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노인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춘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비례할당표집방법을 사용해서 선정된 2,004명이며, 구조화된 면접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울은 CES-D 단축형, 자살생각은 SBQ-R, 그리고 심리적 수용은 AAQ-Ⅱ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수용은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심리적 수용의 수준에 따라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자살이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노년층을 대상으로 심리적 수용이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완충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위험이 있는 노인을 위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노인, 우울, 자살생각, 심리적 수용, 조절효과, Older Adult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Moderating Effect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The subjects were 2,004 older adults (65 or older) in the Chuncheon area, selected using the proportional sampling method. Measures of depression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Depression Scale-short form), suicidal ideation (Suicide Behaviors Questionnaire- Revised),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Depre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while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Koreans adults. Recommendations for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at risk for suicide are presented.

keywords
노인, 우울, 자살생각, 심리적 수용, 조절효과, Older Adult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Moderating Effect

참고문헌

1.

고정애 (2018). 노인의 도움요청 실태 및 도움요청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7, 165- 193.

2.

김동배, 박서영 (2010). 노인의 사회관계망 특성과 자살생각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 연구, 24, 109-129.

3.

노상선, 조용래 (2015). keyes의 완전정신건강모형을 통해 본 노인의 정신건강과 자살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059-1078.

4.

박 경 (2011).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스트레스 연구, 19(4), 281- 292.

5.

박선애, 허준수 (2013).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성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62, 79-108.

6.

박수진, 김종남 (2018). 초기 성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877-908.

7.

박원명, 민경준 (2012). 우울증. 서울: 시그마프레스.

8.

박정숙, 박용경, 정성화, 이채식, 김 홍 (2014). 회복탄력성과 우울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4(2), 247-258.

9.

보건복지부 (2019),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page=1&CONT_SEQ=344953에서 검색

10.

사민서, 김영근 (2018).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심리적 수용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5(3), 159-185.

11.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 구분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2.

양수연, 신현균 (2013). 수용-전념 집단프로그램이 우울한 대학생의 심리적 수용, 심리적 안녕감,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4), 761-782.

13.

윤현숙, 염소림 (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8(1), 53-71.

14.

이묘숙 (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231-259.

15.

이인정 (2011).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1(4), 34-62.

16.

이은경, 송하경 (2018). 메타분석에 기초한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ACT(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상담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635-661.

17.

이정은, 유지영 (2017).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37(3), 601-616.

18.

이창진, 오은주 (2015).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6(1), 83-112.

19.

이현지 (2012). 재가 노인이 경험하는 고립과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2, 157-177.

20.

이혜진 (2017). 학교 스트레스가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완충효과와 심리적 경직성의 상승효과. 청소년학연구, 24(11), 273-294.

21.

임연옥, 윤현숙, 황지성 (2016).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1-28.

22.

정현숙, 임현우, 조선진, 김철민, 정소나, 송후림, 정영은, 고기동 (2012). 일차의료에서 우울증의 선별과 사후관리. 가정의학, 2 (1), 15-23.

23.

정혜란, 김미원 (2014). 학대경험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63, 7-33.

24.

조용래, 서동기 (2017).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II)에 대한 요인분석과 다분문항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6(3), 402-417.

25.

중앙자살예방센터 (2019). 자살예방백서. URL: http://spckorea-stat.or.kr/boadpublishview.do에서 검색.

26.

최숙희 (2009). 심리통계학의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27.

추경진, 이승연 (2012).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31-53.

28.

통계청 (2015). 2015년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1/index.board?bmode=read&aSeq=348565&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에서 검색

29.

통계청 (2019).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 보도자료.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bmode=read&aSeq=373873에서 검색.

30.

Andresen, E. M., Malmgren, J. A., Carter, W. B., & Patrick, D. L. (1994).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2), 77-84.

31.

Batterhanm, P. J., & Christensen, H. (2012). Longitudinal risk profiling for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in a community cohort using decision tre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42(1), 306-314.

32.

Biglan, A., Layton, G., Jones, L. B., Hankins, F. M., & Rusby, J. C. (2013). The value of workshops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aff.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2(4), 196-210.

33.

Bond, F. W., Hayes, S. C., Baer, R. A., Carpenter, K. M., Orcutt, H. K., Waltz, T., & Zettle, R. D. (2011).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42, 676-688.

34.

Bonner, R. L., & Rich, A. R. (1987). Toward a perspe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7, 50-63

35.

Butler, J., & Ciarrochi, J. (2007).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Quality of Life Research, 16(4), 607-615.

36.

Dixon, M. (2013). Don’t stop believing: Journeys school. Behaviour Analysis in Practice, 6, 23-24.

37.

Ducasse, D., Rene, E., Beziat, S., Guillaume, S., Courtet, P., & Olie, E. (201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management of suicidal patients: A pilet study.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83, 374-376

38.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 and outcome.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39.

Hayes, S. C., Pistorello, J., & Biglan, A. (2008).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data, and extension to the prevention of suicide. Revista Brasileira de Terapia Comportamental e Cognitiva, 10(1), 81-104.

40.

Jeffcoat, T., & Hayes, S. C. (2012). A randomized trial of ACT biblio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K-12 teachers and staff.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0, 571-579.

41.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gy: Science and Practice, 10, 144-156.

42.

Khang, Y-H., Kim, H-R., & Cho, S-J. (2010). Relationships of suicide ideation with cause- specific mortality in a longitudinal study of south koreans.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40, 465-475.

43.

Kuo, W., Gallo, J. J., & Tien, A. Y. (2001). Incid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in adults: The 13-year follow-up of a community sample in Baltimore, Maryland Psychological Medicine, 31(7), 1181-1191.

44.

Lloyd, J., Bond, F. W., & Flaxman, P. E. (2013). The valu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Examining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pinning a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intervention for burnout. Work & stress, 27(2), 181-199.

45.

Luomo, J. B., Hayes, S. C. & Walser, R. D. (2012). 수용전념치료 배우기(최영희, 유은승, 최지환 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7).

46.

Luoma, J. B., & Villatte, J. L. (2012). Mindfulness in the treatment of suicidal idividuals. Cognitives and Behavioral Practice, 19(2), 265-276.

47.

Murrell, A. R., Al-Jabari, R., Moyer, D., Novamo, E., & Connally, M. L. (2014).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pproach to adolescent suicid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Consultation & Therapy, 9(3), 41-46.

48.

Osman, A., Bagge, C. L., Gutierrez, P. M., Konick, L. C., Kopper, B. A., & Barrios, F. X. (2001). The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Revised(SBQ-R): Validation with clinical and nonclinical samples. Assessment, 8(4), 443-454.

49.

Snowdon, J., & Baume, P. (2002). A study of suicides of older people in Sydne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3), 261-269.

50.

Szabo, T., & Dixon, M. (2016). Contextual behavioural science and education. In R. Zettle, S. Hayes, D. Barnes-Holmes & A. Biglan (Eds.) The wiley handbook of contextual behavioural science(pp. 422-458).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51.

Thomas, E. E., & Katrina, A. R. (2016). Change in experiential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reduced suicidal ideation over the course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20, 426-437.

52.

Thompson, R. W., Arnkoff, D. B., & Glass, C. R. (2011). Conceptualizing mindfulness and acceptance as component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to trauma. Trauma Violence Abuse, 12(4), 220-235.

53.

Tighe. J., Nicholas, J., Shand, F., & Christensen, H. (2018). Efficacy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reducing suicidal ideation and deliberate self-harm: Systematic review. JMIR Mental Health, 5(2), 1-12.

54.

Thomas, E. E., & Katrina, A. R. (2016). Change in experiential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reduced suicidal ideation over the course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20, 426-437.

55.

Walser, R. D., Garvert, D. W., Karling, B. E., Trockel, M.., Ryu, D. M., & Taylor, C. B. (2015).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treat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Veterans. Bebaviour Research and Therapy, 74, 25-3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