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상담자의 발달수준에 따른 윤리적 행동문제의 이유

The Difficulty of Ethical Behavior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윤리적 갈등이나 비윤리 경험의 빈도가 높다고 평가한 상황들에서 윤리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운 이유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였고, 수퍼비전 받은 횟수 또는 상담경력에 따라 초보, 중간, 숙련집단으로 구분하여 그 이유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격이 있는 상담자들을 심층 면접하여 윤리적 행동문제 이유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이를 479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보집단이 중간 및 숙련집단에 비해 윤리적 행동문제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행동문제의 주요 이유로는 자격증 수련 과정 목적, 개인적 소홀함, 상담자의 불안, 기관과의 갈등 등도 있었지만 전문가로서의 판단, 더 좋은 상담을 하기 위한 준비 등도 있었다. 초보집단은 개인적 편의와 자격증 준비를 우선에 두는 경향이 있었으며 숙련집단은 자신의 전문적인 판단을 믿고 융통성을 발휘하는 과정으로 윤리적 행동문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수준별 윤리교육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ounseling ethics, ethical issues,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counselors ethics development, 상담 윤리, 윤리적 행동문제, 상담자 발달수준, 상담자 윤리 발달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ounselors’ ethics-related experience and behavior based on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al level and supervision experie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ors, and 479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vice counselors reported a lower frequency of ethical issues than counselors with middle and high level of counseling experience. Primary ethical issues identified were related to areas including: qualification courses, personal neglect, counselor anxiety, conflict with institutions, professional judgment, and preparation for improving counseling services. Novice counselors tended to prioritize personal convenience and qualification preparation, while more experienced counselors reported ethical conflicts related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belief in their own professional judgment, and exerting flexibilit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thics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by developmental level are discussed.

keywords
counseling ethics, ethical issues,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counselors ethics development, 상담 윤리, 윤리적 행동문제, 상담자 발달수준, 상담자 윤리 발달

참고문헌

1.

강이영, 금명자, 조민희 (2018). 상담 수련과정에서 비윤리 경험의 실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495-513.

2.

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동 (2007). 학교상담자 윤리 교육 및 인지 실태 분석. 상담학 연구, 8(2), 751-768.

3.

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동 (2018). 상담자 윤리. 서울: 학지사.

4.

공윤정 (2008). 상담자 윤리. 서울: 학지사.

5.

권경인, 김태선, 조수연 (2018). 상담경력과 집단상담 윤리 인식: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985-1007.

6.

김계현, 문수정 (2000).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18.

7.

김계현, 이윤주 (2002).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 능력과 상담 경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257- 272.

8.

김민정, 조화진 (2015).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 비교연구. 상담학 연구, 6(3), 67-84.

9.

김현아, 공윤정, 김봉환, 김옥진, 김요완, 노성숙, 방기연, 이장호, 임정선, 정성진, 정혜정, 황임란 (2018). 상담철학과 윤리. 서울: 학지사.

10.

문성원 (2018). 상담 윤리와 관련 법규들과의 관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009-1034.

11.

박한샘, 공윤정 (2011). 청소년동반자의 윤리적 갈등경험과 대처방안 연구. 상담학 연구, 12(3), 771-791.

12.

백미현, 유현실 (2012).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3 (6), 3191-3205.

13.

손은정, 이혜성 (2002). 상담자 발달 수준별 사례 개념화의 차이: 개념도를 통한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29-843.

14.

손현동, 진명식, 유형근 (2008).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개념화 차이 분석. 상담학연구, 9(4), 1801-1817.

15.

심흥섭, 이영희 (1998).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0(1), 1-28.

16.

오송희, 이정아, 김은하 (2016). 상담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267-289.

17.

우홍련, 허난설, 이지향, 장유진 (2015). 한국 상담자들이 경험한 윤리 문제와 대처 방법 및 상담 윤리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상담학 연구, 16(2), 1-25.

18.

이은정, 이은지, 안수정, 서영석 (2019). 기업상담자가 경험한 비밀보장 문제: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601-643.

19.

최원호 (2008). 상담윤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

최한나 (2005). 상담자 발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상담학 연구, 6(3), 713-727.

21.

최해림 (2002). 한국 상담자의 상담윤리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05-828.

22.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4). ACA Code of Ethics. Alexandria, VA: Author. Retrieved from https://www.counseling.org/docs/default-source/default-document-library/2014-code-of-ethics-finaladdress.pdf.

23.

Akfert, S. K. (2012).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psychological counsellors working at different institutions and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as a response to these dilemma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3), 1806-1812.

24.

Canadia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Association. (2007). CCPA Code of Ethics. Ottawa: Author. https://www.ccpa-accp.ca/wp-content/uploads/2014/10/Code of Ethics_en.pdf.

25.

Corey, G., Corey, M. S., & Callanan, P. (2011). 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8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6.

Cotton, R. R., & Tarvydas, V. M. (2007). Counseling ethics and decision making (3rd ed.). Upper Saddle Rirer, NJ: Pearson Education Inc.

27.

Francis, P. C., & Dugger, S. M. (2014). Professionalism, ethics, and value-based conflicts in counseling: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Jou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2, 131-134.

28.

Handelsman, M. M., Gottlieb, M. C., & Knapp, S. (2005). Training ethical psychologist: An acculturation model.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1), 59-65.

29.

Herlihy, B., & Dufrene, R. L. (2011). Current and emerging ethical issues in cuonseling: A delphi study of expert opinions. Counseling and Values, 56, 10-24.

30.

Levit, D. H., & Aligo, A. A. (2013). Moral orientation as a component of ethical decision making. Counseling and Values, 58, 195-204.

31.

Levit, D. H., Farry, T. J., & Mazzarella, J. R. (2015). Counselor ethical reasoning: Decision- making practice versus theory. Counseling and Values, 60, 84-99.

32.

Noonan, E. (2017). The responsible counsellor and the ethics of the counseling relationship. Psychodymic Practice, 23(4), 357-367.

33.

Orams, J. E. (2017). Counseling ethics: Overview of challenges, responsibilities and recommended practices. Journal of Multidiciplinary Research, 9(3), 47-58.

34.

Patrick, R. M., Carson, M., & Mary, L. (2017). The experience of ethical dilemmas, burnout, and stress among practicing counselors. Counseling and Values, 62(1), 37-56.

35.

Ronnestad, M. H., & Skovholt, T. M. (2003). The journey of the counselor and therapist: Research findings an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0(1), 5-44.

36.

Smith, T., McGuire, J., Abbott, D., & Blau, B. (1991). Clinical ethical decision making: An investigation of the ratoinales used to justify doing less than one belives one should.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2, 235-239.

37.

Sperry, L. (2005). Health counseling with individual couples, and families: Three perspectives on ethical and professional practice.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22, 10.

38.

Sperry, L. (2007). The ethical and professional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Allyn & Bacon.

39.

Stonterberg, C. D., McNeil, B., & Delworth, U. (1998). IDM supervision: An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for supervising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Jossey-Bass.

40.

Thomas, J. T. (2014). 상담 수퍼비전에서 만나게 되는 윤리적 주제들. (방기연 역). 서울: 양서원. (원전은 2010년에 출판).

41.

Wefel, E. R. (2005). Accepting fallibility: A model for personal responsibility for nonegregious ethics infractions. Counseling and Values, 49(2), 120-13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