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s’ Jewelry Consumption Behavior:Perception, Value and Uniqueness in Purchase Pattern

Abstract

The consumption of jewelry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daily lives and prior researches on jewelry consumption have focused on differences in purchase and usage patterns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and so on. However, remarkab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why consumers possessing and consuming jewelry. Thus we attempted exploratory research to underst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experiences about consumers’s jewelry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cided to employe ethnography as a guiding principle, collected in-depth data employ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s a data collection method, and analyzed various aspects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hile consuming jewelry from consumers’ perspectiv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ith 27 and 22 informants. As a result, we developed three major themes about jewelry consumptions. We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 various types of values such as utilitarian, hedonic and symbolic values and those values those value perceptions have been changes by personal life stages. In addition, unique patterns at purchase situations have been recognized. We provided in-depth description along with these three major themes. Lastly,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 results,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nagers, clarified study limitations from data collection metho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words
Perception of Jewelry, Perceived Value about Jewelry, Perception Change about Jewelry, Change of Decisive Attributes at Purchase Situation

Reference

1.

김정지 (2009). 현대 아트 주얼리의 발현과 의미 연구: 착용예술(Wearable art)개념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12(1), 7-2.

2.

박은선 (2011). 주얼리 소비의 사회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14(2), 153- 172.

3.

박은아 (2003). 화장의 심라사회적 의미: 보여주기의 미학.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4(2), 105-127.

4.

박은아, 주경미 (2006). ‘클럽’여가 소비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1), 23-46.

5.

박은주, 하명진 (2008). 주얼리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 385-394.

6.

배정후, 안일훈 (2011). 명품 주얼리 디자인의 이미지 분석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14(2), 9-26.

7.

성영신, 박은아 (2009). 아름다움의 권력: 심리학이 해부한 아름다움의 힘. 윈앤원북스 소울메이트.

8.

손영화 (2011). 고객가치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2), 455-475.

9.

송오성, 이정임 (2004). 신소재를 활용한 패션주얼리 디자인 개발 방안.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Vol. 12, 39-44.

10.

신혜경 (2011). 패션 주얼리 브랜드의 로고 특성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9(1), 33-42.

11.

오원택 (1989). 보석개론. 서울: 디자인하우스.

12.

우제성, 최원근 (2007). 주얼리에 대한 소비자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1(2), 135-148.

13.

위경효, 강종환 (2011). 주얼리 브랜드 에쿼티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요소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9(1), 273-282.

14.

유미현 (2007). 고령자를 배려한 주얼리 디자인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 유니버셜디자인 관점에서. 한국공예논총, 10(1), 97-120.

15.

유창조 (2007). 월드컵 축구경기에서 표출되는 팬의 소비가치에 대한 비교 연구: 국가별 팬 집단의 소비행태 및 소비문화의 비교. 마케팅연구, 22(4), 115-140.

16.

유창조 (2010), “마케팅조사 현장애서 ethnography 원리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1(3), 115-137.

17.

유창조, 김미나 (2007). 경험적 가치기반의 매장에 관한 Ethnography: 홍대 앞 프리마켓(free market)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12(3), 1-21.

18.

유창조, 김상희 (1994). Ethnographic 접근방식을 통한 쇼핑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확장된 개념, 감정의 다양성, 동기의 다양성. 소비자학연구, 5(2), 45-62.

19.

유창조, 백지은 (2006). 미술관 체험에 관한 ethnography: 참여적 소비를 중심으로. 마케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년 3월 4일.

20.

유창조, 성영신, 박주영, 이재형, 차승욱 (1999), “매장에서의 고객 - 판매원의 관계형성에 관한 Naturalistic Inquiry,” 소비자학연구, 10 (2), 41-69.

21.

유창조, 이상준 (2010).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의 역할인식 변화에 관한 심층연구: 이동통신 사용 시 새로운 소비가치 발현자로서의 10대 소비자. 소비자학연구, 21(1), 245-272.

22.

유창조․홍성태․박은아 (2006). 여성의 화장에 대한 욕구와 그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위에 대한 심층연구. 경영학연구, 35(1): 21-49.

23.

유창조, 정혜은 (2002). 소비자의 아름다움 추구행위(Beauty Seeking Behavior)dp 관한 탐색적 연구: 남성의 치장과 여성의 화장, 성형 및 피트니스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3(1), 211-232.

24.

이경희, 정홍인, 조민정 (2009). 전자 상거래에서의 쥬얼리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의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9(1), 61-68.

25.

이동주, 임철민 (2010). 파인 주얼리에 대한 소비자 감성연구: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제품을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13(1), 89-108.

26.

이승희, 부정화 (2005). 패션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점포와 무점포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1). 121- 132.

27.

이승희 (2005). 패션 주얼리 브랜드산업의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9(2). 131-142.

28.

이용숙, 이응철 (2013).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행동은 어떻께 다른가?-심층면담과 동반쇼핑 참여관찰 결과의 비교연구. 마케팅연구, 28(1), 181-210.

29.

이정훈 (2007). 여성 소비자의 직업별 구성원에 따른 주얼리 특성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1(2), 212-222.

30.

이혜선, 유희연 (2009). 소비자 행동론에 근거한 컨버전스 주얼리 디자인연구: MP3, USB, Bluetooth 제품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7(4), 23-34.

31.

임철민, 김경기 (2008).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소비자 감성에 관한 연구: 성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11(4), 147-162.

32.

임철민, 정성환 (2008). 온라인 주얼리 매장의 상품 분류분석 및 분류체계의 제안. 디자인연구, 21(4), 297-306.

33.

조윤기, 이상민 (2008). 타인의식적 소비성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9(2), 263-284.

34.

정수정, 성영신 (2011). 소비자 미 추구성향(Consumer’s Aesthetic Seeking Behavior Tendenc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4), 659-682.

35.

채지영, 양 윤, 윤유경 (2002). 라이브콘서트 소비행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1), 1-15.

36.

최계봉, 김효중, 지용근 (1989).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신뢰형성 요인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부설 한국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20집, 107-131.

37.

최원근, 우제성 (2010). 주얼리 구매에 있어 젊은 여성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경상교육학회지, 7(2). 211-232.

38.

하영원, 안서원, 이 용 (2002).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의 선택: 선택의 폭과 선택 모드 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3(1), 139-157.

39.

허순범, 추원교 (2008) 명품 주얼리 브랜드 구축과 마케팅 관리전략: 해외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11(1), 187-208.

40.

허순범, 추원교 (2007). 다이아몬드 반지 디자인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10(1), 497-513.

41.

Ajzen, Icek and Martin Fishbein (1980).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sntice-Hall.

42.

Babin, Barry J., William R. Darden and Mitch Griffin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March), 644- 656.

43.

Belk, Russell W., John F. Sherry and Melanie Wallendorf (1988). A Naturalistic Inquiry in Buyer and Seller Behavior at a Swap Mee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March), 449-470.

44.

Cash, T. F. (1985). Physical Appearance and Mental Health. in J. A. Graham & A. Kligman (Eds.), Psychology of Cosmetic Treatments, 196-216.

45.

Chandon, Pierre, Brian Wansink and Gilles Laurent (2000). A Benefit Congruency Framework of Sales Promotion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64(October), 65-81.

46.

Holbrook, Morris B. (1999). Introduction to Consumer Value. In: Holbrook Morris B, Editor. Consumer Valu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Research, London, UK: Routledge. 1-28.

47.

Holbrook, Morris B. and Elizabeth C. Hirschman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September), 132-140.

48.

Kurt, Didem., Jeffrey Inman and Jennifer Argo (2011). The Influence of Friends on Consumer Spending: The Role of Agenc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Aug, 48(4), 741-754.

49.

Kvale, S. (1989). Interviews. Thousand Oak, CA: Sage.

50.

Lincoln, Yvonna and Egon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shing.

51.

Snyder, M. (1979). Self Monitoring Processes.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85-128.

52.

Spradley, James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Harcourt College Publishers.

53.

Spradley, James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Harcourt College Publishers.

54.

Solomon, Michael R. (1983). The Role of Social Stimuli: A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December), 319-329.

55.

Troxell, Mary D, & Elaine Stone (1981). Fashion Merchandis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