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2 pp.159-16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2.159

Study on the Effect of Color lens on Reading Abilit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Eyes

Se-Jin Kim1), Jong-Ha Lee2), Hyeon-Seon Lim2), Jeong-Hee Hwang2)*
1)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2)Dept. of Optometry, Gangdong University, Eumseong
Correspondence: Jeong-Hee Hwang Department of Optometry, Gangdong University, Eumseong +82-043-879-3889, jhhwang@gangdong.ac.kr
May 10, 2017 June 14, 2017 June 14, 201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ring color lens on convergence insufficiency(CI) by measuring binocular vision and reading ability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color lenses in those with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normal binocular vision.

Method:

We surveyed 39 people who have no color blindness and eye disease with the CISS questionnaire, and classified them to CI and normal groups. All respondents were undergone refraction and corrected their vision of which maximum correction was over 1.0. We found out a reading ability using binocular vision test and Intuitive Colorimeter Mk.3 after letting them choose a favor color lens for near reading. Statistic analysis tool was SPSS 18.0 and set significance level as p<0.05.

Result:

The CISS score of the CI group was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It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near exophoria in the CI group was larger, and the near point of convergence was also longer than the normal group.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and the lag of accommodation in the CI group showed larger values, and the accommodative facility of the CI group was slower than the normal group. In reading ability of the CI group, the number of correct words and the speed of reading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 lenses. However, the norma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reading ability regardless of wearing the color lenses.

Conclusion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lor lens contributes to a positive effect on the reading abilit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eyes. If a questionnaire about the subjective symptoms on wearing color lenses, and tests on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are additionally carried out, it would be avaiable to analyze various results.


컬러렌즈가 폭주부족안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 세진1), 이 종하2), 임 현선2), 황 정희2)*
1)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2)강동대학교 안경광학과, 음성

    Ⅰ서 론

    현대 사회인들은 컴퓨터 작업 및 스마트 폰 등 근 거리 시생활에 많은 시간을 소비함에 따라 젊은 사람 들도 근거리에서의 시각적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1] 장시간 책을 볼 때 편안하게 읽기 위해서는 눈의 조 절기능과 융합버전스 기능이 정확해야 한다.[2] 시기 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근거리 작업을 할 때 글 씨가 흐려 보인다거나 두통 및 피로 등을 호소할 수 있으며 학습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인 피로, 두통 등의 증상은 폭주부족(Convergence Insufficiency, CI)이 동반될 때 나타난다.[3] 타당성과 신뢰성이 매우 높은 CISS(Convergence in Sufficiency Symptom Survey) 설문지를 활용해서 폭주부족안을 선별할 수 있다.[4] 국내에서도 폭주부족안을 선별하 기 위해 CISS 설문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5] 폭주부 족안에 관한 연구는 폭주부족과 주의집중력과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주의 집중을 향상시 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방 법이 있다. 적당한 색채의 사용은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눈의 긴장을 풀어주어 피로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7,8] 컬러의 선택을 위해 컬러 오버레이 나 컬러렌즈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검 사를 통해 선택된 컬러렌즈는 읽기 속도를 향상시키 는데 효과적인 특정 색상이 있으며 그 색상은 개인마 다 다르다.[9]

    읽기능력이 부족한 난독증 환자나 양안시이상이 없는 대상자로 이루어진 컬러렌즈의 선행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폭주부족안을 대상으로 한 컬러 렌즈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능 검사를 통해 폭주부족 안의 특성을 살펴보고 컬러렌즈 착용 전과 후의 읽기 능력을 측정하여 컬러렌즈가 폭주부족안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충북지역 대학생 120명 중 색각이상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39명을 대상으로 CISS 설문을 실시하여 점수의 합계가 21점 이상인 경우 폭주부족 안으로 분류하였고, 21점 미만인 경우는 정상안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간의 검사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폭 주부족안과 정상안을 분류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CISS 점수가 21점 이상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선행논문을 참고하였다.[10] CISS 설문 항목은 폭주부족 증상에 대해 ‘전혀 없다’는 0점, ‘아 주 드물다’는 1점, ‘가끔 그렇다’는 2점, ‘자주 그렇다’ 는 3점, ‘항상 그렇다’는 4점으로 점수화하였다.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최대교정시력을 1.0이상으로 교정 한 후, 시기능 검사와 읽기능력 검사를 2016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자각적 굴절 검사는 포롭터(CV-5000, Topcon, Japan)를 이용하 였다.

    시기능 검사는 원, 근거리 사위 검사, 폭주근점, 근 거리 융합버전스, 최대조절력, 상대조절력, 조절반응 검사와 조절용이성 검사를 하였다. 사위 검사에는 마 독스로드와 수정된 토링톤 시표를 활용하였으며, 폭 주근점과 최대조절력은 push-up 방법으로 측정하 였으며, 조절반응은 크로스실린더법, 조절용이성은 ±2.00D 플리퍼 렌즈로 검사하였다.

    읽기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Intuitive Colorimeter (Mk.3, Cerium Technologies, Kent, UK)를 이용하 여 근거리 독서 시 선호하는 컬러렌즈 색상을 선택하 여, 먼저 컬러렌즈를 착용하고 읽기능력 검사를 실시 한 후, 착용하지 않고 읽기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1분 동안 읽은 단어수와 틀린 단어수를 기록하여 읽기 속 도와 정확도를 검사하였다. 읽기능력 검사에 사용한 시표는 의미있는 문장이 아닌 단순한 단어들로 구성 되어 있으며, 내용이 연결되는 의미있는 문장이 아니 기 때문에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시표를 사용하였다.[11]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은 p<0.05을 기준으로 하 였다.

    Ⅲ결과

    1일반적인 특성

    총 39명에게 CISS 설문을 실시하여 점수의 합계가 21점 이상인 경우 폭주부족안군으로 분류하였고, 21 점 미만인 경우는 정상안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간의 검사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인원 총 39명(남 25명, 여 14명) 중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비정시 인원은 29명, 어떠한 교정기구도 사 용하지 않는 정시 인원은 10명이었다(Table 1).

    본 연구에 사용한 폭주부족 설문 조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문항 15개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 과, Chronbach’s α 값이 0.93으로 내적합치도가 매 우 높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2폭주부족안과 정상안의 시기능 분석

    CISS 설문 결과를 비교해 보면, 폭주부족안에서의 CISS 총 점수의 평균은 31.60±8.85점으로 정상안의 평균점수 5.63±6.54점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 타났다(p=0.00). 근거리 사위는 두 그룹 모두 외사위 가 나타났으며 폭주부족안에서의 외사위량이 정상안 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크게 나타났다(p=0.00). 조절 성폭주비도 정상안보다 폭주부족안에서 유의한 수준 으로 크게 나타났다(p=0.00). 폭주근점의 평균값은 폭주부족안과 정상안에서 각각 8.83±1.27, 5.61± 1.80cm로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0), 양성 및 음성 융합버전스는 폭주부족안과 정상안에서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조절력과 관련한 결과에서, 최대조절력은 두 그룹 간에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양성상대조절 력(p=0.01)과 조절반응(p=0.01)에서는 정상안보다 폭주부족안이 더 큰 값을 보였으며, 양안조절용이성 은 폭주부족안이 정상안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p=0.00)(Table 3).

    3컬러렌즈 색상 선택

    모든 피검사자에게 Intuitive Colorimeter Mk.3을 이용하여 근거리 독서 시 선호하는 색상을 선택하게 하였을 때, 폭주부족안에서는 rose 색상이 40%로 가 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yellow, blue-green, blue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정상안에서는 green 색상이 47.4%의 높은 비율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lue-green, rose, purple, yellow 렌즈의 순으로 적게 선택되었다(Table 4).

    4읽기능력 검사

    개인별로 선택된 컬러렌즈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 하지 않았을 때의 근거리 읽기 시표에서 틀린 단어의 개수 및 읽기 속도를 비교한 결과, 폭주부족안에서는 컬러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정확하게 읽은 단어의 개 수 및 읽기 속도가 증가한 반면에 정상군에서는 컬러 렌즈의 착용 여부가 정확하게 읽은 단어의 개수 및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5시기능 검사와 읽기능력 검사의 회귀분석

    시기능과 읽기능력이 폭주부족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 두 개 항목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단순회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기능 검사 중 폭 주근점(p=0.00), 양성상대조절력(p=0.03), 조절용이 성(p=0.01)이 폭주부족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다(Table 6).

    IV고찰 및 결론

    CISS 설문지를 사용하여 폭주부족안과 정상안을 분류하였다. 두 그룹의 폭주 및 조절 관련 검사 결과 에서 폭주부족안이 정상안보다 근거리 외사위량이 크 고, 폭주근점의 거리가 멀게 나타났으며, 조절용이성 의 결과 또한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근거리 외 사위가 높고 폭주근점이 7.5cm 이상이면 폭주부족으 로 정의하는 Rouse[4]의 연구와 같은 결과이며, 이[10] 의 연구에서 정상안과 폭주부족안의 근거리 사위량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과 같은 결과이다.

    폭주부족과 같은 양안시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근 거리 작업 시의 피로감, 간헐적 복시, 충혈, 두통 등 의 증상 이외에도 집중력 저하, 독서 속도의 저하, 글 씨가 흔들려 보이는 증상 등의 현상을 동반한다고 하 였다.[12,13] 이러한 증상들은 편두통이나 난독증이 있 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14-16] 이러한 경우에 컬러렌즈 또는 컬러 오버레이를 통하여 자각 증상이 완화되거나 읽기 속도가 증가하는 등의 긍정 적인 영향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7,18]

    본 연구에 참여한 폭주부족안에서도 CISS 설문지 를 통해 비슷한 증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라 관련된 증상들이 컬러렌즈를 통하여 완화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난독증 환자들에게 근거리 독서 시에 선호하는 색상의 오버레이를 선택 하도록 한 연구에서 개인별로 선호하는 색상이 다르 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는데,[19] 본 연구에서도 폭 주부족안에서 선택된 컬러렌즈의 색상이 다양하게 나 타났으며, 각 컬러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읽기 속 도가 증가하였고, 맞은 개수가 증가하고 틀린 개수는 감소함으로써 컬러렌즈의 착용이 폭주부족안의 근거 리 독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정상안의 피검사자들이 선택한 렌즈의 색 상은 green 색상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되었다. 장 파장의 색상보다 단파장의 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조 절반응이 더 적게 나타나는데, green 색상을 착용했 을 때 다른 렌즈에 비해서 피로도가 감소한다고 하였 다.[20,21] 이 결과를 보면 정상안에서 green 색상을 주 로 선택한 것은 피로도가 감소되는 색상을 선택한 것 으로 보인다. 그러나, 컬러렌즈 착용 전과 후의 읽기 능력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읽기 속도에서 는 오히려 컬러렌즈 착용 후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 다. 이는 컬러렌즈에 의해 기대되는 효과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컬러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읽기를 먼저 시행하고, 컬러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 읽기를 후에 시행하였으므로, 학습효과가 나타나 는 것으로 판단된다.

    폭주부족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각증 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프리즘 처방 및 시기능 훈련 등 다양한 처치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22] 컬러렌즈가 난독증 또는 광과민성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는데[17,18] 컬러렌즈를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피검자가 양안시 이상이 없어야 하고,[12] 컬러렌즈가 사위의 종류나 정 도에 관련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23] 폭주부족안과 난독증 또는 광과민성 증후군의 자각증상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관련된 증상을 컬 러렌즈의 착용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지 읽기 속도와 정확도의 결과를 이용하여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폭 주부족안과 정상안의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 읽기 속도와 정확도 간의 변화에 차이를 보여 폭주부족안 에서 컬러렌즈가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컬러렌즈를 착용한 이후의 결 과를 읽기 속도와 정확도의 결과로만 분석하였는데, 추후 컬러렌즈 착용 후의 자각증상에 대한 설문과 폭 주 및 조절 검사의 결과를 추가적으로 진행한다면 더 다양한 결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CI : Convergence Insufficiency, NBV : Normal Binocular Vision

    Cronbach’s α according to CISS

    Test of binocular examination

    CI : Convergence Insufficiency, NBV : Normal Binocular Vision
    *p < 0.05,
    **p < 0.01

    Choice of color lens

    Test of reading ability

    CI : Convergence Insufficiency, NBV : Normal Binocular Vision
    *p < 0.05,
    **p < 0.01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ference

    1. KIM CJ , Kim HJ (2010)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effects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on binocular vision of university students , J Korean Oph Opt Soc., Vol.15 (1) ; pp.105-16
    2. Morad Y , Lederman R , Avni I , Atzmon D , Azoulay E , Segal O (2002)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kills and different measurements of convergence amplitude , Curr Eye Res, Vol.25 (2) ; pp.117-21
    3. Borsting EJ , Rouse MW , Mitchell GL , Scheiman M , Cotter SA , Cooper J (200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children aged 9 to 18 years , Optom Vis Sci, Vol.80 (12) ; pp.832-8
    4. Rouse MW , Borsting EJ , Mitchell GL , Scheiman M , Cotter SA , Cooper J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adults , Ophthalmic Physiol Opt, Vol.24 (5) ; pp.384-90
    5. Shin HS , Jang JK (2011) Test-retest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CISS , Korean J Vis Sci., Vol.13 (4) ; pp.295-303
    6. Ko EJ , Kim HJ (2015) Correlation between convergence insufficiency with CISS and attentiveness in children , J Korean Oph Opt Soc., Vol.20 (4) ; pp.511-8
    7. Choi JY (2015) A study on interior color planning in middle school. , Eulji University PhD Thesis, ; pp.1-81
    8. Birren F (1988) Light, color and environment, Schiffer Pub., ; pp.102-20
    9. Wilkins A (2002) Coloured overlays and their effects on reading speed: a review , Ophthalmic Physiol Opt, Vol.22 (5) ; pp.448-54
    10. Lee S (2010) Validity of the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adults. , Eulji University MS Thesis, ; pp.1-41
    11. Park SH , Jang YG (2007) The assessment using colored overlay for dyslexic learning disorder having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ficit , J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8 (4) ; pp.313-36
    12. Lee H , Rhee KO (2004) Prevalence of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s in a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6 (1) ; pp.77-85
    13. Marran LF , De Land PN , Nguyen AL (2006)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s the primary source of symptoms in children diagnosed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 Optom Vis Sci, Vol.83 (5) ; pp.281-9
    14. Marks DA , Ehrenberg BL (1993) Migraine-related seizures in adults with epilepsy, with EEG correlation , Neurology, Vol.43 (12) ; pp.2476-83
    15. Wilkins A , Neary C (1991) Some visual, optometric and perceptual effects of coloured glasses , Ophthalmic Physiol Opt, Vol.11 (2) ; pp.163-71
    16. Evans BJ , Drasdo N (1991) Tinted lenses and related therapies for learning disabilities—a review , Ophthalmic Physiol Opt, Vol.11 (3) ; pp.206-17
    17. Wilkins A , Sihra N , Smith IN (2005) How precise do precision tints have to be and how many are necessary? , Ophthalmic Physiol Opt, Vol.25 (3) ; pp.269-76
    18. Wilkins AJ , Baker A , Amin D , Smith S , Bradford J , Zaiwalla Z (1999) Treatment of photosensitive epilepsy using coloured glasses , Seizure, Vol.8 (8) ; pp.444-9
    19. Kruk R , Sumbler K , Willows D (2008) Visu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eares-Irlen syndrome , Ophthalmic Physiol Opt, Vol.28 (1) ; pp.35-46
    20. Oh BH , Lee JH (2008)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 J Korean Ophthalmol Soc, Vol.13 (1) ; pp.119-24
    21. Drew SA , Borsting E , Stark LR , Chase C (2012) Chromatic aberration, accommodation, and color preference in asthenopia , Optom Vis Sci, Vol.89 (7) ; pp.E1059-67
    22. Scheiman M , Wick B (2002)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pp.241-80
    23. Evans BJ , Wilkins AJ , Brown J , Busby A , Wingfield A , Jeanes R (1996)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aetiology of Meares-Irlen syndrome , Ophthalmic Physiol Opt, Vol.16 (4) ; pp.28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