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ecognition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Rights

보육교사 권리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석재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김정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3.06.15
  • Accepted : 2023.11.14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recognition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rights. Methods: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SPSS 20.0 and AMOS 20.0.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various analyses, including item quality assessment, item discrimin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employed for model fitting. Goodness of fit was assessed using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rough these analyses,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exceeded the standard. Consequently, 5 factors and 30 questions were ultimately selected as the recognition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rights. Results: First, a recognition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rights was developed to reflect changes in childcare settings. Second, an objective measurement was incorporated into the recognition scale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Third, the analysis using the proposed scale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developed a scale capable of objectively measuring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경, 문혁준 (2021).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609-626.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5.609
  2. 고희선 (2021).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인간관계가 조직건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575-591.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1.575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a).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집. 교육부, 보건복지부.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b).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5. 구은미, 정혜영 (2016).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교사권리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7.
  6. 구자연, 정유나 (2020). 「어린이집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058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7. 권수빈 (2019).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정, 임예슬 (2019). 경기도 보육교사 권리 보호 방안(정책보고서 2019-13).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https://www.gwff.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1&boardNo=538&page=13&searchCategory=&searchType=&searchWord=&menuLevel=3&menuNo=26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9. 김보현, 박미경, 최양미, 이홍재 (2020). 보육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권 침해 경험 및 대응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653-674.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5.65
  10. 김선희 (2021). 보육교사의 권리존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칼빈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연, 방소연, 유재두 (2012).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https://library.humanrights.go.kr/search/tot/result?st=KWRD&si=TOTAL&q=%EB%B3%B4%EC%9C%A1%EA%B5%90%EC%82%AC+%EC%9D%B8%EA%B6%8C&folder_id=null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1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13. 손정은 (2022).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5. 양미선, 이윤진, 김동훈, 조숙인, 김근진, 구자연 등 (2021. 12). 2021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어린이집 조사 보고 -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300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16. 유해미, 강은진, 권미경, 박진아, 김동훈, 김근진 등 (2018. 11).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어린이집 조사 보고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590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17. 윤재희, 이효정, 김성숙, 김영희, 정서연 (2015). 보육교직원의 인권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및 교재 개발. 국가인권위원회.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currentpage=2&menuid=001003001003&pagesize=10&searchcategory=%EA%B8%B0%ED%83%80%EB%B0%9C%EA%B0%84%EC%9E%90%EB%A3%8C&boardtypeid=17&boardid=7601612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18. 이강재, 이유미 (2020). 보육교사 권리존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1275-1298.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6.127
  19. 이서영, 양성은 (2018). 보육교사 권리에 대한 경험적 인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4), 39-50. http://dx.doi.org/10.21213/kjcec.2018.18.4.39
  20. 이성혜, 김연하 (2013).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21. 이영준 (2002).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22. 이현옥, 윤혜주 (2021).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와 보육현장의 요구 분석.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4(1), 5-29.
  23. 임승렬 (2007).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18.
  24. 장경화, 임선아 (2022).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51-70. https://doi:10.14698/jkcce.2022.18.01.05
  25. 정계숙, 최은아 (2019).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116, 91-122.
  26. 정선영, 조안나 (2019). 보육교사-학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87-11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87
  27. 정옥분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 학지사.
  28. 직장갑질119, 공공상생연대기금, 보육교사119 (2020. 12). 2020 보육교사 설문조사 보고서. https://solidarityfund.or.kr/reference/arch/?mod=document&uid=203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29. 진보네트워크센터 (2015. 2). 어린이집 보육실내 CCTV 의무화에 대한 의견. https://act.jinbo.net/wp/wp-content/uploads/2015/02/20150209CCTV에서 2022년 4월 19일 인출
  30. 최양미, 박미경, 이홍재 (2017).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실무 및 학계 전문가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7(2), 25-44. http://dx.doi.org/10.21213/kjcec.2017.17.2.25
  31. 최정화, 김정화 (2021). 아동권리를 존중하는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5(4), 511-530. http://doi.org/10.21459/kccr.2021.25.4.511
  32. 한국보육진흥원 (2020). 보육교직원 권리보호 및 지원방안 모색. https://www.kcpi.or.kr/upload/board/634581607045440963_%ED%95%9C%EA%B5%AD%EB%B3%B4%EC%9C%A1%EC%A7%84%ED%9D%A5%EC%9B%90%20-%20%EB%B3%B4%EC%9C%A1%EA%B5%90%EC%A7%81%EC%9B%90%20%EA%B6%8C%EB%A6%AC%EB%B3%B4%ED%98%B8%20%EB%B0%8F%20%EC%A7%80%EC%9B%90%EB%B0%A9%EC%95%88%20%EB%AA%A8%EC%83%89(%EC%9E%90%EB%A3%8C%EC%A7%91).pdf에서 2023년 11월 30일 인출
  33. 한국보육진흥원 (2022. 2). 2022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어린이집용). https://www.kcpi.or.kr/kcpi/cyberpr/childcarecentaccred1/detail.do?colContentsSeq=63858에서 2022년 10월 18일 인출
  34. 홍세희 (2015).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 이론과 적용. 에스엔엠리서치그룹.
  35. Diener, E., Emmons, R. A., Larsen, F.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36.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McGraw-Hill.
  37. Raykov, T. (2001). Estimation of congeneric scale reliability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ith nonlinear constraint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54(2), 315-325. https://doi.org/10.1348/000711001159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