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한국판 긍정도식척도(YPSQ)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초록

본 연구는 Louis, Wood, Lockwood, Ho와 Ferguson(2018)의 긍정도식척도(The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를 한국판으로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비연구에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185명의 YPSQ 예비척도 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원척도와 달리 한국판 긍정도식척도(YPSQ)는 12요인 구조의 4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로 시간적 안정성도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460명의 자기 보고식 설문자료를 가지고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판 YPSQ와 YSQ의 상관관계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또한 감사 성향(K-GO-6), 삶의 만족도(SWLS), 정서적 고통(DASS-21), 5요인 성격특성(BFI) 과의 상관분석으로 수렴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판 YPSQ가 YSQ를 넘어 준거 변인들에 대한 독립적인 설명량을 갖는지에 대한 증분타당도를 검증하여, 한국판 긍정도식척도(YPSQ)와 초기부적응도식 질문지(YSQ)가 정신건강을 측정하는 서로 다른 개별적인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들은 한국판 긍정도식척도(YPSQ)가 개인의 초기적응도식(EAS)을 잘 측정할 수 있는 유효한 도구임을 나타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긍정도식척도,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 강점, 척도 타당화,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 Early Maladaptive Schemas, Positive Psychology, Strengths, Scale Valid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questionnaire data from 185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YPSQ was composed of 12 subscales with 49 items. The questionnaire demonstrated strong reliability and stability over time. Nex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60 ad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YPSQ and YSQ was confirm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YPSQ and the K-GO-6, SWLS, DASS-21, and BFI. Incremental validity was verified by analyzing whether the Korean version of the YPSQ had independent explanatory power beyond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YSQ.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YPSQ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EAS of an individual.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긍정도식척도,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 강점, 척도 타당화,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 Early Maladaptive Schemas, Positive Psychology, Strengths, Scale Validation

참고문헌

1.

구성희, 채규만 (2013).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3(2), 255-268.

2.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 (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77-190.

3.

권은영, 황순택 (2017). 부모양육태도와 편집성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7(2), 267-287.

4.

길영란, 박미란, 이지연 (2016). 초기부적응도식, 스트레스, 회피대처행동, 정서조절, 책임귀인, 결혼만족의 구조적 관계. 人間發達硏究, 23(2), 105-129.

5.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6.

김순화, 이은희 (2018).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5(1), 35-47.

7.

김지영, 권석만 (2015). 성격강점과 성격장애가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1), 1-19.

8.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1), 47-65.

9.

노형진 (2014). SPSS을 활용한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서울: 한올출판사.

10.

양동석 (2012). 초기부적응적 스키마의 안정성 및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 2년간의 추적 관찰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12.

유성진, 권석만 (2008).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91-117.

13.

윤성민 (2011).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 활동들의 효과: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의 비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미열 (2006).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은경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17.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정연재 (2019). 병역판정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초기부적응적 스키마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성호 (2001). 초기 부적응 도식과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39-54.

20.

조성호 (2002).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775-788.

21.

하용수 (2006). 대학생의 표본에서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성격장애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8.

23.

Aspinwall, L. G., & Staudinger, U. M. (2002). A psychology of human strengths: Fundamental qu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a positive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

Bowen, M. (1978).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Aronson.

25.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6.

Ellis, A., & Dryden, W. (1997). The practice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27.

Geraghty, A. W. A., Wood, A. M., & Hyland, M. E. (2010). Dissociating the facets of hope: Agency and pathways predict dropout from unguided self-help therapy in opposite dire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4, 155-158.

28.

John, O. P., & Srivastava, S. (1999). Th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L. A. Pervin & O.P. Joh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pp.102-138). New York: Guilford.

29.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 207-222.

30.

Lee, E. H., Moon, S. H., Cho, M. S., Park, E. S., Kim, S. Y., Han, J. S., & Cheio, J. H. (2019). The 21-item and 12-item versions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Psychometric evaluation in a Korean population. Asian Nursing Research, 13(1), 30-37. Obtained at http://www2.psy.unsw.edu.au/dass/.

31.

Lee, S. J., Choi, Y. H., Rim, H. D., Won, S. H., & Lee, D-W. (201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3 in medical students. Psychiatry Investigation, 12(3), 295-304.

32.

Lockwood, G., & Perris, P. (2012). A new look at core emotional needs. In M. van Vreeswijk, J. Broersen, & M. Nadort (Eds.),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ST: Theory, research and science(pp. 41-66). West Sussex, UK: Wiley-Blackwell.

33.

Louis, J. P., Wood, A. M., Lockwood, G., Ho, M.-H. R., & Ferguson, E. (2018).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and Schema Therapy (ST):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 to complement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3 Short Form (YSQ-S3). Psychological Assessment, 30(9), 1199-1213.

34.

Lovibond, S. H., & Lovibond, P. F. (1995). Manual for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2nd ed.). Sydney: Psychology Foundation of Australia.

35.

McCullough, Michael E., Robert A. Emmons, & Jo-Ann Tsang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36.

McGinn L. K. & Young, J. E. (1996). Schema-focused therapy. In: Salkovskis PM, editor. Frontiers of cognitive therapy, 182-207. New York: Guilford.

37.

Paetsch, A., Moultrie, J., Kappelmann, N., Fietz, J., Bernstein, D. P., & Kopf-Beck, J. (2020, January 20). The Young Positive Schema Questionnaire (YPSQ): German Validation, Domain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in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DOI: 10.31234/osf.io/ytzaq

38.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9.

Ito, T. A., Larsen, J. T., Smith, N. K., & Cacioppo, J. T. (1998). Negative information weighs more heavily on the brain: The negativity bias in evaluative categoriz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4), 887-900.

40.

Vaish, A., Grossmann, T., & Woodward, A. (2008). Not all emotions are created equal: The negativity bias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Psychological Bulletin, 134(3), 383-403.

41.

Young, J. E. (1990).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42.

Young J. E., Klosko, J. S., & Weishaar, M. E (2003).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New York: Guilford.

43.

Young, J. E., & Brown, G. (2005).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version 3.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re of New York.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