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ype of Product on Option-Attachment and Regret after Purchase Decision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self-compassion and product type (product vs. service) influence option attachment and regret after purchase decision. Results indicate that high self-compassionate participants experienced less option attachment and regret after purchase decision than low self-compassionate participants. It was also found that option attachment and regret were higher in product choice decision than service choice decision. Finally,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option attachment and regret was found in product choice decision but not in service choice decis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management of comsumer negative affect and regret were discussed.

keywords
Self-compassion, option attachment, regret

Reference

1.

강인숙 (2000). 국내 서비스 연구의 동향에 관한 연구. 경기관광연구, 제 4호 107-121.

2.

기태원, 강윤희, 김재휘 (2014). 제품 속성 상쇄 정도와 사고방식이 구매 지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400-400.

3.

김민주 (1998).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 연구, 21(2).

4.

김재휘, 이영아 (2009). 광고가 구매 후 후회해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소비자 및 광고, 10(1), 35-54.

5.

김준호, 유시정, 박시숙 (2001). 서비스품질평가와 향상전략: 서비스품질인증제도: 서비스경영 분야: 서비스 상품의 관여와 기대에 관한 연구. 2001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45-159.

6.

문은주, 최해연 (2015).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1-16.

7.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 123-140.

8.

박혜린 (2014).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 치료 연구, 13권, 35-53.

9.

안은미, 이병관 (2014). 서비스 상품에 대한 사전기대 불일치와 우연 인식 정도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5(1), 247-266.

10.

안은미, 이병관 (2015). 소비자의 자기자비(Self-Compassion)성향이 구매후 후회감과 제품에 대한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후회상황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6(4), 651-671.

11.

유현정 외 (2012). 무엇이 소비자를 후회스럽게 하는가? 자기조절능력과 비이성적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8(2), 103-129.

12.

이문규, 안광호 (2011). 서비스 마케팅 & 매니지먼트. 집현재.

13.

이병관 (2010).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상황에서 소비자 의사결정 행동에 미치는 내재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의 효과 연구. 광고연구, 86, 30-55.

14.

이상현, 성승연 (2011).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당 및 심리치료, 23(1), 93-112.

15.

이신혜, 조용래 (2014). 자기자비의 부족이 여자 청소년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제: 신체적 불만족, 섭식절제 및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1), 103-121.

16.

이유재 (2008). 서비스 마케팅. 제4판, 학현사.

17.

이유재, 이준엽 (2001). 서비스 품질의 측정과 기대효과에 대한 재고찰: KS-KQI 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16(1), 1-26.

18.

정현영 (2008). 서비스 상품 구매상황에서 고객의 정보수준과 위험인지도가 정보채널 선택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0), 342-350.

19.

조선배, 김화경 (2006). 국제전시회 서비스 품질의 사전기대와 사후성과가 서비스 가치와 고객만족 및 서비스 애호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경영학회지, 7(2), 123-141.

20.

조성의 (2011). 서비스상품 전자상거래에서 고객의 구매영향요인 연구: 지각된 위험과 고객 구매의도에 초점. 서비스경영학회지, 12(5), 83-107.

21.

조용래, 노상선 (2011). 자기 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 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 707-727.

22.

하영원, 서명희 (2007). 구매목적인 대안애착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브랜드 유사성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 연구, 18(2), 59-78.

23.

한상린, 성형석 (2007). 산업재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인들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9(1), 42-72.

24.

한상천 (2009). 대안애착이 후회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Carmon, Ziv & Dan Ariely (2000). Focusing on the forgone: Why value can apper so different to buyers and sell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December), 360-370.

26.

Carmon, Ziv, Klaus Wertenbroch & Marcel Zeelrnberg (2003). Option attachment: When deliberating makes choosing feel like lo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June), 15-29.

27.

Connolly, T., & Zeelenberg, M. (2002). Regret in decision mak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1, 212-216.

28.

Dahr, R., & Wertenbroch, K. (2000).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7(February), 60-71.

29.

Greenberg, L., & Paivio, S. (1997). Working with Emotion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30.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Press.

31.

Leary, M. R. (1999). Making sense of self-esteem.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8, 32-35.

32.

MacBeth, A., & Gumley, A. (2012). Exploring compassion: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32, 545-552.

33.

Martine, L. M., Zeelenberg, M., & Rijsman, J. B. (2011). Behavioural consequences of regret and disappointment in social bargaining games, Cognition and Emotion, 25(2), 351-359.

34.

Neff, K. D. (2003a).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 223-50.

35.

Neff, K. D. (2003b).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iy, 2, 85-102.

36.

Zeelenberg, M., & Pieters, R. (1999). Comparing service delivery to what might have been: Behavioral response to reget and disappointment, Journal of Service Research, 86-97.

37.

Zeelenberg, M., & Pieters, R. (2007). A theory of regret regulation 1.0,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1), 3-1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