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자기자비는 자기자비 2요인 구조가 상위 1요인 구조나 3요인 구조보다 타당하다는 최근 자기자비 척도 연구들의 제안에 따라 ‘긍정자기자비’와 ‘부정자기자비’로 구분하여 각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4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자기자비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긍정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사람들에게 자기자비의 개념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을 적용할 경우,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과 같은 부적응적 완벽추구에도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때 부정적 자기 관련 자극을 더 민감하게 지각하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정자기자비 수준을 낮추는 접근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내현적 자기애,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 긍정자기자비, 부정자기자비, Covert Narcissism,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lf-Compassion, Positive Self-Compassion, Negative Self-Compass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lf-compassion was conceptualized as positive self-compassion and negative self-compassion. Participants were 34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who completed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self-compassion had an indirect mediation effect on the process of covert narcissism affecti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self-compassio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covert narcissism using the concept of self-compassion might lead to changes in non-adaptive perfectionist tendencies, such a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need to focus on approaches that lower the level of negative self-compass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keywords
내현적 자기애,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 긍정자기자비, 부정자기자비, Covert Narcissism,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lf-Compassion, Positive Self-Compassion, Negative Self-Compassion

참고문헌

1.

강문선, 이영순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5), 1545-1560.

2.

강선희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4.

강재연, 장재홍 (2017). 마음챙김-자기자비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자기비판 성향을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35-356.

5.

고은정 (2014).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고종숙 (2016).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곽유미 (2015). 내․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제시 동기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구도연, 정민철 (2016).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요인 타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9), 160-169.

9.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10.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11.

김민서, 이상희 (2019).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4), 79-93.

12.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의 관계: 정서중심 대처와 지각된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27-446.

13.

김민선, 서영석 (2010).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성인애착에 따른 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13- 434.

14.

김민주, 이민규 (2016). 자기자비 글쓰기가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가진 대학생의 자기비난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8), 236-236.

15.

김성주, 이영순 (2013).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상담학연구, 14(3), 1919-1938.

16.

김성주, 이영순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평가에 대한 두려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99- 216.

17.

김성주, 정남운 (2016). 내현적자기애, 자기자비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32(-), 7-35.

18.

김송연, 홍혜영 (2018).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 (9), 49-76.

19.

김수연 (2005). 대학생의 완벽주의성향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연구: 완벽성 향척도(APS-R)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슬기, 박은영 (2018).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수치심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287-306.

21.

김신애, 고은영 (2019).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돌봄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20(1), 271-299.

22.

김연수 (1998). 성취관련 스트레스 경험 후 완벽주의와 자존감이 우울발생 및 지속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정은, 손정락 (2012). 수용전념치료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적 대학생들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 회피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31(3), 749-771.

24.

김현아, 김정규 (2016).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에 대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319- 333.

25.

박도현, 김완석 (2015). 아주 사무량심 척도(AFIS)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821-838.

26.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a).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명시적, 간접적 귀인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465-474.

27.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b).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28.

박아청 (2003). 자존감과 자기보호감 및 자기고양 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교육심리연구, 17(4), 1-22.

29.

박영주, 정남운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1), 55-74.

30.

박지혜, 이주영 (2018).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반추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4), 87-107.

31.

배주영, 여수정 (2018).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국내 연구 동향: 2007년부터 2018년을 중심으로. 상담과연구, 2018, 1(2), 43-60.

32.

백승혜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17.

33.

심준섭 (2013). 구조방정식모형: 이해와 활용. 파주: 법문사.

34.

양민정 (2017).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이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393-407.

35.

오정은, 손정락 (2018).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한 평가염려 완벽주의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이분법적 사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4), 343-354.

3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37.

윤수안 (2017). 자기애와 완벽주의와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윤은초, 김정민, 한아름 (2017).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8(3), 647-658.

39.

윤혜경, 정남운 (2017).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요인별 성별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29-643.

40.

이강애 (2017). 청소년기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미화 (2001).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성취목표,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성원, 양난미 (2015).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4), 225-244.

43.

이수민, 양난미 (2019). 부적응적 완벽주의 경향을 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자비 단기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인간이해, 39(2), 47-72.

44.

이애리 (2019). 초등학생의 기질, 내현적 자기애,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와 완벽주의 성향의 구조적 관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장우혁 (2019). 자기자비 연구동향 및 과제. 명상심리상담, 22, 23-40.

46.

정고운, 김진숙 (2014). 평가염려 완벽주의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정윤경, 나현미, 이지은, 임해경 (2017). 고등교육단계의 진로교육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9.

통계청, 2018년 사회조사 보고서.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50.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한수정, 권석만 (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135-1143.

52.

홍세희 (2011).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양한 모형. 서울: 에스앤엠 리서치 그룹.

53.

MBC뉴스 (2019. 2. 25). 저를 믿으셔야 합니다. 2019년 4월 18일 검색.http://imnews.imbc.com//replay/2019/nwtoday/article/5179128_24616.html

54.

Akhtar, S., & Thom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55.

Barnard, L. K., & Curry, J. F. (2011). Self-compassion: Conceptualizations, correlates, & interven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5(4), 289-303.

56.

Birnie, K., Speca, M., & Carlson, L. E. (2010). Exploring self‐compassion and empathy in the context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Stress and Health, 26(5), 359-371.

57.

Blankstein, K. R., & Dunkley, D. M. (2002). Evaluative concerns, self-critical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ategy.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285-31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

Blatt, S.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12), 1003-1020.

59.

Brown, J. D. (2010). High self-esteem buffers negative feedback: Once more with feeling. Cognition and Emotion, 24(8), 1389-1404.

60.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34-51.

61.

Costa, J., Marôco, J., Pinto-Gouveia, J., Ferreira, C., & Castilho, P. (2016). Valid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lf-compassion scale. Testing the factorial validity and factorial invariance of the measure amo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xiety disorder, eating disorder and general population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23(5), 460-468.

62.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 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63.

Dunkley, D. M., & Blankstein, K. R. (2000).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ping, hassles, and current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4, 713-730.

64.

Flett, G. L., Druckman, T., Hewitt, P. L., & Wekerle, C. (2012). Perfectionism, coping,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maltreated adolescents.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30(2), 118-131.

65.

Freud, S. (2014).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London: White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14).

66.

Frost, R. O., Heimberg, R. G., Holt, C. S., Mattia, J. I., & Neubauer, A. L. (1993).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1), 119-126.

67.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68.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69.

Hamachec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15(1), 27-33.

7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71.

Hewitt, P. L., & Flett, G. L. (2002). Perfectionism and stress processes in psychopathology.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255-28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2.

Horney, K. (2015). 내가 나를 치유한다. 신경증 극복과 인간다운 성장 (서상복 역). 서울: 연암서가. (원전은 1950에 출판).

73.

Kernberg, O. F. (2008). 경계선 장애와 병리적 나르시시즘 (윤순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75에 출판).

74.

Kohut, H. (2002). 자기의 분석 (이재훈 외 공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은 1971에 출판).

75.

Kohut, H. (2006). 자기의 회복 (이재훈 외 공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은 1977에 출판).

76.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Allen, A. B.,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5), 887-904.

77.

López, A., Sanderman, R., Smink, A., Zhang, Y., van Sonderen, E., Ranchor, A., & Schroevers, M. J. (2015). A reconsideration of the self- Compassion scale’s total score: Self-compassion versus self-criticism. PloS one, 10(7), 1-12.

78.

Lundh, L. G. (2004). Perfectionism and acceptance.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22(4), 251­269.

79.

McKay, M., & Fanning, P. (2000). Self -Esteem: A proven program of cognitive techniques for assessing, improving and maintaining your self-esteem..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

80.

Muris, P. (2016). A protective factor against mental health problems in youths? a critical note on the assessment of self-compass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5), 1461-1465.

81.

Muris, P., Otgaar, H., & Petrocchi, N. (2016). Protection as the mirror image of psychopathology: Further critical notes on the self-compassion scale. Mindfulness, 7(3), 787-790.

82.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83.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 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84.

Neff, K. D. (2011a). Self-compassion. New York, NY: William Morrow.

85.

Neff, K. D. (2011b). Self compassion: Stop beating yourself up and leave insecurity behind. New York, NY: Harpercollins Press.

86.

Neff, K. D., & Germer, C. (2017).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 Emma, Seppälä, Emiliana Simon-Thomas, L. Stephanie, Brown, C. Monica, C. Worline, Daryl Cameron & R. James Doty (Eds.), The Oxford Handbook of Compassion Science (pp. 371-385).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87.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88.

Rice, K. G., Lopez, F. G., & Vergara, D. (2005). Parental/social influences on perfectionism and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4), 580-605.

89.

Slaney, R. B., Mobley, M., Trippi, J. T., Ashby, J. S., & Johnson, D. G. (1996). The almost perfect scale-revise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90.

Stober, J., & Otto, K (2006). Positive conception of perfectionism: Approaches, evidence and challenges. Personal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w, 10(4), 295-319.

91.

Stober, J. (2012).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In S. M. Murphy (Ed.), Oxford handbook of sport and performance psychology (pp. 294-306).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92.

Van Dam, N. T., Sheppard, S. C., Forsyth, J. P., & Earleywine, M. (2011).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 25(1), 123-130.

93.

Vohs, K. D., & Heatherton, T. F. (2000). Self- regulatory failur: A resource-depletion approch. Psychological Science, 11(3), 249-254.

94.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95.

Wu, T. F., & Wei, M. (2008). Perfectionism and negative mood: The mediating roles of validation from others versus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2), 276-28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