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enter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Commuting

통근통행에 기반한 수도권 중심지 설정과 방법론 연구

  • 김현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안영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6.05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of center setting based on commuter traffic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ompared with the center setting method in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center was derived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interregional commuting traffic for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mpared the results of applying each methodology of previous studies by classifying the methodologies into four categories: single index - based, multiple index - based, nonparametric,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some similar centers including major centers in Seoul were derived, but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each methodolog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setting the multi sub-center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reaf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upplement the spatial structure plan based on the new center system in the situation wher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the polycentric spatial structure is now being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urban realms.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통근통행에 기초하여 중심지의 설정방법론을 제시하고, 기존의 중심지 설정방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행정동을 대상으로 지역 간 통근통행량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중심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중심지 설정 방법론을 특성에 따라 단일지표 기반의 방법, 다수지표 기반의 방법, 비모수적 분석방법, 공간통계 분석방법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의 주요한 중심지를 포함하여 일부 유사한 중심지가 도출되었으나 각 방법론마다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고, 수도권의 다핵 중심지를 설정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이미 다핵 도시공간구조의 수도권이 이제는 광역도시권의 맥락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중심지 체계에 기반한 공간구조계획의 수립 보완이 필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감영, 2011, GWR과 공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한 중심지 식별: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pp.73-86.
  2. 김광익, 2009, 서울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 특성, 국토지리학회지, 43(4), pp.571-586.
  3. 김상수.안상현.신영철.김홍태, 2008, 대전광역시 중심지 위계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 pp.23-33.
  4. 김재익.권진휘, 2013, 수도권 통근통행의 공간적 변화와 직주분리수준의 분석, 교통연구, 20(4), pp.79-90.
  5. 김창석, 1998, 서울시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천에 관 한 연구, 서울학연구, 10, pp.191-227.
  6. 김창석.우명제., 2000, 서울시 중심지 설정과 중심지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1), pp.17-29.
  7. 김헌민, 1988, 서울시의 고용중심지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2, pp.51-65.
  8. 김혜천, 2002, 대도시 중심지체계의 인식과 경험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15(3), pp.48-50.
  9. 남기찬.임업, 2009, 비모수적 방법을 활용한 서울시 인구 및 고용밀도영향중심지의 확인과 상호관계 파악, 국토연구, 63, pp.91-106.
  1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2, 국토 및 지역계획론, 서울:보성각.
  11. 서주옥.김도년.이성창, 2017, 건축물 연면적 현황과 도시 기본계획의 중심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물리적 중심지 검증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8(1), pp.105-114.
  12. 손승호, 2007, 서울대도시권의 공간상호작용 변화와 시공간 패턴, 대한지리학회지, 42(3), pp.421-433.
  13. 송미령, 1998, 서울 대도시권의 도시공간구조와 초과통근, 국토계획, 33(1), pp.57-75.
  14. 오병록, 2015, 실제 통행에 기반한 생활권 범위 설정과 적용, 인천학연구, 23, pp.219-248.
  15. 옥석문.이명훈, 2008, 중심지 체계설정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1(1), pp. 107-125.
  16. 윤정미.박상철, 2005, 인천시의 효율적인 도시물류정비를 위한 화물물동량 및 화물차의 유동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pp.166-174.
  17. 윤철현.김주석.박봉진, 2003, 부산시 상업기능 집적 특성과 상업중심지 계층변화 연구, 도시행정학보, 16(2), pp.1-25.
  18. 이시룡, 1991, 대구 도심기능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9. 이종상, 2000, 유동패턴분석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유용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2(2), pp.55-65.
  20. 이창로.박기호, 2013. 인근지역 범위 설정이 공간회귀모형 적합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8(6), pp.978-993.
  21. 이창수, 1992, 서울시 상업지역의 계층구조와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이태규.최재필, 2017, 창동, 상계 신경제중심지 프로젝트가 주변 도시공간의 보행통행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6), pp.23-30.
  23.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고양:문우사.
  24. 임영식.이창수, 2016, 서울시 중심지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91, pp.109-124.
  25. 전명진, 1995, 다핵밀도경사모형을 이용한 서울 대도시권의 도시공간구조분석, 국토계획, 30(4), pp.285-294.
  26. 전명진, 2003, 비모수적 방법을 통한 서울의 고용중심지 변화 분석, 국토계획, 38(3), pp.69-83.
  27. 정대영.김상수.김계현, 2009,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3), pp.65-70.
  28. 정윤영.문태헌, 2014,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pp.139-158.
  29. 조대헌, 2011, 유동 패턴 분석 방법으로서의 요인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지도학회지, 11(1), pp.33-46.
  30. 최막중.지규현, 1997, 다핵화 정책에 의한 직주근접 효과의 규범적 평가, 국토계획, 32(5), pp.25-37.
  31. 최열.이재승.김성, 2013,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용도지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48(4), pp.5-17.
  32. 한국개발연구원, 2008, 수도권 공간구조와 통근통행의 효율성.
  33. 허윤경.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분석, 국토계획, 44(2), pp.111-121.
  34.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 pp.93-115.
  35. Carol, H., 1960, The Hierarchy of Central Functions within the Cit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pp.430-431.
  36. Giuliano, G., Small, K., 1991, Subcenters in the Los Angeles Region,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1(2), pp.163-182. https://doi.org/10.1016/0166-0462(91)90032-I
  37. Gordon, P., Kumar, A., Richardson, H. W., 1989,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Some New Evidence, Urban Economics, 26, pp.315-326.
  38. Gordon, P., Richardson, H. W., Giuliano, G., 1988, Travel Trends in Non-CBD Activity Centers. School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USC.
  39. Gordon, P., Richardson, H. W., Wong, H. L., 1986,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in a Polycentric City: The Case of Los Angeles, Environment and Planning, 18, pp.161-173. https://doi.org/10.1068/a180161
  40. McDonald, J. F., 1987, The Identification of Urban Employment Subcenter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1, pp.242-258. https://doi.org/10.1016/0094-1190(87)90017-9
  41. McDonald, J.F., Prather, P., 1994, Suburban employment centers: the case of Chicago, Urban Studies, 31, pp.201-218. https://doi.org/10.1080/00420989420080201
  42. McMillen, D.P., 2001, Nonparametric Employment Subcenter Identific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50, pp.448-473. https://doi.org/10.1006/juec.2001.2228
  43. Murphy, R. E., Vance, J. E., 1967, Delimiting the CBD, Gibbs, Jack P. Princeton ed., Urban Research Methods, D. Van Nostrand Company, pp.187-220.
  44. Pandit, K., 1994, Differentiating between subsystems and typologies in the analysis of migration regions: A U.S. example, The Professional Geographers, 46(3), pp.331-345. https://doi.org/10.1111/j.0033-0124.1994.00331.x
  45. Small, K., Song, S., 1994,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ies: Structure and Change, Journal of Urban Economics, 36, pp.292-313. https://doi.org/10.1006/juec.1994.1037
  46. Taherdoost, H.A.M.E.D., Sahibuddin, S.H.A.M.S.U.L., Jalaliyoon, N.E.D.A., 201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cepts and theory, Advanc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