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Export Citation
Archives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9 No.2 pp.119-127
DOI : https://doi.org/10.24332/aospt.2023.19.2.13

The Effect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Combined with Visual Feedback on the Craniovetebral Angl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SamHeon Park**, DaeJung Yang, JongHyuk Yo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ehan University, Professor

* 본 연구는 2023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 교신저자: 박삼헌 E-mail: ehwns2@naver.com
December 4, 2023 December 20, 2023 December 23, 2023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exercise would improve cervical alignm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were recrui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exercise group (n=10, group Ⅰ), passive stretching group (n=10, group Ⅱ) and control group (n=10, group Ⅲ). After receiving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each group additionally receive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exercise and passive stretching for 30min, three days per week for four weeks. Their muscle tone (㎐), stiffness (㎐) and craniovertebral angle (°) were analyzed before the intervention. After four weeks of intervention, the above items were re-measured and an intergroup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comparison and analyses of the changes in muscle tone and post hoc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group decreases in the suboccipital,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s in groups Ⅰand Ⅱ. Further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uboccipital muscles with a greater change in group Ⅰ than in group Ⅱ and Ⅲ. Furthermore, greater changes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s were observed in group Ⅰ than in groups Ⅱ and Ⅲ. Sternocleidomastoid muscle changes were greater group Ⅰ than in group Ⅱ, Ⅲ. The comparison and analyses of the changes in muscle stiffness and post hoc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group decreases in the muscles in groups Ⅰ and Ⅱ, upper trapezius muscles in groups Ⅰ, Ⅱ and Ⅲ,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s in group Ⅰ. Moreo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suboccipital muscles with a greater change in group Ⅰ than in group Ⅱ and Ⅲ; upper trapezius muscles with greater changes in group Ⅰ than in groups Ⅱ and Ⅲ,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s with a greater change in group Ⅰ than in group Ⅱ and Ⅲ, were observed. The comparison and analyses of the changes in the craniovertebral angle and post hoc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group changes in groups Ⅰ and Ⅱ,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ith greater changes in group Ⅰ than in groups Ⅱ and Ⅲ.


Conclusion: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sual feedback exercise may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functional recovery of patients in the forward head posture.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운동이 전방 머리 자세 환자의 머리척추각과 근육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삼헌**, 양대중, 윤종혁
세한대학교, 교수

초록


    Ⅰ. 서 론

    새로운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컴퓨터, 태블릿 및 스 마트폰을 포함한 영상 기기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영상 기기들을 사용하면서 머리를 앞으로 내민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목 주변 근육의 긴장도 증가와 구조적인 불균형으로 인해 전방 머리 자세를 유발시킨다. 전방 머리 자세는 머리의 위치가 신체의 중력선 앞으로 이동한 상태로 목과 등뼈의 정렬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한 상태로 목주변 인대를 포함한 결합조직의 부하가 증 가되고 운동학적 변형을 보인다(Mahmoud et al., 2019). 목뼈는 기능적으로 목뼈 1번부터 3번까지 목뼈를 위쪽 목 뼈, 4번부터 7번까지를 아래쪽 목뼈로 분류 되는데 전방 머리자세 환자에서 위쪽 목뼈의 폄과 아래쪽 목뼈의 굽힘 이 증가되어 구조적 변화로 인한 목의 부정렬은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한다(Onofrei et al., 2020).

    전방 머리 자세를 측정하는 머리척추각(craniovertebral angle, CVA)은 귀구슬(tragus)과 C7의 가시돌기를 연결하 는 선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말하며 정상적인 각도는 53.2° 이상으로, 각도가 작을수록 전방 머리 자세가 증가됨을 의미한다(Goodarzi et al., 2018). 목뼈의 정렬과 목주변 근육의 병리적인 변화는 근육 길이-장력 관계, 관절 정렬, 근육 균형 및 가동 범위에 제한으로 인해 척추를 지지하는 구조, 디스크 및 인대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킨다. Park et al. (2019)은 상부교차 증후군(upper crossed syndrome) 으로 인한 구조적 불균형이 뒤통수밑근과 위등세모근육 등 목주변에 위치한 근육의 긴장도와 뻣뻣함을 포함한 기계 적인 특징(mechanical muscle properties)에 변화를 동반하 여 근육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자세유지 근육의 약화를 동반 하며 머리뼈 주변의 근육인 위등세모근, 뒤통수밑근, 머리널 판근, 목빗근 등이 피로와 통증,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고 하였다(Palacios-Ceña et al., 2018). 목 주변의 구조적인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적 인자 치료, 뻗침 운동, 관절 가동술, 목 안정화 운동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목 안정화 운동은 목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고 재교육을 통해 목의 통증과 자세 정렬 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며, 목안정화 운동과 시각적 가이드를 함께 하였을 때 목 주변 근육과 목뼈의 정렬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Son et al., 2019). Chae & Lee (2009)는 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목 안정화 운동을 시행한 결과 목뼈 정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Kim, Jung, & Kim, (2016)은 전방 머리 환자를 대상으로 맥켄지 운동을 적용하여 머리척추각의 유의한 변화가 있음 을 보여주었다. Park & Yoon (2019)는 목 안정화 운동과 뻗침운동을 결합한 그룹에서 위등세모근과 뒤통수 밑근의 근육의 긴장도와 뻣뻣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on et al. (2019)은 목안정화 운동과 시각적 가이드를 결합한 그룹에서 목뼈 정렬과 근육의 활성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전방 머리자세 환자의 근육과 목뼈 정렬의 병리적 변화의 회복을 위해 다양한 중재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안정성의 증진을 위한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치료 방법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방 머리자세 환자들에게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안정화 훈련을 적용하여 목뼈정렬과 근육의 기계적인 특성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전방머리자세 환자들의 효과적인 중재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M시에 있는 K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귀의 바깥귀길 중심선이 어깨뼈봉우리 중심 선에서 2.5cm 이상 벗어난 자, 머리척추각이 53° 이하인 자를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율신경장애를 동반한 자, 어지 럼증 환자, 골절,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Goodarzi et al., 2018). G-power 3.1.9.4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샘플사이즈를 산출하였으며, 공분산분석 을 기준으로 총 표본 크기는 28명이 산출되었으며(양측검 정 유의수준 .05, 검정력 .80, 효과크기 .50), 탈락률을 고려하여 시각적 되먹임을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적용 한 집단Ⅰ 10명, 수동 뻗침 운동을 적용한 집단Ⅱ 10명, 대조군 집단Ⅲ 10명으로 총 30명을 무작위 배치하였다.

    2. 중재 방법

    본 연구에 적용된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집단의 프로그램은 6가지 동작으로 앉은 자세에서 머리 뒤로 당기기, 앉은 자세에서 머리 뒤로 젖히기, 목을 옆으 로 굽히기, 머리 돌리기, 앉은 자세에서 머리 숙이기, 누 운 자세에서 턱 당기기 순서로 시행하였다(Table 1). 누운 자세에서 턱을 안으로 끌어당기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시각적 되먹임을 안정화 운동과 결합하여 실시하였다. 시 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안정화 운동은 무릎 세우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실시하였다(Kim, Kim, & Jung, 2015). 목 뼈와 바닥 사이에 압력센서(Stabilizer, Chattanooga Group, USA)를 위치시킨 다음 20㎜Hg 공기를 채우고 머 리-목의 끄덕임 동작을 통해 머리-목의 굽힘을 유도하여 단계적으로 2∼10㎜Hg가 증가하도록 실시하였다. 대상 자가 최대한 유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10초간 유지하고 10초간 휴식하는 방법으로 10회씩 3세트 실시하였고 중재 기간은 주 3회, 4주간 시행하였다(Park & Yoon, 2019).

    Table 1

    Intervention program

    ① Pull your head back while sitting While keeping your chin close to your neck, slowly pull your head back as far as possible, hold for 7 seconds,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keep your gaze forward, avoid tilting your head back, and push your chin back with both hands.

    ② Tilt your head back in a sitting position Lift your chin and tilt your head back as if looking up at the sky, hold for 7 seconds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do not stick your neck forward.

    ③ Bending the neck to the side Sit on a chair, pull your head back, bend sideways so that your ears are closer to your shoulders, hold for 7 seconds, and then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on both sides. At this time, make sure not to turn your head and bend it to the side with your hands.

    ④ Rotate head Sit on a chair, pull your head back, turn your neck as much as possible, hold for 7 seconds, and then return to the starting position on both sides. Use both hands to turn it together.

    ⑤ Bowing your head while sitting Pull your head back and lower your chin to the point where it touches your chest, hold for 7 seconds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Clasp both hands and bend them together with your elbows facing the floor.

    ⑥ Pull your chin in while lying down While lying down, keep your chin against your neck and slowly pull your head back as far as possible. Hold for 7 seconds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keep your gaze forward, avoid tilting your head back, and push your chin back with both hands.

    3. 측정 방법

    1) 근육의 기계적인 특성

    위등세모근, 뒤통수밑근과 목빗근의 긴장도(muscle tone)와 뻣뻣함(stiffness)을 특정하기 위해 MyotonPRO (Myoton AS, Tallinn, Estonia)장비를 이용하여 근육의 기계적인 특성을 측정하였다. 통증이 없고 비침습적 방법 으로 MyotonPRO에 의해 피부표면 진동이 유발되면, 장 비에 근 긴장도와 뻣뻣함이 산출되어 변수 값을 확인할 수 있다(Park & Park, 2021). 위등세모근의 측정은 어깨 봉우리로부터 일곱 번째 목뼈의 가시돌기까지를 잇는 지 점의 가운데에 위치한 근 힘살을 촉진하여 측정하였고, 뒤통수밑근의 측정은 두 번째 목뼈의 가시돌기와 뒤통수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서 근육을 촉진하고 측정하였으며, 목빗근의 측정은 목빗근은 꼭지돌기와 봉우리빗장관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중앙지점에서 근육을 촉진하여 측정 하였다(Kocur et al., 2019). 중재 전, 후 5분의 휴식을 취 한 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실내온도는 25 ℃를 유지하 도록 하였으며, 소음 및 진동 등의 외부 영향이 없는 곳에 서 측정하였다. 측정 중 장비의 탐침기가 표식점을 벗어 나지 않도록 3회의 공진동이 발생되는 동안 양손으로 장 비를 받쳐 근육과 수직을 유지하고, 측정한 평균값을 데 이터 값으로 사용하였다.

    2) 머리척추각(craniovertebral angle)

    머리척추각은 목뼈 7번의 가시돌기에서 평행하게 그은 가상의 수평선과 귀 구슬에서 목뼈 7번의 가시돌기를 연 결한 선이 만나는 각을 통해 목뼈의 정렬을 측정하였다. 목뼈 7번의 가시돌기의 각도 측정을 위해 스마트폰 카메 라 기능(SM-G973N; Samsung Electronics Inc., korea, 2019)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 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상자를 의자에 앉히고 의자 아래에 스티커를 붙인 후 대상자의 어깨 측면에서 80㎝ 떨어진 곳에 카메라를 설치 하여 측정하였고, 총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Windows SPSS(ver. 20.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처리하였다. 중재 방법에 따른 근 육의 기계적인 특성과 목뼈 정렬의 중재 전·후 집단 간 변화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정은 Tukey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내 변화분석은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였 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한 두 집단 간 평균값에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아 등분산을 이루었으므로 세 집단이 동일 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bjects(N=30) p
    Group Ⅰ (n=10) Group Ⅱ (n=10) Group Ⅲ (n=10)
    Mean±SD Mean±SD Mean±SD

    Age(year) 38.06±8.03 41.27±7.21 40.82±7.63 .254
    Height(㎝) 161.62±8.65 163.30±7.07 165.02±6.89 .192
    Weight(㎏) 66.61±10.03 64.25±9.12 65.89±10.91 .101
    Gender(M/F) 4/6 3/7 4/6 .158
    Dominant Hand(Rt./Lt.) 9/1 10/0 8/2 .324

    M/F : Male/Female

    Mean±SD : Mean±standard deviation,

    2. 근육의 특성 변화 비교

    1) 집단 내 근 긴장도 변화

    집단Ⅰ에서 뒤통수밑근의 긴장도(tone)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p<.001), 위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긴장도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Ⅱ에서 뒤통수밑근, 위 등세모근, 목빗근의 긴장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muscle tone within groups (unit: ㎐)

    Muscle Pre Post t p

    SO 17.35±1.32 15.32±0.97 6.651 .000**
    Group Ⅰ UT 19.66±2.32 16.84±2.24 3.512 .006*
    SCM 16.72±1.72 13.32±1.37 2.651 .004*
    SO 17.17±2.26 15.86±2.03 1.965 .012*
    Group Ⅱ UT 19.28±2.84 17.81±2.30 2.062 .048*
    SCM 16.12±2.52 14.20±1.98 2.984 .019*
    SO 17.61±1.73 16.04±1.14 3.264 .192
    Group Ⅲ UT 19.98±3.46 18.84±1.29 4.235 .286
    SCM 16.92±2.01 15.52±3.24 2.156 .089

    *p<.05, **p<.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2) 집단 간 근 긴장도의 변화

    집단 간 뒤통수밑근의 긴장도를 비교분석 한 결과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p<.001), 위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긴장 도를 비교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 단 간 긴장도 변화에 따른 Tukey의 사후 분석 결과 집단 Ⅱ,집단Ⅲ보다 집단Ⅰ에서 뒤통수밑근과 목빗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Ⅱ, 집단Ⅰ 에서 위등세모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muscle tone between groups (unit: ㎐)

    Muscle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F p post-hoc’

    SO Pre 17.35±1.32 17.17±2.26 17.61±1.73 5.614 .000** Ⅲ,Ⅱ
    Post 15.32±0.97 15.86±2.03 16.04±1.14 < Ⅰ
    UT Pre 19.66±2.32 19.28±2.84 19.98±3.46 3.854 .004* Ⅲ,Ⅱ
    Post 16.84±2.24 17.81±2.30 18.84±1.29 < Ⅱ,Ⅰ
    SCM Pre 16.72±1.72 16.12±2.52 16.92±2.01 2.081 .023* Ⅲ,Ⅱ
    Post 13.32±1.37 14.20±1.98 15.52±3.24 < Ⅰ

    *p<.05, **p<.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3) 집단 내 근육의 뻣뻣함 변화

    집단Ⅰ에서 뒤통수밑근, 위등세모근 뻣뻣함(stiffness)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목빗근의 뻣뻣함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Ⅱ에서 뒤통수밑근, 위 등세모근의 뻣뻣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집단 Ⅲ에서 목빗근의 뻣뻣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Table 5).

    Table 5

    Comparison of muscle stiffness within groups (unit: ㎐)

    Muscle Pre Post t p

    SO 371.65±27.21 327.82±26.84 4.463 .000**
    Group Ⅰ UT 411.91±30.84 356.54±23.66 6.328 .000**
    SCM 255.85±32.33 204.12±24.85 2.951 .004*
    SO 373.17±28.26 351.86±27.65 5.451 .012*
    Group Ⅱ UT 405.28±29.84 370.81±25.54 3.521 .048*
    SCM 231.94±30.85 221.05±21.98 4.984 .072
    SO 365.61±36.73 350.85±30.44 2.214 .192
    Group Ⅲ UT 399.42±31.46 368.15±21.90 6.654 .041*
    SCM 241.92±31.91 224.52±28.24 2.011 .108

    *p<.05, **p<.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4) 집단 간 근육의 뻣뻣함 변화

    집단 간 뒤통수밑근의 뻣뻣함을 비교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위등세모근, 목빗근의 뻣뻣함을 비교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뻣뻣함 변화에 따른 Tukey의 사후 분석 결과 집단Ⅲ보다 집단Ⅱ, 집단Ⅰ에서 뒤통수밑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 고,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Ⅱ, 집단Ⅰ에서 위등세모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Ⅰ에 서 목빗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Table 6).

    Table 6

    Comparison of muscle stiffness between groups (unit: ㎐)

    Muscle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F p post-hoc’

    SO Pre 371.65±27.21 373.17±28.26 365.61±36.73 8.603 .000**
    Post 327.82±26.84 351.86±27.65 350.85±30.44 < Ⅱ,Ⅰ
    UT Pre 411.91±30.84 405.28±29.84 399.42±31.46 5.342 .000** Ⅲ,Ⅱ
    Post 356.54±23.66 370.81±25.54 368.15±21.90 < Ⅱ,Ⅰ
    SCM Pre 255.85±32.33 231.94±30.85 241.92±31.91 2.651 .037* Ⅲ,Ⅱ
    Post 204.12±24.85 221.05±21.98 224.52±28.24 < Ⅰ

    *p<.05, **p<.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3. 머리척추각의 변화 비교

    1) 집단 내 머리척추각의 변화

    집단 Ⅰ의 머리척추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집단 Ⅱ의 머리척추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Table 7).

    Table 7

    Comparison of CVA within groups (unit: °)

    Muscle Pre Post t p

    Group Ⅰ 47.77±3.16 60.38±2.34 6.512 .000**
    CVA Group Ⅱ 48.21±4.48 55.61±4.85 7.512 .046*
    Group Ⅲ 48.61±5.79 49.84±4.58 2.145 .264

    *p<.05, **p<.001

    CVA : craniovertebral angle

    2) 집단 간 머리척추각의 변화

    집단 간 머리척추각을 비교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집단 간 머리척추각 변화에 따른 Tukey 의 사후 분석 결과 집단Ⅲ, 집단Ⅱ보다 집단Ⅰ에서 머리척 추각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Table 8).

    Table 8

    Comparison of CVA between groups (unit: °)

    Muscle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F p post-hoc’

    CVA Pre 47.77±3.16 48.21±4.48 48.61±5.79 7.951 .000* Ⅲ,Ⅱ
    Post 60.38±2.34 55.61±4.85 49.84±4.58 < Ⅰ

    *p<.001

    CVA : craniovertebral angle

    Ⅳ. 고 찰

    최근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비정상 적인 자세가 오랜 시간 유지되고, 이로 인해 척추의 부정 렬, 근육의 병리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전방머리자세 는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이다(Mingels et al., 2016).

    머리척추각(CVA)은 전방머리자세를 구분하는 가장 대 표적인 지표이다. Hong (2018)은 관절가동술이 전방머리 자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는데, 4주 의 중재 후 머리척추각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Yoon & Lee는 전방머리자세환자를 대상으로 주3회, 8주간 니푸쉬 업 플러스 훈련을 적용한 결과 머리회전각과 머리척추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im, Jung & Kim은 전방머리자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주3회, 4주간 맥켄지운동을 실시한 결과 머리척추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im et al. (2018)은 전방머리자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복합된 맥켄 지운동을 적용한 그룹에서 머리척추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Yang et al. (2019)은 전방머리자세가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을 실시한 결과 목뼈 정렬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athollahnejad et al. (2019)은 전방머리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안정화 운동을 6주가 적용한 결과 목뼈정렬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 인의 머리척추각은 53.2° 이상으로 경증 전방 머리 자세 환자의 머리척추각은 46.1°∼49.1°이고, 중증 전방 머리 자 세 환자의 머리척추각은 40.7°∼43.2°이다(Salahzadeh et al., 2014). 상부 목뼈의 폄의 증가와 두개척추각이 작아질 수록 하부 목뼈의 굽힘이 증가되어 전방머리자세가 증가되 는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에 적용된 시각적 되먹임을 동반 한 안정화 훈련을 통해 자세정렬의 증진과 목의 안정화를 담당하는 목의 심부에 위치한 굽힘근육의 강화를 통해 목뼈 정렬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위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근긴장도와 뻣뻣 함을를 측정하기 위해 MyotonPro를 사용하였다. 근긴장 도(tone) 지표의 경우 낮은 값일수록 약한 근육을 의미하 며, 뻣뻣함(stiffness) 지표의 경우 경직도를 의미한다. Kim et al. (2017)은 자세의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 할 때 목빗근의 긴장도를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긴장도 와 뻣뻣함 지표의 증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통증과 근피로의 유발을 의미하였다. Kim et al. (2016)은 자세에 따른 위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긴장도를 뻣뻣함을 연구한 결과 전방머리자세와 유사한 스마트폰을 보는 자세일 때 위등세모근의 긴장도의 증가와 목빗근의 근피로도의 증 가의 경향을 보였다. Gong (2015)은 전방머리환자를 대상 으로 안정화 운동을 실시한 결과 등세모근 활성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Kocur et al. (2019)은 전방머리자세를 보이는 사무직 25명을 대상으로 위등세모근을 포함한 목 주변 근육의 긴장도와 뻣뻣함을 측정한 결과 목 주변 근육 의 통증의 민감도와 긴장도와 뻣뻣함에 유의한 차이가 있 었고, 나이, 성별, 신체조성에 따른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Moustafa & Diab (2015)는 목주변 근육의 안정화 훈련을 통해 약화된 근육의 강화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여 머리의 자세를 정상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방 머리 자세 환자에게 시각적 되먹임을 동 반한 목 안정화 운동을 중재하여 깊은 목 굽힘근의 활성도 를 증가시켜 머리-목 굽힘(craniocervical flexion)을 유 지하는 능력이 증가되어 목빗근을 포함한 목주변 근육의 긴장도의 감소와 근육의 조절 능력의 증가로 안정성이 증 가되어 근육의 긴장도와 뻣뻣함에 효과적인 감소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집단 간 대상자 수가 적었고, 연구 대상자가 전남 소재의 전방 머리 자세 환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였기에 모든 전방 머리 자세 환자에게 일반화하기 어려웠으며, 연구대상자의 복용중인 약물과 일상생활을 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한점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대상자와 특정 연령층에 따른 후속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운동이 전방 머리 자세 환자의 근육의 기계적 특성과 머리척추각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전방 머 리 자세 환자에게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운동 그룹Ⅰ과 뻗침운동 그룹Ⅱ, 대조군 그룹Ⅲ으로 분류하여 6주간 중재하여 집단 간 뒤통수밑근, 위등세모근, 목빗근 의 긴장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 분석 결과 집단Ⅱ,집단Ⅲ보다 집단Ⅰ에서 뒤통수밑 근과 목빗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Ⅱ, 집단Ⅰ에서 위등세모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 간 뒤통수밑근의 뻣뻣함을 비교분석한 결 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 분석 결과 집단Ⅲ보다 집단Ⅱ, 집단Ⅰ에서 뒤통수밑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 고,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Ⅱ, 집단Ⅰ에서 위등세모근 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집단Ⅲ, 집단Ⅱ 보다 집단 Ⅰ에서 목빗근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 간 머리 척추각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 분석 결과 집단Ⅲ,집단Ⅱ보다 집단Ⅰ에서 머리척추각의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방 머리 자세 환자에게 시각적 되 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운동이 근육의 기계적인 특성과 목뼈 정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고, 특 히 시각적 되먹임을 결합한 목 안정화 운동이 전방 머리 자세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을 포함한 영상장치를 사용하는 대상자들에게 자세정 렬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각 연령층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Intervention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F : Male/Female
    Mean±SD : Mean±standard deviation,

    Comparison of muscle tone within groups (unit: ㎐)

    *<i>p</i><.05, **<i>p</i><.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Comparison of muscle tone between groups (unit: ㎐)

    *<i>p</i><.05, **<i>p</i><.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Comparison of muscle stiffness within groups (unit: ㎐)

    *<i>p</i><.05, **<i>p</i><.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Comparison of muscle stiffness between groups (unit: ㎐)

    *<i>p</i><.05, **<i>p</i><.001
    SO : suboccipitalis
    UT : upper trapezius
    SCM : sternocleidomastoid muscle

    Comparison of CVA within groups (unit: °)

    *<i>p</i><.05, **<i>p</i><.001
    CVA : craniovertebral angle

    Comparison of CVA between groups (unit: °)

    *<i>p</i><.001
    CVA : craniovertebral angle

    Reference

    1. Chae, Y. W. , & Lee, H. M. (2009). The effect of craniocervical exercise on tension-type headac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1(4), 9-16.
    2. Fathollahnejad, K. , Letafatkar, A. , & Hadadnezhad, M. (2019). The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stabilizing exercises on forward head and rounded shoulder postures: A six-week intervention with a onemonth follow-up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 1-8.
    3. Gong, W. (2015). The effects of cervical joint manipulation, based on passive motion analysis, on cervical lordosis, forward head posture, and cervical ROM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bnormal posture of the cervical spine. Phys Ther Sci., 27(5), 1609–1611.
    4. Goodarzi, F. , Rahnama, L. , Karimi, N. , Baghi, R. , & Jaberzadeh, S. (2018). The effects of forward head posture on neck extensor muscle thickness: An ultrasonographic study.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41(1), 34-41.
    5. Hong, S. (2018). Effect of joint movement on CVA in forward head posture. Journal of International Academy of Physical Therapy Research, 9(2), 1508-1512.
    6. Kim, C. H. , Kim, J. Y. , & Jung, S. H. (2015). The effect of McKenzie and Mulligan exercise training on the cervical spin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1(2), 15-24.
    7. Kim, I. S. , Kim, K. Y. , Park, S. G. , Choi, Y. W. , Noh, H. N. , & Kim, J. A. (2017). Muscle properties analysis of SCM muscle using smartphone postur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5(4), 991-997.
    8. Kim, J. , Kim, S. , Shim, J. , Kim, H. , Moon, S. , Lee, N. , Lee, M. , Jin, E. , & Choi, E. (2018). Effects of McKenzie exercise, Kinesio taping, and myofascial release on the forward head postur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30(8), 1103-1107.
    9. Kim, S. , Jung, J. , & Kim, N. (2019). The effects of McKenzie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and respiratory functio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31(6), 351-357.
    10. Kim, Y. W. , Kim, C. S. , & Kim, M. K. (2016).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s depending on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8(5S), 895.
    11. Kocur, P. , Tomczak, M. , Wiernicka, M. , Goliwąs, M. , Lewandowski, J. , & Łochyński, D. (2019). Relationship between age, BMI, head posture and superficial neck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in adult women. Scientific Reports, 9(1), 8515.
    12. Kocur, P. , Wilski, M. , Goliwąs, M. et al. (2019).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myotonometric measurements of superficial neck muscle tone, elasticity, and stiffness in asymptomatic individuals with sedentary job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42(3), 195-202.
    13. Mahmoud, N. F. , Hassan, K. A. , Abdelmajeed, S. F. , Moustafa, I. M. , & Silva, A. G.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urrent Reviews in Musculoskeletal Medicine, 12(4), 562- 577.
    14. Mingels, S. , Dankaerts, W. , Van Etten, L. , Thijs, H. , & Granitzer, M. (2016). Comparative analysis of head-tilt and forward head position during laptop use between females with postural induced headache and healthy controls.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3), 533-541.
    15. Moustafa, I. M. , & Diab, A. A. (2015). The effect of adding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ve exercises in the management of lumbosacral radiculopathy: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38(3), 167-178.
    16. Onofrei, R. R. , Amaricai, E. , Suciu, O. , David, V. L. , Rata, A. L. , & Hogea, E. (2020). Smartphone use and postural balance in healthy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9), 3307.
    17. Palacios-Ceña, M. , Wang, K. , Castaldo, M. , Guillem-Mesado, A. , Ordás-Bandera, C. , Arendt-Nielsen, L. , & Fernández-de-Las-Peñas, C. (2018). Trigger points are associated with widespread pressure pain sensitivity in people with tension- type headache. Cephalalgia, 38(2), 237-245.
    18. Park, S. K. , & Park, S. H. (2021). The effect of combined suboccipitalis release exercise and therapeutic ultrasoun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and neck disability index, headache impact test in tension-type headach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9(4), 271-281.
    19. Park, S. , & Yoon, J. (2019). Effects of neck stabilizing exercise on muscle characteristics, muscle activity and posture in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4), 301-309.
    20. Park, S. , Yang, D. , Kim, J. , Park, S. , & Yoon, J. (2019). Effects of neck stabilizing exercise combined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uscl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3), 159-169.
    21. Salahzadeh, Z. , Maroufi, N. , Ahmadi, A. , Behtash, H. , Razmjoo, A. , Gohari, M. , & Parnianpour, M. (2014). Assessment of forward head posture in females: Observational and photogrammetry methods.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27(2), 131-139.
    22. Son, K. K. , Cynn, H. S. , Lee, J. H. , Park, D. H. , & Kim, B. B. (2019). Effects of deep cervical flexor exercise with visual guide on muscle activity and craniovertebral angle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4(2), 53-61.
    23. Yang, S. A. , Seo, D. K. , & Lee, B. K. (2019). The effect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and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in chronic strok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2), 208-215.
    24. Yoon, H. K. , & Lee, H. G. (2017). Effect of push up plus on sling and stable surface on muscle activity and lung func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624-631.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