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상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및 영향요인 탐색

Economic Value and Influencing Factors of Utilizing University Counseling Services for Preventative Well-being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예방적 개입과 대학상담센터의 정책 및 전문성 입증을 위해 대학상담서비스에 지불할 수 있는 액수를 추정하고, 지불하려는 액수에 어떠한 변인들이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보는데 있다. 전국 59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상담(60분 소요) 1회 비용으로는 15,785원~15,954원을, 집단상담(2시간 소요) 1회 비용으로는 11,811원~12,028원을, 심리검사 1회 비용으로는 19,908원~19,949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만 투입된 모델1과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학적 변인이 모두 투입된 모델2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1로 분석한 결과, 개인상담과 심리검사의 경우에는 학년과 상담경험이 유의미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상담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2로 분석한 결과, 개인상담의 경우에는 학년과 전문적도움추구 및 상담준비도가 커질수록 지불의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상담의 경우에는 전문적도움추구와 상담준비도가 커질수록 지불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심리검사의 경우에는 학년과 전문적도움추구가 증가할수록 지불의사도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College students, College counseling services, Economic value, Influence factor, 대학생, 대학상담서비스, 경제적 가치, 영향요인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iscal impact and variables associated with utilizing college counseling services preventatively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well-being. Survey results from 597 college students revealed they were willing to pay between 15,785-15,954 won for personal counseling, 11,811-12,028 won for group counseling and 19,908-19,949 won for psychological testing. Model 1 revealed that grade level and counseling experie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aying for person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esting; no significant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group counseling. In Model 2, seeking professional help, counseling readiness, and grade level were signific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personal counseling while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counseling readi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group counseling. For psychological testing, both grade level,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were significant variables. Discussion is based on these results.

keywords
College students, College counseling services, Economic value, Influence factor, 대학생, 대학상담서비스, 경제적 가치, 영향요인

참고문헌

1.

강희용 (2003). CVM에 의한 항만공사 편익산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국가통계포털 (2016). 2016 사회조사보고서. http://www.kosis.kr.에서 검색

3.

권용석, 이진각, 손영태 (2006).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건설에 따른 편익 산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6), 945-950.

4.

김계현 (1995). 카운슬링의 실제. 서울: 학지사.

5.

김광웅, 조병주 (2001). 학생생활연구소의 기구, 조직, 인력, 재정, 시설,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협의회 발표 논문. 한국 대학 상담학회.

6.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김수현 (2002). 한국 대학에서의 상담. 학생생활상담, 20, 5-28.

8.

김인규 (2002). 상담전 교육영상자료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주미 (2002). 심리적 불편감, 자기은폐, 사회지지망,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경 (2012). 대학생의 상담전문가에 대한 도움요청 연구: 도움요청태도가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4(1), 93-111.

11.

박성익 (1997).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Ⅰ). 서울: 교육과학사.

12.

서명석 (2002). 학생생활연구소의 발전방안 연구. 학생생활연구, 11, 52-72.

13.

서영석 (2006). 대학상담센터의 한국형 모델에 관한 제언.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통칭)협의회. 2006년도 하계연차대회 자료집.

14.

손연아 (2011).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준비도와 상담서비스요구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손은령, 고흥월, 이순희 (2013). 한,미 대학상담 기관 운영 실태 비교. 교육연구논총 3(1), 291-309.

16.

신연희 (2002).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도에서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양현정 (2003).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유성경 (1998). 우울의 표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관한 문화 간 비교 연구: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간의 비교. 청소년상담연구, 6(1), 93-114.

19.

유성경, 유정이 (2000).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상담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9-32.

20.

유영란 (2005).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지지, 자기은폐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유영란, 이지연 (2006).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441-460.

22.

유진채, 정대현 (2003).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 가치평가법에 의한 백두대간의 비시장적 가치 평가. 농어촌관광연구 10(1), 101-118.

23.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2011).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 10(2), 1-25.

24.

이명균, 임동순 (2006). 조건부가지측정법(CVM)을 이용한 ‘마을숲’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시도. 한국학논집, 33, 153-194.

25.

이민지 (2007).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민지, 손은정 (2007).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49-966.

27.

이보라, 김미애, 이기학 (2005). 외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1), 99-112.

28.

이상민, 남숙경, 이미경 (2009). 정신건강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대학상담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363-384.

29.

이선혜 (2002). 대학생의 정신건강 원조체계 활용 행태. 정신보건과 사회산업, 13(6), 36-58.

30.

이승길 (2005). 마리나 보팅 잠재수요의 결정요인 및 시장세분화.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영범, 고태호, 홍근석, 지현정 (2008). 공공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특허청의 청구항별 심사제도를 중심으로: 공공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8(3), 171-193.

32.

이우람 (2017).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수용도, 심리적 불편감 및 상담준비도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정희, 정경연, 유희정 (2007). 연구논문: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407-429.

34.

이지현 (2010). 고대신문 1651호.

35.

이혜순 (2010).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6(4), 297-303.

36.

임정현, 고태호, 황경수, 양영철 (2007). CVM을 이용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에 따른 경제적 가치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1), 177-195.

37.

장미화, 임현술, 최원상 (2005). 일개 대학교의 학생상담센터를 이용한 상담 내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동국의학, 12(1), 19-27.

38.

장영임 (1999). 문제의 심각도 및 사회적지지, 상담자에 대한 신뢰가 상담 요청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장휘숙 (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2): 대처방식의 중재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141-157.

40.

정은영 (2012). 학생상담센터 실태조사를 통한 이용자 만족도 향상방안.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보영, 이지희, 김원영, 이상민 (2010). 경제적 가치 추정을 통한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성과분석. 교육방법연구, 22(1), 243-263.

42.

최윤미 (2012). 한국과 미국 대학상담센터의 현황.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2), 21-36.

43.

통계청 (2016a). 취학률 및 진학률. 서울: 통계청.

44.

통계청 (2016b). OECD 주요국의 자살률. 서울: 통계청.

45.

통계청 (2016c).「사망원인통계」성 및 연령집단별 자살률. 서울: 통계청.

46.

표순희, 정동열 (2008). 공공도서관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09-234.

47.

Barton, P. T., Ursano, R. J., Wright, K. M., & Ingraham, L. H. (1989). The impact of a military air disaster on the health of assistance worker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7(6), 317-328.

48.

Bayer, J. K., & Peay, M. Y. (1997). Predicting intention to seek help from professional mental health services.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1(4), 504-313.

49.

Bockstael, N. E., Freeman, A. M., Kopp, R. J., Portney, P. R., & Smith, V. K. (2000). On measuring economic values for natur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4(8), 1384-1389.

50.

Carson, R. T. (1985). Three essays on contingent valuation, Ph.D Thesis.

51.

Cash, T. F., Kehr, J., & Salzbach, R. F. (1978). Help-seek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counselor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5(4), 264-269.

52.

Chiu, L., Tang, K., Liu, Y., Shyu, W., & Chang, T. (1998). Willingness of families caring for victims of dementia to pay for nursing home care: 94 results of a pilot study in Taiwan. Journal of Management in Medicine, 12(6), 349-360.

53.

Choi, B. Y. (2011). An Investigation of Foctors Influencing Willingness to Pay for Couseling Serv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54.

Deane F. P., & Chamberlain, K. (1994). Treatment fearfulness and distress as predictors of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seek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22(2), 207-217.

55.

Deane. F. P., & Todd. D. M. (1996). Attitudes and intentions to seek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for personal problems or suicidal thinking.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10(4), 45-59.

56.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for the primary symptom dimensions of the SCL 90.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6(4), 347-356.

57.

Drummond, M. F., Sculpher, M. J., Torrance, G. W., O'Brien, B. J., & Stoddart, G. L. (2005). Methods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heath care programmes (3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8.

Fischer, E. H., & Turner, J. I. (1970). Orientations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1), 79-90.

59.

Goodman, S. H., Sewell, D. R., & Jampol, R. C. (1984). On going to the counselor: Contributions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s to the decision to seek psychologic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3), 306-313.

60.

Greenley, J. R., & Mechanic, D. (1976). Social selection in seeking help for psychological problem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7(3), 249-262.

61.

Hanemann, W. M. (1984). Valuing the environment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 8(4), 19-43.

62.

Jakobssan, K. M., & Dragun, A. K. (1996). Contingent valuation and endangered species: methodological issues and application. In: Wallace, E. Oates (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heltenham, UK, Broodfield US, Britain.

63.

Kelly, A. E., & Achter, J. A. (1995). Self-concealmen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in univers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1), 40-46.

64.

Kushner, M. G., & Sher, K. J. (1989). Fear of psychological treatment and its relation to mental health service avoidanc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 Practice, 20(4), 251-257.

65.

Kushner, M. G., & Sher, K. J. (1991). The relation of treatment fearfulness and psychological service utilization: An overview. Pro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2(3), 196-203.

6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67.

Lertmaharit, S., Kamol-Ratanakul, P., & Saul, A. J. (2000). Ex post and ex ante willingness to pay (WTP) for the ICT Malaria Pf/Pv test kit in Myanmar. The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31(1), 104-111.

68.

Minge, M. R. (1965). Counseling readines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Washington State Universit.

69.

Mitchell, R. C., & Carson, R. T. (1989). Using surveys for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hington D. C.: Resources for the Future.

70.

Omarzu, J. (2000). A disclosure decision model: Determining how and individuals will self-disclos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2), 174-185.

71.

Portney, P. R. (1994). The contingent valuation debate: why economists should car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8(4), 3-17.

72.

Rickwood, D. J., & Braithwaite, V. A. (1994). Social-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help-seeking for emotional problems. Social Science & Medicine (1985), 39(4), 563-572.

73.

Tang, C., Liu, J., Chang, C., & Chang, W. (2007). Willingness to pay for drug abuse treatment: Results from a contingent valuation study in Taiwan. Health Policy, 82(2), 251-262.

74.

Vogel, D., & Wester, S. R. (2003). To seek help or not to seek help: The risks of self-disclosur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3), 351-361.

75.

Vogel, D. L., Wester, S. R., & Larson, L. M. (2007). Avoidance of counseling: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hibit seeking help.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5(4), 410-422.

76.

Vogel, D. L., Wester, S. R., Wei, M., & Boysen, G. A. (2005). The role of outcome expectations and attitudes on decis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4), 459-470.

77.

Wampold B. (2000) Outcomes in individu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Empirical evidence addressing two foundational question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711-739.

78.

Zarkin, G. A., Cates, S. C., Bala, M. V. (2000). Estimat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drug abuse treatment: a pilot study.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8(2), 149-15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