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내담자 자살 위기와 사건을 경험한 기업 상담자의 극복 과정: 근거이론 접근

The Recovery Process of Workplace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a Client Suicide Crisis or Event: A Grounded Theory Approach

초록

본 연구는 내담자의 자살 위기 및 사건을 경험한 기업 상담자들의 어려움, 극복의 과정과 구조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0명의 기업 상담자를 심층 인터뷰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으로 최종 74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기업 상담자들의 내담자 자살 관련 사건에 대한 경험과 극복 과정은 총 4단계로 ‘자각 단계’, ‘위기해결 단계’, ‘성숙 단계’, ‘정체성 재확립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범주는 ‘좌절을 딛고 내담자와 기업 상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여 전문가로서의 발달 전환을 꾀함’으로 나타났고, 유형 분석 결과, ‘기업 적응형’, ‘독립 추구형’, ‘혼란 지속형’ 3가지가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살과 자살 시도를 경험한 상담자들 간에 겪게 되는 핵심 감정은 각각 죄책감과 불안감으로 그 차이가 있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문화에 따라 자살 관련 사건 발생 시 상담자나 내담자에 대한 낙인을 우려하는 상담자의 인식이 이후 극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청소년이나 학교, 사설 상담에선 발견된 바 없는 기업 상담만의 독특한 특징을 밝힘으로써, 기업 상담자들의 발달과 성장, 그리고 자살 위기 개입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에 활용될 가치가 있다.

keywords
기업 상담, 기업 상담자, 내담자 자살, 질적 연구, 근거이론, 상담자 발달, Corporate Counseling, Workplace Counselor, Client Suicide,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Counselor Develop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theory of the recovery process of workplace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a client's suicide-related event. In-depth interviews with 10 counselor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resulting in 74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Four stages: awareness, crisis solution, growth, and identity re-establishment emerged from the process analysis. The central category was ‘seeking a transition of one’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overcoming frustrations and extending understanding of clients and corporate counseling.’ Three types including ‘adaptable to corporate,’ ‘seeking independence,’ and ‘confused,’ were revealed by the type analysis. Counselors’ key emotions differed based on whether the client made a suicide attempt or completed suicide. The former felt anxiety, whereas the latter felt guilt. The unique features of corporate counseling were associated with stigma in counselors experiencing suicide-related events.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is for designing educational courses for workplace counselors.

keywords
기업 상담, 기업 상담자, 내담자 자살, 질적 연구, 근거이론, 상담자 발달, Corporate Counseling, Workplace Counselor, Client Suicide,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Counselor Development

참고문헌

1.

강덕상, 한재희 (2020). 자살충동을 겪는 남성 노숙인의 심리사회적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21(2), 219-240.

2.

강훈구 (2013). 대학 학생상담센터의 위기관리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권경인, 지희수 (2011).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11(3), 1075- 1098.

4.

권미주 (2014).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망 확대와 긍정적 초점 변경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6.

권호인, 김 란, 서은희, 노법래, 홍현주, 권용실 (2014). 학교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 장점과 제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경정신의학, 53, 8-14.

7.

권호인, 윤경선, 김소라 (2015). 대학 상담기관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상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2), 159-175

8.

고윤희, 박성현 (2014).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05-839

9.

김선경, 전재영 (2012). 기업 상담소 방문 결정 이유에 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65-483.

10.

김성혜 (2015). 개념지도를 통해 본 자살시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북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김순규 (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9, 66-93.

12.

김은하, 전소연, 김다예, 도민정 (2015). 대학상담자들의 자살예방과 자살위기개입 경험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4), 177-206.

13.

남기철 (2006). 청소년 자살 문제와 위기개입. 학생생활연구, 25, 97-116

14.

남현주 (2014). 기업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남현주, 송연주 (2016). 기업상담자 소진에 관한 질적 연구: 기업상담 내부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915-942.

16.

노용환, 이상영 (2013).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200호, 7-28.

17.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8.

박철옥 (2014). 복합외상경험자의 상담을 통한 자기의 회복과정: 근거 이런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9.

변시영, 조한익 (2015). 기업 상담 초심자와 숙련자가 인식한 역할 및 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6(6), 529-551.

20.

서선아 (2015). 청소년 사이버 상담자의 심리적 적응과정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 사전.

22.

심윤정 (2012). 기업 상담자의 기업 내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기업 내 여성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4), 1819-1843.

23.

안은주 (2016). 상담자의 대리외상후 성장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4.

양의주, 하 정 (2020). 60대 은퇴 남성의 역경대처 경험: 경제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1), 173-196.

25.

오현수 (2008). 상담전문가 발달과정에서의 좌절극복경험 분석. 백석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6.

유영권, 정승진, 문영주, 이경아, 이상선 (2011).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역량과 자질 연구. 대학생활연구, 17(1), 1-17.

27.

윤성근 (2015). 내담자의 자살에 대한 정신건강전문가의 경험: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이은진. (2011).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근거이론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9.

임미영 (2010). 노인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0.

장성숙 (2002). 우리 문화에서의 상담자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47-561.

31.

장성숙, 노기현 (2010). 한국인의 심리상담 이야기(현실역동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32.

장세진 (2005). 건강한 직장생활을 위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리. 산업간호(한국산업간호협회), 12(3), 25-31.

33.

정민경 (2016). 자살시도력이 있는 우울증 환자의 주의 몰입 및 철회 실패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4.

조긍호 (2006).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 비교. 서울: 지식산업사.

35.

조윤진 (2016). 해결중심가족상담이 별거 가족의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6.

주은선, 이혜경, 주은지 (2007). 한국적 인본주의 상담 모형 탐색: 일본주의 상담자들의 자기 보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69-586.

37.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 2020 자살예방백서(2018년 통계 기준).

38.

지승희, 김명식, 오승근, 김은영, 이상석 (2008). 청소년자살 예방프로그램 및 개입방안 개발.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41, 1-285.

39.

Alexander, D., Klein, S., Gray, N., Dewar, I, G., & Eagles, J, M. (2000). Suicide by patients: questionnaire study of its effect on consultant psychiatrists. BMJ, 320, 1571-1574.

40.

Bae, S, H., & Joo, E, S. (2003). Psychotherapists in South Korea: Professional and practice characteristic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0(4), 302-316.

41.

Brown, H, N. (1987). The impact of suicide on psychiatirsts in training. Comprehensive Psychiatry, 28(2), 101-112.

42.

Chemtob, C, M., Bauer, G., Hamada, R, S., Pelowski, S, R., & Muraoka, M, Y.(1989). Patient suicide: Occupational hazard for psychologists and psychiatr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 294-300.

43.

Corrine Glesne. (2010). 질적 연구자 되기. (안혜준 역). 아카데미프레스.

44.

Gall, M. D., Gall, J. P., & Borg, W. R. (2003).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7th ed.). Boston, MA: Ally, & Bacon.

45.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46.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New York: Aldine.

47.

Grad, O. T., & Michel, K. (2004). Therapists as client suicide survivors. Women and Therapy, 28(1), 71-81.

48.

Guba, E. G., & Lincoln, Y. E.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49.

Harwood, D., Jacoby, R., Hawton, K., & Heeringen, K. V. (2000). Chapter 18.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The international hand 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ley and Sons, Ltd.

50.

Hendin, H., Haas, A, P., Maltsberger, J, T., Szanto, K., & Rabinwicz, H. (2015). 외상 후 성장-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Por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강연신, 임정란, 장안나, 노안영 공역). 학지사.

51.

Highley, J. C., & Cooper, C. N. (1996). ‘An evaluation of employee assistance and workplace counselling programmes in Briish organizations’. Paper delivered at the 1996 Occupational Psychology Conference.

52.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53.

Holloway, I., & Wheeler, S. (2012).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care(Thir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Oxford.

54.

McAdams, C. R., & Foster, V. A. (2000). Client Suicide: Its Frequency and Impact on Counselor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2, 107-121.

55.

Ruskin, R., Sakinofsky, I., Bagby, R, M., Dickens, S., & Sousa, G. (2004). Impact of patient suicide on psychiatrists and psychiatric trainee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8, 104-110.

56.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57.

Strauss, A., & Corbin, J. (1996). 근거이론의 이해[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김수지, 신경림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원저는 1990년 발행).

5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 Ed.) Thousand Oaks, CA:Sage

59.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저는 1998년 발행).

60.

Viktor E. Frankl, (2005). 삶의 의미를 찾아서. (이시형 역). 청아출판사.

61.

Wurst, F, M., Kunz I., Skipper, G., Wolfersdorf, M., Beine, K, H., Vogel, R., Müller, S., S., & Thon, N. (2013). How therapists react to patient’s suicide: findings and consequence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wellbeing.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5(5), 565-570.

62.

Yousaf, F., Hawthorne, M., & Sedgwick, P. (2002). Impact of patient suicide on psychiatric trainees. Psychiatric Bulletin, 26, 53-5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