) 세계와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국가·세계)
․우리 고장의 모습
․고장 사람들의 물자생산과 그 이용
․고장 생활의 변화
․보다 나은 고장 생활
․우리 시․도의 모습과 내력
․우리 시․도 사람들의 생활
․여러 지역의 생활
․가정과 사회 생활
․산업과 경제 생활
․살기 좋은 우리 국토
․우리 민족의 문화 생활
․자율적인 시민 생활
․민족과 국가의 성장
․새로운 사회와 문화의 건설
․민주 국가로의 발전
․가까워지는 세계와 우리 나라
시기/급 제6차 교육과정기(1992. 9) 중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교과별 성격, 목표 및 학년별로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내용 체계표에 영역이 표시됨.
․사회과의 내용 체계에 지리, 세계사, 정치, 경제, 사회·문화, 국사가 포함됨.
․사회과교육과정에 국사가 포함되었으나 주당 2시간씩 별도로 배당, 지도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지역과 사회 탐구
․중부 지방의 생활
․남부 지방의 생활
․북부 지방의 생활
․고대 문명의 형성
․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아시아 전통 사회의 발전
․동부 및 남부 아시의 생활
․남부 및 서남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생활
․유럽 문화권의 형성
․서양 근대 사회의 발전
․유럽의 생활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의 생활
․19세기 세계
․현대 세계의 전개
․현대 세계의 정치·경제
․현대 사회와 시민 생활 <국사 영역> 8단원 제시
․인간과 사회·문화 생활
․민주 정치와 시민의 참여
․현대 경제와 시민 생활
․현대 사회 생활과 법 질서
․공업화, 도시화와 환경 문제
․자원 문제와 국토의 효율적 이용
․국제 사회 속의 한국인 <국사 영역> 7단원 제시
시기/급 제6차 교육과정기(1992. 10) 고등학교 사회
특징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고등학교 사회과에는 공통사회, 국사, 정치, 경제, 사회·문화, 세계사, 세계 지리 과목이 제시됨.
․공통사회는 사회과의 기초 과목으로 1학년에서 다루며, 사회 영역(사회, 문화, 정치, 법, 경제 등)과 지리 영역(우리 국토)으로 구성되어 통합적으로 사회를 인식하도록 구성됨.
과목 공통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시민 사회의 형성과 발전
․사회적 쟁점과 문제의 해결 방법
․사회·문화 생활의 문제와 해결
․경제 생활의 문제와 해결
․법 생활의 문제와 해결
․정치 생활의 문제와 해결
․민주 시민의 사회 참여
․국토의 이해
․자연환경과 생활
․생활 공간의 변화
․경제활동의 지역구조
․국토 개발과 환경 보전
․각 지역의 생활
․국토의 분단과 통일
․국제화 시대의 한국
․현대시민생활과 민주정치
․시민 생활과 법
․시민의 정치 참여와 정치 과정
․한국의 민주 정치
․국제 관계와 한국 민주 정치의 과제
․경제 생활의 이해와 의사 결정
․생산과 소비 활동
․시장 경제의 특성과 경제 활동
․현대 국민 경제의 이해
․현대 사회와 경제 문제
․우리경제의발전과당면과제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
․개인과 사회구조의 이해
․공동체생활과 지역사회
․인간과 문화 생활
․현대 사회의 문제
․현대사회의발전과미래

(출처: 교육부, 1992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1990년대 초·중·고등학교 교과 목표를 보면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이라고 하나로 통일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시기부터는 사회과의 성격 부분이 신설되어 이 부분에서 사회과가 양성 하고자 하는 시민상을 초·중·고등학교에서 동일하게 제시하여 통일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1, 2학년 과정에 ‘슬기로운 생활’이 제시되어 사회와 자연의 통합 과목으로 내용이 새롭게 구성되었다. 과거 제5차 시기에는 자연 위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나 제6차 교 육과정기에는 사회 현상과 자연 현상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다루도록 하였으며, 이 후 사회, 자연의 교과 과목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사회 3∼6학년 단원내용을 살펴보면 학년 설계에서 환경확대법의 원리를 명시적으로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6차 시기에는 통합을 지향한 국면이 나타난다. 중·고등학교에서는 국사 과목이 사회과에 포함되었으며, 고등학교에서 ‘정치’와 ‘경제’가 분리되고, ‘공통사회’ 과목이 등장하였다.

‘공통사회’는 통합 사회과를 지향하고 있으나 일반사회와 한국지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일반 사회, 역사, 지리, 국민윤리를 모두 합친 통합은 되지 못하고 부분적이나마 통합을 지향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교육부, 1997b, pp. 72-73).

그리하여 제6차 시기에는 사회과의 성격 부분이 신설되어 초·중·고등학교 사회과의 특성이 동일하게 제시될 수 있었다. 사회과의 성장기(제5차,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사회과의 성격 측면에서 ‘국민’으로부터 ‘시민’의 자질 함양을 강조하는 사회과로 넘어가기 시작하는 변화의 흐름이 반영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민주화를 갈망하는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사회과가 양성하고자 하는 인간상도 자신의 권리를 향유하고 공동체의 문제에 참여하는 민주 시민의 모습을 지향하게 되었다.

4. 사회과의 변혁기
가. 제7차 사회과교육과정기

제7차 사회과교육과정기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사회과교육과정 문서에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초·중등학교 사회과의 특징을 <표 Ⅲ-8>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표 Ⅲ-8. 제7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7차 교육과정기(1997. 12) 초·중등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함양하며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판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을 강조.
․초·중·고등학교의 사회과교육과정 문서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성격, 목표가 제시되고 3∼10학년 내용 제시 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가 제시됨. 선택과목의 경우 각각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가 제시됨.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국사, 인간 사회와 환경,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다양한 선택 과목을 구성함.
․초등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6학년에 제시되며,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사회는 3∼10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8∼10학년에서 국사가 제시되며, 선택중심교육과정 시기인 11∼12학년에서는 일반 선택-인간 사회와 환경, 심화 선택-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인간 사회와 환경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사회와 심화 선택 과목 사이의 일반 선택 과목임.
․3학년은 고장, 4학년은 지역, 5학년은 우리나라, 6학년은 지구촌 등으로 확대되고, 7학년은 지리와 세계사, 8학년은 세계사와 일반사회, 국사, 9학년은 국사, 지리와 일반사회, 10학년은 지리와 일반사회, 국사가 제시되고 있음.
․사회과교육과정 중 사회의 학년별 내용 부분에서 대체로 중단원 단위마다 <심화 과정> 부분의 내용이 제시되어 수준별 학습이 가능함. 선택과목에서는 <심화 과정>이 제시되지 않음.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 활동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진도와 성취도에 따른 평가 제시.
․심화 과정 학습자에게는 고차적 사고 기회를 부여하도록 과제를 부여하고, 보충 과정 학습자에게는 기본 과정의 학습 결손을 보충할 기회를 제공함.
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고장의 모습과 생활
․고장 생활의 중심지
․고장 생활의 변화
․고장사람들이 살아가는모습
․우리가 사는 지역 사회
․주민 자치와 지역 사회의 발전
․옛 도읍지와 문화재
․사회 변화와 가정 생활
․우리 국토의 모습
․여러 지역의 생활
․세계 속의 우리 경제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우리 겨레, 우리 나라
․새로운 사회, 문화로 가는 길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함께 살아가는 세계
학년 7학년 8학년 9학년
단원내용 ․지역과 사회 탐구
․중부 지방의 생활
․남부 지방의 생활
․북부 지방의 생활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생활
․유럽의 생활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의 생활
․인간 사회와 역사
․인류의 기원과 고대 문명의 형성
․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
․유럽 세계의 형성
․서양 근대 사회의 발전과 변화
․아시아 사회의 변화와 근대적 성장
․현대 세계의 전개
․현대 사회와 민주 시민
․개인과 사회의 발전
․사회 생활과 법 규범<국사 영역> 4단원 제시
․민주 정치와 시민 참여
․민주 시민과 경제 생활
․시장 경제의 이해
․현대 사회의 변화와 대응
․자원 개발과 공업 발달
․인구 성장과 도시 발달
․지구촌 사회와 한국<국사 영역> 6단원 제시
과목 사회(10학년)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국토와 지리 정보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
․생활 공간의 형성과 변화
․환경 문제와 지역 문제
․문화권과 지구촌의 형성
․시민 사회의 발전과 민주 시민
․정치 생활과 국가
․국민 경제와 합리적 선택
․공동체 생활과 사회 발전
․사회 변동과 미래 사회
․법의 이념과 권리, 의무
․개인 생활과 법
․사회 생활과 법
․국가 생활과 법
․법 생활의 발전과 과제
․시민 생활과 정치
․정치 과정과 참여
․우리 나라의 민주정치
․국제 사회와 정치
․정치 발전의 과제
․경제 생활의 이해와 경제 문제 해결
․시장과 경제 활동
․경제 주체의 합리적 선택
․국민 경제의 활동과 경제 변동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의 미래 전망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
․현대 사회와 사회문제
․미래 사회의 전망과 대응

(출처: 교육부, 1997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과거의 ‘국민학교’라는 용어가 사라지고 ‘초등학교’라는 명칭이 이 시기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이 시기부터는 사회과교육과정을 초·중·고등학교별로 각각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문서에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시작하여 사회과의 목표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이라고 통일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는 성격-목표-내용(내용 체계 및 영역별 내용)-교수·학습 방법-평가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 방식은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1∼10학년까지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설정하고, 11∼12학년을 선택중심교육과정 기간으로 정해 다양한 선택 과목 중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였다. 초등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제시하여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시기 중 사회과는 3∼10학년까지 내용 체계표를 제시하고 있다.

선택중심교육과정 중 일반 선택으로 ‘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이 개설되고, 심화 선택으로 ‘법과 사회’가 신설되어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9개가 개설되었다. 그리하여 ‘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은 고등학교 ‘사회’와 심화 선택 과목의 중간 단계의 학습을 지원하는 과목으로 이 시기에만 잠시 등장하였다. ‘법과 사회’는 그 동안 법 교육이 정치의 영역 속에 1∼2개 단원 정도로 제시되는 것에서 독립하여 5개 단원을 처음으로 독자적으로 구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기에는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과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이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과정이 사회과에서는 특히 이 시기에만 제시되었는데, 사회과교육과정 문서에서 중단원 규모마다 ‘심화 과정’의 내용이 대체로 제시되었다. 그리하여 제7차 교육과정기에는 사회과의 큰 변화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선택중심교 육과정이라는 2원 체제가 처음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학습자의 입장을 존중하여 수준별 수업이나 선택권을 강화하고, 학습 과정에 수행 평가를 도입하고 구성주의적 지식관 등이 도입되는 등 학문적인 다양한 접근이 강조된 시기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접근의 시도가 교육 현장에서 뿌리를 내리는 측면도 있었으나 시행착오로 곧 사라지는 요소도 나타나 학교 현장에 큰 회오리바람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나. 2007 개정 사회과교육과정기

2007 개정 교육과정기부터는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개정 연도를 붙여 지칭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기에서도 초·중등학교가 하나의 사회과교육과정 문서에 내용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를 살펴보면 <표 Ⅲ-9>와 같다.

표 Ⅲ-9. 2007 개정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2007 개정 교육과정기(2007. 2) 초·중등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판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을 강조.
․초·중·고등학교의 사회과교육과정 문서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성격, 목표가 제시되고 3∼10학년 내용 제시 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가 제시됨. 선택과목의 경우 각각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가 제시됨.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역사,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문화사, 세계역사의 이해, 동아시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다양한 과목을 구성함.
․초등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6학년에 제시되며,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사회는 3∼10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선택중심교육과정 시기인 11∼12학년에서는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문화사, 세계역사의 이해, 동아시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 고장의 정체성
․고장의 생활문화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주민 자치와 지역 사회의 발전
․우리 지역과 관계 깊은 곳들
․하나 된 겨레
․다양한 문화가 발전한 고려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아름다운 우리 국토
․우리 경제의 성장과 과제
․환경을 생각하는 국토가꾸기
․사람들이 모이는 곳
․이동과 의사소통
․다양한 삶의 모습들
․경제 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여러 지역의 생활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
․새로운 문물의 수용과 민족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학년 7학년 9학년 10학년
단원내용 [지리 영역]
․내가 사는 세계
․다양한 기후 지역과 주민 생활
․다양한 지형과 주민 생활
․지역마다 다른 문화
․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 [일반사회 영역]
․개인과 사회생활
․문화의 이해와 창조
․우리의 생활과 법 ·인권 보호와 헌법
[지리 영역]
․자원의 개발과 이용
․산업 활동과 지역 변화
․지역에 따라 다른 환경 문제
․세계 속의 우리나라
․통일 한국의 미래 [일반사회 영역]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정치 과정과 참여민주주의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시장 경제의 이해 ·국민 경제의 이해
[지리 영역]
․국토와 지리 정보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
․문화 경관의 다양성
․장소 인식과 공간 행동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일반사회 영역]
․문화
․정의
․세계화
․인권
․삶의 질
과목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법 생활의 기초
․국가적 생활과 법
․개인적 생활과 법
․사회적 생활과 법
․범죄와 형사 절차
․민주 정치의 발전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의 조직과 통치
․정치 과정과 참여
․국제 사회와 정치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의 이해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시장과 경제 활동
․시장 기능의 한계와 정부 개입
․국민 경제의 이해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문화와 사회
․사회 계층과 불평등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출처: 교육인적부, 2007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이 시기에도 1∼10학년까지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설정하고, 11∼12학년을 선택중심 교육과정 기간으로 정한 체제는 그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주5일 수업제 도입과 관련하여 교과의 내재적 문제를 개편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강대현, 모경환, 2013, p. 11). 고등학교에서는 일반 선택과 심화 선택을 구분하지 않고 일반 선택 단계가 사라졌다. 선택 과목 중 ‘동아시아사’가 신설되어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10개의 다양한 선택 과목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뒤이어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고등학교급에서 2007개정교육 과정이 실제 적용되지는 못했다. 중학교에서는 사회과에서 역사가 독립하게 되었다. 초등학교에서는 기존에 6학년 1학기에 한 학기 동안 역사를 학습하는 것에서 5학년 1, 2학기 동안 1년에 걸쳐 가르치도록 함으로써 역사 교육 강화라는 국가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시기에는 역사 교육의 강화 분위기가 고조되었으며 교육과정 개정 연도를 명칭으로 붙이게 되고 개정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정할 수 있는 길을 열게 된 것이다. 특히 국가 사회적 요구에 의해 교육과정이 수시로 개정되는 상황이 만들어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위로부터의 개혁 흐름이 다시 강하게 대두되었다.

다. 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기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는 경제 교육 강화, 역사 교육 강화, 인성 교육 강화 등의 이유로 수시로 필요한 곳을 부분 수정하였다. 2009년 3월, 2009년 12월, 2010년 5월, 2011년 8월, 2012년 3월 고시를 거쳐 2012년 12월 개정 고시에서 수정이 마무리되었다. 2012년 12월 고시 자료를 기초로 2009 개정 시기의 특징을 분석한 것을 살펴보면 <표 Ⅲ-10>과 같다.

표 Ⅲ-10. 2009 개정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2009 개정 교육과정기(2012. 12) 초·중등학교 사회과
특징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6여 차례에 걸쳐 부분 수정이 이루어져 잦은 개정이 이루어짐.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의력, 판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을 강조.
․공통 교육과정: 3∼9학년까지 초·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공통 교육과정으로 묶여 함께 제시됨.
․선택 교육과정: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다양한 선택 과목을 구성함.
․초등학교 사회과는 3∼4학년, 5∼6학년으로 묶어 내용 체계를 제시함.
․공통 교육과정으로 사회, 역사가 있으며, 사회는 3∼9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9개 일반 과목으로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선택 교육과정 중 심화 과목으로 국제 정치 등 11개 과목을 제시함.
학년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
단원내용 ․우리가 살아가는 곳
․이웃과 소통하기
․사람들이 모이는 곳
․달라지는 생활 모습
․우리 지역, 다른 지역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촌락의 형성과 주민 생활
․경제 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다양한 삶의 모습들
․민주주의와 주민 자치
․지역 사회의 발전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지리·일반사회 영역]
․살기 좋은 우리 국토
․우리 경제의 성장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우리 이웃 나라의 환경과 생활 모습
․우리 사회의 과제와 문화의 발전
․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 생활 모습
․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역사 영역]
․우리 역사의 시작과 발전
․세계와 활발하게 교류한 고려
․유교 문화가 발달한 조선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민족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학년 중학교 1∼3학년
 단원내용 [지리 영역]
․내가 사는 세계
․극한 지역에서의 생활
․자연재해와 인간 생활
․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
․글로벌 경제와 지역 변화
․자원의 개발과 이용
․우리나라의 영토
․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역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통일 한국과 세계 시민의 역할
[일반사회 영역]
․개인과 사회생활
․사회의 변동과 발전
․정치 과정과 시민 참여
․시장 경제의 이해
․인권 보장과 헌법
․국민 경제와 경제 성장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
․문화의 이해와 창조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경제 생활의 이해
․일상생활과 법
․헌법과 국가기관
․국제 경제와 세계화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과목 사회(10학년)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
단원내용 ․사회를 바라보는 창
․공정성과 삶의 질
․합리적 선택과 삶
․환경 변화와 인간
․미래를 바라보는 창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의 이해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시장과 경제 활동
․국민 경제의 이해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경제 생활과 금융
․민주 정치와 법
․민주 정치의 과정과 참여
․헌법의 기본 원리
․개인 생활과 법
․사회 생활과 법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문화와 사회
․사회 계층과 불평등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2012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이 시기에는 1∼9학년까지를 공통교육과정으로 설정하고, 10∼12학년을 선택교육과정으로 정했으며 두 과정을 지칭하는 용어가 이전보다 간단해졌다. 또한 초·중학교까지만 공통교육과정으로 되어 과거보다 시기가 1년 단축이 되었다. 초등학교 사회의 경우 두 학년씩 묶어 내용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3∼4학년, 5∼6학년 체제가 그것이다. 중학교 사회의 경우 중학교 1∼3학년으로 묶어 사회1, 2를 제공하여 학교별로 학습하는 학년을 선택하게 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전체가 선택교육과정 체제로 되어 선택 과목으로 변경된 고등학교 ‘사회’의 경우 교육과정 문서에서 <이슈 또는 문제 예시>, <탐구 활동 및 논술 예시> 자료를 상세히 제시하였다. 주제나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단원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사회 현상에 대해 통합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고등학교의 전체 선택 과목의 개수가 과거보다는 축소되어 9개 일반 과목으로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가 제시되었다. 법과 정치의 영역이 통합되어 ‘법과 정치’로 되었으며, 경제지리와 한국문화사가 사라지고 한국사가 도입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09 개정 시기에는 공통교육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이라는 2원 체제는 유지되었으나 중학교까지 공통교육과정으로 설계하는 등의 시기 단축이 이루어졌다. 초․중학교에서 학년군제의 적용으로 학습하는 학년의 시기에 대한 다소의 재량권이 학교 현장에 생기게 되었다. 고등학교는 전체 과정이 선택교육과정으로 개편되었으며 선택하지 않은 과목에 대한 학습 결손도 나타났으며, 법과 정치 영역에서는 두 영역이 통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2009 개정 시기에는 무엇보다 잦은 교육과정의 개혁으로 학교 현장의 불신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내가 공청회에서 있었을 때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정에 대 한 거부 반응이 강하게 드러났다. 이 시기에는 집중이수제 등 적용 과정의 시행착오로 학교 교육 에 혼란을 가져와 우리 나라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시행이 중요하다는 사실도 각인되었다.

라. 2015 개정 사회과교육과정기

2015 개정 사회과교육과정기의 특징은 2009 개정교육과정기와 유사한 측면이 많으나 몇 가지 점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시기를 살펴보면 <표 Ⅲ-11>과 같다.

표 Ⅲ-11 .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2015 개정 교육과정기(2015. 9) 초·중등학교 사회과
특징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사회 현상의 종합적 인식을 위해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 강조.
․사회과 교과 역량: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등의 신장을 강조.
․3∼9학년까지 초·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공통 교육과정으로 함께 제시되고 영역별 기능을 제시.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역사, 통합사회, 한국사, 한국 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등이 제시됨.
․초등학교 사회과는 3∼4학년, 5∼6학년으로 묶어 내용 체계를 제시함.
․공통 교육과정으로 사회, 역사가 있으며, 사회는 3∼9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선택 중심 교육과정 중 공통 과목으로 통합사회, 한국사가 제시되고, 선택 중심 교육과정 중 일반 선택에 한국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선택 중심 교육과정 중 진로 선택에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가 제시됨.
․대단원 내 성취기준에 코드 번호를 부여하여 번호 체계를 정리하고, 학습 요소를 제시하고 성취기준 해설 및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함.
학년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
단원내용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국토와 우리 생활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세계의 여러 나라들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학년 중학교 1∼3학년
단원내용 [지리 영역]
․내가 사는 세계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는 자연재해
․자원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
․사람이 만든 삶터, 도시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세계 속의 우리나라
․우리와 다른 기후, 다른 생활
․다양한 세계, 다양한 문화
․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글로벌 경제활동과 지역 변화
․더불어 사는 세계
[일반사회 영역]
․개인과 사회생활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일상생활과 법
․헌법과 국가기관
․시장경제와 가격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
․문화의 이해
․정치과정과 시민 참여
․인권과 헌법
․경제생활과 선택
․국민경제와 국제 거래
․사회 변동과 사회문제
과목 통합사회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단원내용 ․인간, 사회, 환경과 행복
․자연환경과 인간․생활공간과 사회
․인권 보장과 헌법
․시장경제와 금융
․사회 정의와 불평등
․문화와 다양성
․세계화와 평화
․미래와 지속가능한 삶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시장과 경제 활동
․국가와 경제활동
․세계 시장과 교역
․경제생활과 금융
․민주주의와 헌법
․민주 국가와 정부
․정치과정과 참여
․개인 생활과 법
․사회생활과 법
․국제 관계와 한반도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문화와 일상생활
․사회 계층과 불평등
․현대의 사회 변동

(출처: 교육부, 2015 문서 내용 분석)

Download Excel Table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교육과정 문서 체계의 기술상에 변화가 나타났다. 교과의 성격에 교과 역량을 명시하였으며, 내용 체계표에는 기능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사회과의 교과 역량으로는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정보 활용 능력 등이 제시되었다.

성취기준에서도 [9사(일사)01-01]과 같이 번호 코드를 부여하여 체계를 정비하였다. 영역별 내용이 제시된 후 후반부에 일괄적으로 제시해 오던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을 이 시기부터는 후반부 외에도 대단원마다 관련되는 교수·학습 방법의 사례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문서를 상세하게 구성하였다. 특히 성취기준의 서술어에서 ‘탐구․분석․ 참여한다’는 등의 기능 및 사고 관련 표현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어 사회과의 교과 역량을 개발하려는 목표 하에 여러 가지 기능을 개발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통 교육과정으로 사회, 역사가 제시되고,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공통 과목과 일반 선택, 진로 선택으로 구분되어졌다. 고등학교 공통 과목으로 통합사회와 한국사가 제시되었으며, 나머지 정치와 법, 사회·문화, 경제 등 7개의 과목이 일반 선택 과목으로 제시되었다. 이 시기에서는 특히 문·이과 통합을 지향하며 융합형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 ‘통합사회’가 등장하였다. ‘통합사회’는 일반사회·지리·역사·윤리적 관점을 결합하여 통합적으로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과거의 고등학교 ‘사회’와는 다른 접근을 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미래형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과 역량을 설정하여 이를 개발할 수 있는 기능들을 예시로 제시하고 성취 기준에서 이를 달성할 수 있게 설계하고 있다. 또한 미래형 시민 양성에 도움이 되는 융합 과목을 제시하였는데 사회과에서는 처음으로 일반사회, 지리, 역사, 윤리적 관점이 결합된 ‘통합사회’가 제시되어 여러 가지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 활동 중심 수업을 하도록 수업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교과의 4가지 하위 영역을 융합적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통합사회’를 설계하고 있으나 교과서를 구성하는 측면이나 융합적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이 예상되며, 무엇보다 융합적 관점에서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그리하여 현장 교사의 재교육뿐만 아니라 예비교사의 양성 과정 중 통합사회 연계 전공 과정에서 이러한 융합적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교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회과의 변혁기(제7차, 2007개정, 2009개정, 2015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공통교육 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이라는 두 체제를 구축하여 학습자 중심의 선택권을 존중하고 미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문적 개혁을 국가가 주도해 나가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장 적합성 여부 등이 적절히 검증되지 않아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여전히 개혁을 하고 있는 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국가가 자주 개입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현장 교육계의 불만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Ⅳ. 요약 및 결론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의 내용과 방향을 고찰하기 위해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을 교육과정 시기별로 고찰해 보았다. 그리하여 각 시대별로 주요한 특성을 요약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사회과교육과정 도입기(교수요목기∼제1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자. 해방 이후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양식이 없어 미국의 사례를 우리나라에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 생활에 도움이 되는 역사, 지리, 공민의 영역이 함께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목표면에서 민주주의 교육을 표방하였다. 시대 상황으로 볼 때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우리나라 정세를 반영하여 반공, 민족, 공민의 자질을 강조하게 되었으며 이런 흐름은 사회과의 정착기까지 이어져 나타나고 있다. 학문적으로 교육과정 구성 원리로 환경확대법의 원리가 초등 과정에 적용이 되었으며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 잡아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사회과는 출발부터 미국의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빌려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생적 배경으로 인해 민주주의 교육을 표방하였으나 한국의 시대적 배경인 냉전이데올로기와 반공의 사상이 결합되어 한국적 사회과교육과정으로 뿌리를 내리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진정한 민주주의교육이 아니라 표방하는 차원에 그치고 있다.

둘째, 사회과교육과정 정착기(제2차 교육과정∼제4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자. 시대 상황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분단 상황을 고려한 민족주의 교육, 반공․도덕 교육, 국민의 자질 함양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국가적 상황을 반영하여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국민윤리가 등장하고 국민정신 및 사상 교육을 강조하였다. 사회과가 국가의 시대적 정신을 반영하는 교과임을 명시적으로 보여주었던 시기이다. 학문적 경향으로 볼 때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영향 아래 사회과학 중심 접근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국가의 요구인 민족 주체성 강화 교육은 더욱 강조되어 나타났다.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지리, 세계사, 일반사회 내용을 사회과에 넣어 구성하고 고등학교에서도 과목명을 사회Ⅰ, 사회Ⅱ로 묶어 제시하여 사회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국면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의 정착기에는 특히 시대적 상황을 강조하는 국가적 요구가 사회과교육과정에 과감히 투입된 시기이다. 목표 면에서 국민의 자질이 강조되면서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고 국민의 윤리를 강화하는 등 학문과 교육의 원리에 앞서 국가적 요구가 먼저 작동하여 사회과의 교육 현장에 영향을 미치는 풍토를 강화시켜나가게 되었다.

셋째, 사회과교육과정 성장기(제5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자. 시대적 사회 변화에 맞춰 사회과의 목표 면에서 ‘국민’이 아니라 ‘시민’의 자질 함양을 내세우기 시작하였다. 과거에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민주주의를 지향하였다면 이 시대부터는 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을 지향하는 교육의 흐름이 나타났다.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사회과의 모습으로 내용이 점차 구성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학문적 경향으로 볼 때 이 시대부터 사회과는 3학년부터 제시되어 초등에서는 환경확대법의 원리를 고려하여 내용이 구성되었다. 특히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중학교 과정에서 국사를 사회과에 넣어 편성하였으며, 고등학교 과정에서 일반사회와 지리 영역의 통합 과목인 ‘공통사회’를 제시하여 불완전하나마 통합을 지향했다.

이러한 사회과의 성장기에는 국가의 충성스러운 국민의 의무를 다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민주 사회에서 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권리를 누리며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참여하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사회과의 성격에서 강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국민’에서 ‘시민’으로의 자질 함양이라는 사회과가 추구하는 성격의 변화는 우리나라 민주화의 시대적 분위기에서 도출되어진 것이다. 그리하여 사회과가 국가적, 사회적 분위기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없다는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넷째, 사회과교육과정 변혁기(제7차 교육과정∼2015 개정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자. 목표 면에서는 여전히 시민의 자질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문적 경향으로 볼 때 이 시대에는 공통교육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이라는 2원 체제가 자리를 잡았다.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학습자의 선택의 권리를 반영하여 다양한 선택 과목을 편성하여 선택하게 하였다. 수업의 과정에 대한 수행 평가를 도입하고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선을 도모하는 등 새로운 변화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수요자 중심, 역사 교육 강화, 인성 교육 강화, 경제 교육 강화 등 사회적 요구에 따라 수시로 개정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사회과의 변혁기에는 공통 과정과 선택 과정이라는 2원 체제를 마련하여 교육과정의 큰 축을 설계하여 변화를 도모하였다. 이 과정에서 10년 단위의 공통과정을 9년 단위로 단축하고 선택의 폭을 넓히게 되었으나 학습자들이 선택하지 못하는 과목이 생겨나 학습 결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벗어나 학문적 관점을 고려하는 등의 변화가 국가 주도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동북아시아의 정세 등 주변의 시대 상황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려는 움직임은 여전히 지속되어 국가 주도의 잦은 교육과정 개정이라는 결과를 빚어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사회과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변화를 맞이해 오고 있다.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국민, 민족의 위상을 강조해 오던 경향에서 민주 시민의 자질 등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변화해 오면서 내용의 구성도 점차 개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동시에 국가가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의 개혁에 참여하여 국가주도의 교육과정 개정이라는 형식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과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의 목표를 함양하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별로 내용 체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때로는 분과적으로 때로는 통합적 경향으로 변경되어왔다. 개정 과정에서는 사회과의 분과와 통합의 경향이 대립하면서 암묵적으로 통합의 움직임으로 회귀하려는 경향도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통합의 완전한 모습이 아니라 분과의 원리와 맞물려서 불완전한 통 합의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잦았다.

사회과의 교육과정과 그 내용은 학문의 변화를 고려한 특성뿐 아니라 국가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상황을 강하게 반영하여 변화해 오고 있다. 국가 주도로 역사 교육 강화 움직임이 나타나 사회과 내 통합이나 환경확대법의 학문적 원리의 균형이 깨어지기도 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져온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사회과가 국가 사회적 요구의 반영 교과로 거듭되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앞으로는 무엇보다 교육 현장에 놓인 교사들과 학생들의 입장이나 관련 학자들의 학문적 입장을 주요하게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미래 사회의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사회과는 학습자의 수요와 미래 사회의 특성과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점진적으로 변화를 이끌어나가야 할 것이다.

각주

1) 2016년 8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연차대회 발표 원고를 기초로 많이 보완하였음.

참고문헌(References)

1.

강대현(2008). 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 47(3), 165-188.

2.

강대현, 모경환(2013). 한국 사회과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79, 1-23.

3.

강대현(2015).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사회과교육, 54(1), 63-89.

4.

교육부(1992a). 국민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1992년 9월 30일 공포.

5.

교육부(1992b).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

6.

교육부(1992c).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교육부 고시, 1992년 10.

7.

교육부(1997a).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7, 1997년 12월.

8.

교육부(1997b). 고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에 따른.

9.

교육인적자원부(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10.

교육인적자원부(2007). 사회과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7.

11.

교육과학기술부(2012). 사회과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별책7.

12.

교육부(2015).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13.

군정청, 문교부(1946).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집(4) 초등학교 사회생활과. 1946. 9.

14.

권오현(2012).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시민성 교육의 변천: 초등학교 사회과 목표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교과교육학회 한일교류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012, 63-76.

15.

김영석(2013). 제6차 사회과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국민에서 시민으로. 사회 과교육연구, 20(2), 13-28.

16.

김정인(2008).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교육과정의 편제와 내용 변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63-76.

17.

남호엽, 류현종(2009). 사회과 교육목표에 나타난 교과의 성격: 교육과정 변천사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1), 81-91.

18.

모경환, 신정엽, 김영순, 조성욱, 임정수(2012). 2009개정 사회과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0(2), 585-614.

19.

문교부(1955a). 국민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4호, 단기 4288년 8월 1일 공포.

20.

문교부(1955b). 중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5호 별책, 단기 4288년 8월 1일 제정.

21.

문교부(1955c).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6호 별책, 단기 4288년 8월 1일 제정.

22.

문교부(1963a).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119호 별책, 1963년 2월 15일 공포.

23.

문교부(1963b).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1963년 2월 28일 공포.

24.

문교부(1963c).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121호.

25.

문교부(1973a).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10호 별책, 1973년 2월 14일 공포.

26.

문교부(1973b).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25호 1973년 8월.

27.

문교부(1974).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50호 별책3, 1974년 12월.

28.

문교부(1981a).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별책2, 1981년 12월 31일 공포.

29.

문교부(1981b).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1981년 12월.

30.

문교부(1981c).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별책4, 1981년 12월.

31.

문교부(1987a).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9호 1987년 6월 30일 공포.

32.

문교부(1987b).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7호 1987년 3월 31일 공포.

33.

문교부(1988).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8-7호 별책1, 1988년 3월.

34.

박은종(2008). 한국 사회과교육과정 탐구: 분석 및 모형 개발 탐색. 파주: 한국학술정보.

35.

서재천(2003). 제7차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견과 그에 대한 논의. 사회과교육, 42(3), 23-48.

36.

설규주(2007).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과 의의. 교원교육, 23(1), 79-87.

37.

이진석(2001). '신사회과'가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 제3차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2, 227-247.

38.

이진석(2003).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초기 교육정책과 사회과 도입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5(2), 95-118.

39.

이진석(2008). 사회과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닫혀진 영역'에 대한 기술 내용 분석: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0(2), 135-159.

40.

한춘희, 신범식(2009). 핵심역량을 통한 사회과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교육, 48(4), 123-144.

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ncic.re.kr(검색일: 2016.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