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5(1); 2021 > Article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 에 관한 연구

초록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각급 교육기관이 온라인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J 대학교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개 단원의 온라인 강의, 온라인 중간 및 기말보고서, 그리고 온라인 수시 및 기말 테스트를 15주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온라인 피드백 28회 제공하여 강의를 운영하였다.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아이컨텍과 다양한 제스쳐 및 직접 언어적 상호작용을 활용할 수 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을 대신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학습자의 수동성을 보완하여 좀 더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교육이 재난과 재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는 것과 4차 사회의 각종 다양한 기술들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대학교육이 온라인 수업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의 준비와 진행을 위한 전문적 교수자의 컨텐츠 제작 관련 기술적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둘째, 대학교육의 전공 및 교양 교과영역에서 지식과 이해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저차원적 사고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가 될 수 있지만 교과 내용에서 적용과 분석, 종합 및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의 향상과 역량중심 교육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셋째, 대학 교양강좌가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융합되어 운영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대학강의가 운영된다는 것은 대학교수가 teaching의 역할과 tutoring의 역할까지 겸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동일 교과목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접근 중에서 교양강좌에 적합한 온라인 수업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started online classes in earnest. Therefore, this study also used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from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and examined some of their effects. Regarding the subject of J University [Human and Community], 12 units of online lectures, online interim reports and final reports, and online final tests were conducted by 145 college students for 15 week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se online classes, the lecture was operated by providing 28 online information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these classes, it is not possible to make various gestures and verbal interactions using body language and through making eye-contact. Thus, immediate feedback regarding tasks and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In online classes, online feedback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to induc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ersonality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hole personality(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sub-areas of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Of course, sin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online classes for specific subjects at J Universit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prepare for cases in which offlin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disasters and problems within the university itself, and to ensure that online classes are properly operated through the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of the fourth society within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ent and improve the technical abilities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online classes. Second, although in university education, low-dimensional thinking such 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y be impacted through online classes, bu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improving high-dimensional thinking methods such as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rd, since university liberal arts lectures are operated by combining offline and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acknowledging various forms of online education and their multiple forms. Lastly, the fact that university lectures are operated through online classes means that university professors must play both the role of teacher and the role of tutor.

Key Words

online class; online feedback; human and community; Corona 19

1. 서론

2020년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교육기관의 수업 단절 대응책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유네스코는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IT분야 기업과 공동으로 세계 각국의 원격 및 재택교육시스템 구축을 돕는 세계교육연합(Global Education Coalition)을 발족하여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원격수업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미국 대학들은 온라인을 통한 수업이 맞춤형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지난 10년 이상 온라인 강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으며, 코로나19 이전에도 이미 미국학부생의 30% 이상이 온라인 강의에 등록하고 있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은 대면해야 하는 모임을 지양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도 온라인 강의 자원 심사 시스템을 보완하고, 1대학 1대책, 1대학 다(多)대책 온라인 강의 방안 마련을 추진하도록 하면서 온라인 공개수업(MOOC)과 온라인 강의 자원을 활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베트남의 경우 온라인 접속이 원활하지 않아 TV를 통해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내 교실은 집’ 플랫폼을 운영하여 동영상 강의와 레벨 테스트, 진도계획과 자습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역시 원격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면서 저소득층 온라인 교육을 강화하여 원격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한 플랫폼에서 일원화해 제공하고 있으며 영국 또한 각종 교재를 제공하여 교사들에게 원격 강의 교육을 시작하였다.
코로나19와 같은 세계적 재난 극복을 위한 처방전으로 교육 영역에서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이 온라인 수업이다. 물론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과 혼란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코로나19 상황을 계기로 온라인 수업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한국은 IT 강국으로 스마트기기 보급률과 정보통신 능력이 세계에서 높은 수준에 해당하여 2020년 4월 초⋅중⋅고⋅대학 840만명(대학과 대학원생 약 300만명)학생이 온라인 개학을 하면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다. 초⋅중⋅고는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정책의 일환으로 ‘초⋅중등이러닝(온라인수업)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온라인 수업이 시작되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교와 교육과정 차이로 발생하는 전편입 학생의 교과 미이수 문제를 해결하면서 단위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희소 선택과목에 대한 학생의 교과선택권 보장 등의 목적으로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초⋅중⋅고 전체 학교 온라인 수업의 전환에 따르면서 ‘EBS 온라인 클래스’ 및 ‘e-학습터’ 등 교육기관의 교육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일부 교사들은 직접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대학교육도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의 출석을 통한 대면수업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코로나19의 사회환경적 변화와 4차 산업사회의 과학과 기술 개발의 가속화로 인해 오래전부터 사이버대학의 형태로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고 있었다. 지금까지는 전문학사 및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평생교육시설의 원격대학과 사회교육 기관에서 정보통신매체를 매개로 교육의 형태가 이루어지면서 대면강의(오프라인)의 보충과 보완재로서 실시되었다. 대학마다 일부의 교과목은 온라인으로 진행하면서 대학 자체 온라인학습시스템을 갖추어 이를 활용하여 강의 시청, 보고서 및 시험 등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이 온라인에서 구현되고는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수업은 교육의 보완재 역할을 넘어 핵심적 역할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실험과 실습 관련 교과목은 대면수업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면서 전면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였다. 2020년 대학의 온라인 수업은 실시간 화상강의, 강의 동영상 사전 녹화, 강의녹음과 교안, 기존 매체 활용하는 네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시간 화상강의는 교수와 학생이 시간을 정해 놓고 만나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수업을 하는 형태를 말하며, 강의 동영상 사전 녹화는 강의실 혹은 스튜디오에서 캠코더 장비를 이용해 영상자료 제작 후 제시하는 형태를 말한다. 강의녹음과 교안 방식은 교안에 교수자 음성을 덧붙여 파일을 생성한 후 게시하는 형태를 말하며, 기존 매체 활용은 유튜브 등 수업과 관련한 내용을 다룬 기존 동영상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이를 크게 다시 구분해 보면 일방향 온라인 수업으로 강의 콘텐츠를 녹화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과 쌍방향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직접 온라인 공간 안에서 진행되는 방식으로 설명해 볼 수 있다.
특히 일방향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수강하므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학습자간의 협력과 공동체적 삶을 경험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공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의 개발이나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며, 개별 학생의 수준에 맞춰 학습 성과에 대해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온라인 공간의 LMS를 활용한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고, 교수학습 상황 이외에서는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생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하지만, 강의동영상 사전녹화나 녹음과 교안을 활용하는 일방향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해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다.
대학에서의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온라인 수업의 형태 중에서 어떤 방식이 효과적인지를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다양한 온라인 수업방식을 비교하는 연구 이전에 각각의 온라인 수업방식 운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대학교육의 방법론에서 대면교육 이외의 또 하나의 대안 방법으로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학의 정규강좌를 온라인 공간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진행과 운영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강좌를 온라인 공간을 활용해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을 사용하여 교양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이해

2.1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의 이해

원격수업은 기본적으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을 의미하며, 1980년 캐나다에서 열린 국제통신교육협회(International Council for Correspondence Edu-Cation)에 대한 명칭이 국제원격 교육협회(International Council for Distance Education)로 변경되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들이 배우고 싶을 때, 원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교육으로(Brande, 1993),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학습자들이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매개로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Phipps, Wellman, Merisotis, 1998).
온라인 수업의 초창기 방법은 오프라인 환경에서 교수가 강의한 것을 촬영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가 강의를 수강하도록 하는 일방향 개인교수형 방법으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온라인 학습자 수의 증가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많아지면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온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를 위한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가 등장하였다. LMS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온라인 수업의 질 높은 콘텐츠 설계와 안정적인 기능의 구현, 학습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제도적인 학습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조은순, 유평준, 양윤선, 2004),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화상강의 시스템과 원격교육의 현장감을 높이기 위한 AR/VR 기술이 활용되어 다양한 강의 콘텐츠가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황현정, 2020).
온라인 교육은 비접촉적(non-contiguous)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실행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Holmberg, 1995) 반복수강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인지능력과 태도, 선행학습의 정도 등의 개인차에 맞추는 개별화와 학습의 융통성, 다양한 소프트웨어 등의 시각적 보조 역할 등이 활용(노영, 2005)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토론을 통해 교수자와 일부 학습자에 의해서만 수업이 주도되지 않으며 학습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고 즉각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Hiltz & Golgman, 2005) 오프라인 대면수업보다 더 평등하고 민주적일 수 있다(Swan & Shih, 2005). 그러나 물리적 거리감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접촉이 손실되고 오프라인 대면수업과 비교하여 커뮤니케이션 단서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Mama, 2001; Schoech & Helton, 2002).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수업을 받고 있다는 실재감이 부재된 상태라면 학습에 대한 불만족과 중도탈락 등 교육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결국 온라인 환경에서 물리적 거리로 야기되는 학습자의 심리적 거리를 줄이면서 교수자와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교육이 필요하다.
온라인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료 및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측면, 개별 학습자를 관리하고 지원해주는 지원서비스측면, 교육과정을 관리하는 행정적 측면, 자료를 개발하고 전달하며 학습자를 관리하는 인적자원의 측면, 교육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한 제반 연구에 대한 측면이 지원되어야 한다(김정화, 2010). 이러한 운영에 필요한 여러 지원요소 중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지원할 수 있고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튜터는 원격교육에서 학습자의 과제를 읽고, 피드백하며, 학습이나 학습을 방해하는 문제를 상담하고,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여 교수학습 전 과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Moore & Kearsley, 1996.
수업과정에서 수업시작단계, 수업진행, 수업마무리 및 과제물 등의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은 오프라인 교육장면에서 학습결과나 학업성취에 중요한 변인으로 설명되는 것처럼(So & Brush, 2008; 서길주, 2003; Picciano, 2002), 온라인 교육장면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은 학습결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오프라인 교육에서 교수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은 대부분 일괄적으로 설명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개인차를 고려하기 어렵고 학습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교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이현주, 최경희, 남정희, 2001). 그러나 온라인 교육에서는 온라인 공간의 LMS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겠지만 학습자의 결과물에 따른 개별적으로 서술형의 교정적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공간의 LMS를 활용한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 과정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고(Brookhart, 2017), 교수학습 상황 이외에서는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생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하지만, 강의동영상 사전녹화나 녹음과 교안을 활용하는 일방향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다. 오프라인의 교실수업에서 피드백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이 확인되었으나(감민영, 2017; 백재파, 2016; 이수나, 이상기, 2016; 노현종, 손원숙, 2015) 온라인 수업에서의 LSM를 활용한 온라인 피드백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온라인 교육장면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실제 몇 번의 메시지를 주고 받았는지에 초점을 두는 상호작용보다는 한번을 주고 받더라도 그 과정에서 느끼는 학습자의 접촉에 대한 느낌이 더 중요하다(Pawan, Paulus, Yalcin, & Chang, 2003).

2.2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

대학의 온라인 교육은 혁신적인 대학교육의 모델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미네르바 스쿨(Minerva School)의 100% 온라인 화상수업, 인공지능 조교를 통해 온라인 쪽지시험과 토론 주제를 제공하는 조지아공대(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동영상수업과 함께 학습수준을 측정하고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는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학생의 개인 성적 현황이나 이해 정도에 따라 보충자료를 제공하는 적응형 학습분석(adaptive learning) 시스템을 갖춘 애리조나주립대(Arizona State University)까지 다양한 모델로 이루어지고 있다(김진숙, 2017). 여기에 더 다양한 온라인 대학교육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AI 기능확장성, IMS 국제 학습 컨소시엄(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에서 제공하는 표준의 LTI(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를 연동한 수업도구(ZOOM)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 및 LMS는 부가적인 교육으로 인식되어 일부 수업에 한정적인 경우가 상당수였으며, 오프라인 수업에서 LMS 기능을 전자출결 기능과 과제 제출용으로 사용하는 등 오프라인 수업 지원 기능 정도로 활용되었다(남창우, 조다은, 2020).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같이 사용하면서 진행하는 Flip Learning도 일부 대학에서는 활용하였다. 플립러닝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과 교실 밖에서 수행했던 학습활동을 거꾸로 뒤집는(flipped) 학습형태이다(Bishop & Verleger, 2013; Ropchan & Stutt, 2013). 플립러닝은 교수자 중심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으로 수업 전에 학습자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강의 영상자료를 통해 스스로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강의실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의 해결과 심화 학습활동을 동료학습자와의 토론이나 교수자의 도움과 지원을 받아 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포스트 코로나 이후 대학의 온라인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의 수업 지원 기능을 넘어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 자체가 교육의 방법이 되었다. 2020년 전 세계 교육기관이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면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제 이해가 필요하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 온라인 교육은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AR/VR 등의 기술이 교육과 융합되어 온라인 교육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킬 것이며(Klaus Schuwab, 2016), 스마트폰의 영향력과 융합되면서 모바일 러닝이 활성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현재의 인공지능 및 ICT 신기술을 접목한 신기술이 오프라인 중심의 교육 환경에서 온라인 중심의 원격교육 교수학습방법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다. 2020학년도 1학기 코로나19로 인해 각 대학에서는 일부 실험과 실습과목을 제외하고 전공 및 교양강좌가 온라인으로 수업하였다. 대학의 온라인 수업은 실시간 화상강의, 강의 동영상 사전 녹화, 강의녹음과 교안 및 동영상 강의, K-MOOC나 POSTECHx를 통해 이미 사전 녹화된 동영상을 활용하면서 ZOOM, MEET, Webex 등을 이용한 실시간 화상 수업을 병행하는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다양한 접근의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더라도 온라인 수업을 위해서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시설과 설비의 인프라 구축, 교수자의 우수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및 교수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등이 중요하다.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만약 서버 폭주로 인한 접속 지연이나 서버 다운 현상이 발생하면 동일 시간대에 동시 접속으로 인한 문제와 온라인 영상 구동시 서버 용량 초과 등의 문제가 발생 할 수 밖에 없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대학의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 1,000명 이상의 학습자가 동시에 접속이 가능한 서버 구축과 화상 강의 솔루션의 접속 유저 확보는 중요하다. 강의 동영상 사전 녹화방식과 녹음과 교안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강의 영상 구동을 위한 플레이어, 서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시설 설비 등이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S 대학교는 약 4,000개의 강좌를 자체 온라인 수업 플랫폼 ‘아이캠퍼스(i-campus)’를 통해 온라인 강의 확대를 위한 서버 구축을 준비하여 시스템상의 문제 없이 많은 수의 강좌를 운영하였다. D 대학교 역시 2019년부터 ICBM 미래 교육 오픈 캠퍼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준비하여 안정적인 서버 관리 시스템과 다양한 학습 모델을 운영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환경이 만들어져 2020학년도 1학기 약 1,700개의 강좌가 무리 없이 운영되었다.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우수한 강의 콘텐츠도 중요하다. 교수자의 우수한 강의 콘텐츠는 강의내용에 대한 전문성 이상의 것으로 강의내용과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형식의 전문성을 의미한다. 오프라인 강의 우수성은 강의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온라인 강의 우수성은 강의내용과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틀(형식)의 전문성까지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가 학습자와 간접적으로 만나기 때문에 사이버 공간에서 학습자와의 친밀감이나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화상 시스템을 다룰 수 있는 기술 등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특히 강의 동영상을 사전에 녹화하거나 녹음과 교안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의 교감이나 진도 및 예제 등의 조절 및 선정 그리고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텐션(tension)이 중요하다. 강의가 매체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현장감 있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사전 녹화할 때 교수자의 큰 행동과 화려한 이미지를 준비해야 한다. 연극이나 뮤지컬의 배우들 모습을 무대 밖에서 볼 때 큰 동작이나 화려한 이미지는 일상적인 것으로 보이는 오버액팅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영상강의에 흥미를 지속적으로 느끼면서 강의에 집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학습지원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최근 대학의 수업이 강의식 수업에서 점차 토론이나 PBL방식 수업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지원과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인크루트, 2020) 온라인 수업의 단점으로 ‘수업중 문답이나 질의 처리가 어려움’과 ‘팀 프로젝트 불가’ 등이 나타났는데, 수업의 질문과 팀 프로젝트 등은 결국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의 한계점을 드러낸 것이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라포(rapport)는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온라인 수업에서도 중요하다. 대학 신입생들은 온라인으로 개강하여 전공 및 담당 교수를 만나지 못한 상태에서 라포형성을 위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일대일 전화 멘토링이나 라포형성을 위한 상담시간을 마련하여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3.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교양교과목 운영 절차

3.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참여자는 J 대학교 교양필수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온라인 수업으로 수강하고 있는 5개 분반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한 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1학년 교양필수과목으로 1학년 119명(88.1%), 2학년 13명(9.0%), 3학년 6명(4.1%), 및 4학년 7명(4.8%)이었다. 전공으로는 인문대학 8명(5.5%), 사회과학대학 15명(10.3%), 경영대학 27명(18.6%), 공과대학 22명(15.2%), 의과학대학 39명(26.9%), 문화융합대학28명(19.3%), 문화관광대학 6명(4.1%)이었다.

3.2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인간과 공동체] 교양강좌 운영

본 연구는 [인간과 공동체]의 교양강좌를 강의 동영상 사전 녹화방식과 녹음과 교안을 활용하여 J 대학교 사이버캠퍼스 LMS를 기반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사용하여 진행하고, 그 수업을 통하여 얻게 되는 인성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간과 공동체] 교양강좌는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만든 J 대학교 교양필수 3학점 교과목으로 주 2회(1.5시간×2회)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진행 과정은 <표 1>과 같다.
<표 1>
온라인 공간을 활용한 [인간과 공동체] 교양강좌 운영 절차
강의개요
- 과목 공지 : 인간과 공동체 온라인 강의운영에 대한 공지 및 담당교수 인사
- 중간 프로젝트 결과물 탑재 안내
- 기말고사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
- 기말고사 안내
주차 1차시(1.5시간) 2차시(1.5시간)
1주 ⋅인간과 공동체 오리엔테이션(23:10)1))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YouTube 동기부여 영상(4:41)
⋅인간과 공동체 특강I : 주체적인 삶(52:48)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2주 ⋅1단원 변화하는 사회와 인성(39:52)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시작이다] 카드뉴스(00:49)
⋅인간과 공동체 인성지수 활동(10:50)
⋅인성지수 사전 worksheet 활동 및 결과보고서 탑재 및 평가
3주 ⋅2단원 나에 대한 관심 I(47:30)
⋅YouTube 프로이드 무의식(8:10)
⋅[나는 누구인가] 카드뉴스(01:13)
⋅마샤의 정체감 상태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나에 대한 관심 II(35:49)
⋅나를 찾아서 worksheet & 결과보고서 탑재 및 평가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4주 ⋅3단원 나에 대한 존중(47:27)
⋅나는 누구인가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YouTube 아르고호의 모험(10:44)
⋅인간과 공동체 특강 II : 문화 콘텐츠와 인성(35:47)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나에 대한 존중] 카드뉴스(00:42)
5주 ⋅4단원 타자에 대한 관심(41:11)
⋅타자에 대한 관심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타자는 누구인가 인터뷰 영상 활동(05:43)
⋅타자는 누구인가 자가촬영 과제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타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24:31)
⋅YouTube 타인이 되는 시간(05:28)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6주 ⋅5단원 인간관계와 의사소통(42:56)
⋅성격유형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삶의 태도 test 가이드 영상(13:41)
⋅삶의 태도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7주 ⋅6단원 더불어 잘 살기I(45:46)
⋅버츄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YouTube 배려와 감동(03:05)
⋅더불어 잘 살기II(37:23)
⋅YouTube 어떤 사람을 사랑해야 할까요?(18:29)
⋅YouTube 인공지능과의 사랑(09:32)
⋅우정과 사랑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나의 사랑유형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8주 ⋅EBS [도덕성이 경쟁력이다] 영상 시청(48:03)
⋅도덕성이 경쟁력이다 수시고사 실시
⋅중간보고서 [나 분석 보고서] 제출 및 평가 피드백
9주 ⋅인간과 공동체 오리엔테이션 II(27:51) ⋅10단원 더불어 잘 살기의 오류 : 폭력I(34:44)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10주 ⋅더불어 잘 살기의 오류 : 폭력II(44:34)
⋅YouTube 데이트폭력(10:48)
⋅YouTube 평등하게 연애하기(10:46)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인간과 공동체 특강 III : 행복과 관계(42:55)
⋅행복과 관계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11주 ⋅7단원 시민사회와 정치(46:30)
⋅YouTube 대학생과 정치(02:34)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22:07)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인증샷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12주 ⋅세계 시민성 함양 프로젝트(31:05)
⋅개인 프로젝트 결과물 탑재 및 평가
⋅YouTube 14마리 늑대이야기(04:09)
⋅8단원 공동체의식과 실천(38:32)
⋅EBS culture 1~8회 영상시청(
⋅공동체자유주의 실천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13주 ⋅9단원 도덕적 가치(45:18)
⋅도덕적 가치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도덕적 민감성(41:23)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14주 ⋅12단원 미래사회와 핵심역량(43:42)
⋅post-it 활동과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제공
⋅[인간과 공동체] 단원별 핵심키워드 정리(57:02)
⋅인간과 공동체를 통한 나의 변화 확인 사후 worksheet & 결과물 탑재 및 평가
15주 ⋅기말보고서 탑재 및 피드백 제공
⋅온라인 기말고사 실시
[인간과 공동체] 교양강좌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J 대학교 교양필수 교과목이다. 인성은 폭넓게 교양적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속성이면서도 깊숙한 사고와 반성을 요구하는 심리적 속성이다. 대학생의 인성 함양을 위해 [인간과 공동체] 각 단원별 주제에 관한 영상강의를 듣고, 생각하고, 정리하는 과정이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Worksheet와 Post-i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Worksheet는 동영상 강의를 들으면서 생각하고 정리해야 하는 활동지로 활용했으며, Post-it은 해당 주차의 동영상 강의 내용과 활동 등을 중심으로 경험, 생각, 느낌 등을 정리하는 것으로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은 해당 주차의 Worksheet 결과물과 Post-it은 작성해서 LMS에 탑재하는 내용에 대하여 교수자는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하여 온라인 공간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루었다.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은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서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눈 마주침과 활동을 통해 경험될 수 있으나 온라인 수업에서는 피드백을 통해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경험을 최대한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학생들에게 28회 온라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표 2><표 3>의 샘플처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은 과제의 특성에 따라 개괄적이면서 일반적인 문구로 제시하는 것(예:살면서 저 개인적으로 중요하고 강조하는 것이 윤리와 도덕 및 정의입니다. 그런데 이 영역의 변화가 가장 많이 일어났다고 하니 뿌듯하네요. ㅎㅎㅎ 인간과 공동체 수업이 당신의 1학기 삶에 영향을 미친 결과가 나와서 다행입니다. 이번 학기 이론을 통해서 학습이 되었으면 앞으로부터는 실천과 실행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 잘 이루어지기를 바라겠습니다)과 Worksheet & Post-it 내용 중에서 구체적인 내용에 초점을 두고 제시하는 방식(예:그 하기 싫은 30%가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그 싫은 30%에 몰입하는 것이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잊지 말기를 바랍니다)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표 2>
동영상 강의 worksheet sample & 피드백
kjge-2021-15-1-259-gf1.jpg       교수자의 피드백
- 많은 이들이 나의 욕망이 아닌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면서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른이 되어 갈 때 그것을 잘 구분할 수 있어야 비로서 주체로 서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강의를 잘 듣고 정성스럽게 정리하느라 수고했습니다.
- 거울을 제대로 보는 방법을 알게 되었나 봅니다.
- 최고점 이상의 결과물입니다. 특히 상징계와 상 상계를 잘 이해했고, 해석을 잘했습니다
<표 3>
post-it & feedback
    LMS에 직접 글을 작성하는 방식
인간과의 관계를 맺는 것이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항상 무엇을 하든 돈이 많은 것이 가장 좋고 행복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지만 강의를 듣고 돈이 아닌 관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강의 내용에서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서는 많은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과 의사소통 결과에 따라 삶의 의미를 만들기도 하고 파괴하기도 한다는 것을 듣고 과거에 친구들에게 나쁜 말들을 많이 한 것이 떠올라서 그 친구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는 의사소통이 단순히 상대방과 대화를 하는 것으로만 생각 하고 있었지만 강의를 통해 의사소통은 의미를 공유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정확히 어떤 것이 의미를 공유하는 것인지 잘 몰라서 이 부분은 더 열심 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너를 갖춘 사람이 되어야한다는 것을 듣고 나 자신은 어떤 지 생각을 해봤더니 저는 누군가를 배려하고, 에티켓을 지키 고, 매너를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이 들어 기분이 좋았고, 앞으로도 계속 매너를 갖춘 사람으로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입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소통을 더 잘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강의를 통해 입이 아닌 귀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소통을 더 잘할 수 있는 태도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인습적 듣기, 기본적 듣기, 심층적 듣기가 무엇 인지 배우고 듣기 실습들을 하면서 지금까지 인습적 듣기를 많이 사용한 것 같아 반성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듣기 실습 을 하면서 상대방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상대방은 어떤 마음인지 이해하기 위해 귀 기울여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해 야겠다는 다짐을 하게된 것 같습니다.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평소 지인 또는 가족들에게 귀찮거나 다 알고있다고 생각을 하여 질문을 자주 안한 것을 고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에 게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LMS에 사진으로 찍어 탑재한 방식
kjge-2021-15-1-259-gf2.jpg
   포스트잇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
- 의미를 공유하면서 상대방 상처주지 않고 하고 싶은 말 다하는 경우가 가장 이상적 일 것입니다. 이상이지만 현실화될 수 있는 이상이니 그 이상을 실현시켜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지금까지 열심히 살아왔지만 전생애를 놓고 볼 때 25% 정도 살아왔습니다. 나머지 75%의 삶을 위해서 더 부끄럽지 않게 살아갈 수 있는 연습을 하면 되지 않을까요?
- 말을 이쁘게 해 주는 사람이라서 다행입니다. 앞으로도 말을 이쁘게 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태양의 방식으로 말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일까는 확인할 수 있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현재 방영되고 있는 슬기로운 의사생활이라는 드마라에서 주고 받는 말들이 태양의 방식입니다. 시간 될 때 의사소통에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드라마를 한 번 보기 바랍니다.

4.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교양교과목 운영의 평가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인간과 공동체]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성척도는 지은림, 이윤선 및 도승이(2014)의 교육과학기술부 인성지수개발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도덕성(20문항), 사회성(23문항) 및 정서성(감성, 17문항) 세 개의 하위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Cronbach’ α값은 전체 .958, 도덕성 .901, 사회성 .924, 그리고 정서성 .891로 나타났다. 도덕성은 다양한 윤리적 상황에서 중요한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능력과 책임있는 의사결정을 하는 능력으로 정직/정의, 책임, 및 윤리 등의 세부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성은 다양한 상황과 장소에서 타인의 생각과 감정 및 관점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소통하는 능력으로 배려/봉사와 공감으로 구성되었다. 정서성은 자신의 강약점, 흥미 및 능력 등을 파악하며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 실행하는 능력으로 긍정적 자기이해와 자기조절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 교육을 활용한 교양강좌 운영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성 척도를 사용하여 단일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인성 전체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t=-15.190, p<.001), 도덕성(t=-11.636, p<.001), 사회성(t=-11.410, p<.001) 및 정서성(t=-12.611, p<.001)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표 4>
단일 실험집단 인성 사전-사후 차이검증(인성) (N=145)
구분 M SD 상관계수 t p
인성 전체 사전 22.95 2.49 .822*** -15.190 .000
사후 24.80 2.39
도덕성 사전 10.26 1.14 .787*** -11.636 .000
사후 10.94 .96
사회성 사전 6.44 .77 .744*** -11.410 .000
사후 6.97 .78
정서성 사전 6.25 .78 .733*** -12.611 .000
사후 6.88 .84

*** p<.001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덕성의 하위 영역인 정직/정의(t=-11.615, p<.001), 책임(t=-8.234, p<.001), 및 윤리(t=-5.985, p<.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배려/봉사(t=-9.083, p<.001)와 공감(t=-9.223, p<.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서성의 하위 영역인 긍정적 자기이해(t=-10.211, p<.001)와 자기조절(t=-10.721, p<.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표 5>
단일 실험집단 인성 사전-사후 차이검증(도덕성) (N=145)
구분 M SD 상관계수 t p
도덕성 전체 사전 10.26 1.14 .787*** -11.636 .000
사후 10.94 .96
정직/정의 사전 3.22 .37 .720*** -11.615 .000
사후 3.50 .38
책임 사전 3.43 .46 .683*** -8.234 .000
사후 3.66 .37
윤리 사전 3.60 .45 .642*** -5.985 .000
사후 3.78 .34

*** p<.001

<표 6>
단일 실험집단 인성 사전-사후 차이검증(사회성) (N=145)
구분 M SD 상관계수 t p
사회성 전체 사전 6.44 .77 .744*** -11.410 .000
사후 6.97 .78
배려/봉사 사전 3.12 .42 .606*** -9.083 .000
사후 3.41 .46
공감 사전 3.31 .41 .734*** -9.223 .000
사후 3.55 .41

*** p<.001

<표 7>
단일 실험집단 인성 사전-사후 차이검증(정서성) (N=145)
구분 M SD 상관계수 t p
정서성 전체 사전 6.25 .78 .733*** -12.611 .000
사후 6.88 .84
긍정적 자기이해 사전 3.17 .44 .648*** -10.211 .000
사후 3.49 .45
자기조절 사전 3.08 .43 .695*** -10.721 .000
사후 3.39 .45

*** p<.001

5. 결론 및 제언

대학교육의 방법론에서 대면교육 이외의 또 하나의 대안 방법으로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학의 정규강좌를 J 대학교 사이버캠퍼스 LMS를 기반하여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 대학교 교양필수과목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온라인 수업으로 수강하고 있는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개 단원의 온라인 강의, 온라인 중간 및 기말보고서, 그리고 온라인 수시 및 기말 테스트를 15주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을 활용하여 강의를 운영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과 더불어서 매주 학습자의 Worksheet & Post-it의 작업과 그 결과물에 대하여 학생에게 교수자의 피드백(일반적 피드백과 구체적 피드백)이 28회 제공되었다. 온라인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도 잘해주시고 무엇보다 항상 답변을 남겨주시기 힘드셨을터인데 거의 모든 주차에서 답변을 남겨주시고 점수를 매겨주셔서 점수를 금방 알 수 있어서 좋았고 무엇보다도 인생에 필요한 지식을 배운 것 같아서 너무 좋았어요.”
“매주 과제에 피드백을 남겨 주셔서 힘이 됐었고 과제가 해당 학습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제여서 참 좋았다.”
“과제를 제출하면 항상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해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절대로 잊을 수 없는 강의이며 배운 내용을 항상 기억하며 살아가겠습니다.”
“제가 이번 학기에 들었던 수업 중 가장 열심히 들은 수업입니다. 수업을 들을 때마다 교수님께서 최선을 다하고 계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 안내나 피드백 등도 빠르게 해 주시고 특히 이번 코로나 19로 인해 기말고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할지 오프라인으로 진행할지를 투표로 진행하여 모든 학생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덕분에 안전하게 기말고사에 임하게 되었습니다. 한 학기 동안 조금이라도 인성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과제 제출 후 피드백 또는 댓글을 통해 좋은 말을 많이 해 주셔서 정성이 느껴지며 열심히 한 것에 대해 뿌듯함을 느낀다. 다른 수업에 비해 출결이나 공지 등이 빨라서 좋다.”
“과제가 많아서 좋았습니다. 다른 강의는 발전되는 느낌이 없었는데 이번 과제를 꾸준히 하고 포스트잇 작성도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많이 발견하고 고치게 되었습니다.”
“다른 강의에 비해 과제가 많은 편이지만 오히려 그 과제들을 하나하나 수행하면서 그 주 강의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복습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난 뒤 자기의 생각을 쓰는 포스트잇은 수업을 한 번 더 복습하게 된 것 같아 기억이 잘 되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수업에서 학습자가 성취 지향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으나(이광재, 이영주, 2017)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현실 속에서(Smith & Smith, 2014)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면 된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아이컨텍과 다양한 제스쳐 및 직접 언어적 상호작용을 활용할 수 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을 대신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학습자의 수동성을 보완하여 좀 더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성 함양을 위한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15주간 교양강좌로 운영한 결과를 교내 강의평가와 인성척도(도덕성, 사회성, 정서성)를 사용하여 단일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은 인성 함양을 위한 교양강좌로 오프라인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도덕성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 결과(백미화, 2009)와 iClass(플립러닝)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도덕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이난, 2020)와 일치하였다. 백미화(2009)는 인성 함양을 위한 도덕성은 도덕적 판단력보다는 도덕적 민감성을 강조하여,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도덕성 단원을 도덕적 판단력보다는 Rest(1986)의 사실 지각과 결과 지각의 2요인 모델을 활용하여 딜레마를 통한 도덕적 감수성 함양하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인성 온라인 교양강좌는 오프라인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사회성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결과(안관수, 백현기, 2011)와 iClass(플립러닝)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이난, 2020)와도 일치한다.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사회성 함양을 위한 봉사 영상 시청과 키워드 작성은 사회성 하위영역 배려와 봉사 의식을 갖게 하였다. Sutton(2001)은 학습자의 직접적인 참여와 상호작용 없이 온라인 수업에서 다른 사람의 상호작용을 대리적으로 관찰하여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으며, 좋은 행동의 대리적 관찰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Chi, Roy, & Hausmann, 2008; Craig, Gholson, Ventura, Graesser, & TRG, 2000; Driscoll, Craig, Gholson, Hu, & Graesser, 2003). 또한 타자에 대한 이해 및 관심과 관계와 의사소통 기술 그리고 더불어 잘 살기 위한 개인 및 사회가 갖추어야 할 제도로서 배려와 정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사회성을 강조하고 함양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사회성 함양의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직접 면대면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지만, 만약 사회적 여건과 재난으로 인해 어려운 경우 온라인 공간도 대책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성 함양을 위한 우수한 콘텐츠 개발과 발견이 유능한 교수자의 자질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온라인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과는 달리 콘텐츠의 내용과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접근 전략에 대해서 교수자는 충분한 내용적이며 기술적 자질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인성 온라인 교양강좌는 오프라인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긍정적 자기이해와 자기조절의 자존감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결과(김미숙, 2018)와 iClass(플립러닝)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이난, 2020)와도 일치한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및 사회학적 관점과 나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위한 다양한 영상자료 활용은 온라인 수업을 통해 정서성을 강조하고 함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인성 함양을 위한 방법론적 측면에서 온라인 방식도 오프라인 방식처럼 효과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다. 다만 온라인 수업 자체보다는 온라인 수업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수자의 관심이 수반되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대학교육이 코로나 이후 혹은 재난과 재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다는 관점과 4차 사회의 각종 다양한 기술들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온라인 수업은 고기능화되는 경우 온라인 수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대학교육에서의 온라인 수업이 제 기능을 발휘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변화를 만들어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를 중심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의 준비와 진행을 위한 전문적 교수자의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코로나19로 시작한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으로 서버 과부하 및 접속 불안정의 기술적 문제는 향후 개선되고 해결될 수 있다. 온라인 수업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온라인 강의 질]이다. 2000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EBS 온라인 e-class와 e-school 등의 영상교육을 받으면서 공부하여 온라인 수업의 내용을 잘 전달하기 위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경험하고 대학에 들어온 경우가 많다. 결국 강의 내용과 더불어 강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 효과를 갖추는 것이 강의 질이 될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자 개인이 콘텐츠 제작 관련 기술적 측면의 질이 갖추어야 한다. 이를 교수자 개인이 갖추지 못하게 될 경우는 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인력과 자원이 제공되어 온라인 강의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교육의 전공 및 교양 교과영역에서 지식과 이해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저차원적 사고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가 될 수 있지만 교과 내용에서 적용과 분석, 종합 및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의 향상과 역량중심 교육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이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겠지만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각 대학의 핵심역량으로 강조되는 자기 관리 역량, 창의적 역량, 심리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적 역량 등의 구현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대학 교양교육으로 실시되는 예체능교과목과 실험과 실습이 동반되는 교과는 온라인 수업의 특성상 근본적 한계가 존재한다.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습득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온라인 수업을 활용할 수 있겠지만 그 외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는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생각 이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코로나시대 온라인 수업은 충분한 고민과 생각 없이 상황에 맞춰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코로나 이후 온라인 수업은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철저한 준비와 시스템에 기반해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 교양강좌가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융합되어 운영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0년 1학기 온라인 수업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기준에 입각해서 50분 오프라인 수업시수를 25분 온라인 수업으로 동일하게 인정하여 운영되었다. 대학교육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아닌 교육부 산하에 운영되어야 하므로 교육부의 온라인 수업이나 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준이 정책적으로 결정되어 그 기준에 의해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인정할 수 있는 기준도 셋팅되어야 할 것이다. 임시방편적으로 혹은 일시적으로 운영되는 기준이 아닌 정규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준이 결정되어 있어야 수업시수 인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출석, 학습자의 수업 결과물에 대한 평가, 중간 및 기말평가 등 평가에 있어서도 현재 많은 대학들이 상대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온라인 수업은 수행 및 절대평가의 방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온라인 수업으로 대학강의가 운영된다는 것은 대학교수가 teaching의 역할과 tutoring의 역할까지 겸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오프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teaching이 주도적 역할이었다고 한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teaching과 tutoring의 역할을 겸비하여 학습자 개인에게 관심을 더 많이 가지고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게 되는 경우 교수자의 다양한 역할에 따른 업무와 시간 소요가 많아지므로 수업시수에 대한 부담감과 콘텐츠 질 향상을 위한 기술적 지원과 자원 등이 행정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동일 교과목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접근 중에서 교양강좌에 적합한 온라인 수업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es

1) 영상강의시간을 의미함.

참고문헌

감민영(2017). “피드백 유형과 과제 지속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수용성의 조절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3-163.

김나연(2011).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미숙(2018). “가면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25(5), 한국청소년학회, 25-47.

김정주(2009). “원격고등교육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화(2010). “이러닝 환경에서 e-튜터의 학습지원이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남창우, 조다은(2020). “대학교육 지원을 위한 오픈소스 LMS 기능지표 개발”, 평생학습사회 16(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137-164.

노영(2005). “원격교육의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비지니스연구 6(2), 국네e-비즈니스학회, 111-132.

노현종, 손원숙(2015).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28(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79-902.

백미화(2009).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도덕적 판단력과 도덕민감성을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재파(2016). “한국어 쓰기교육에서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우리말연구 44, 우리말학회, 253-283.

서길주(2003). “피드백 유형이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안관수, 백현기(2011).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5(2),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9-55.

윤지숙(2020). “이러닝 환경에서 대리적 상호작용 교수전략이 초등학생의 회상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광재, 이영주(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나타난 온라인 협력학습에서의 학 습자간 상호작용분석 방법 동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57-81.

이난(2020). “iClass에 기반한 인성 교양강좌 콘텐츠 구성과 효과”,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육양교육학회, 205-220.

이수나, 이상기(2016). “교사의 간접 피드백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15(3),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5-223.

이현주, 최경희, 남정희(2001).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한국교육과학학회, 479-490.

조은순, 유평준, 양윤선(2004). “기업 e-Learning에서 튜터의 학습동기유발 차별화 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20(4), 한국교육공학회, 215-239.

지은림, 이윤선, 도승이(2014). “인성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윤리교육연구 35, 한국윤리교육학회, 151-174.

황현정(2020). “사이버 대학 원격교육 시스템 환경개선을 위한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ishop, J. L, Verleger, M. A. (2013 The flipped classroom:A survey of the research, Paper presented at 2013 ASEE Annual Conference &Exposition, Atlanta, Georgia, Retrieved from htpps://peer.asee.org/22585

Brande, L. V(1993). “R &D on learning felematics in the European Communit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9(2), 75-85.
crossref
Brookhart, S. M(2017). How to give effective feedback to your students, 2nd ed. Alexandria, VA: ASCD.

Chi, M. T. H, Roy, M, Hausmann, R. G. M(2008). “Observing Tutorial Dialogues Collaboratively:Insights About Human Tutoring Effectiveness From Vicarious Learning”, Cognitive Science 32:301-341.
crossref pmid
Craig, S. D, Gholson, B, Ventura, M, Graesser, A. C&The Tutoring Research Group. (2000). “Overhearing dialogues and monologues in virtual tutoring sessions:Effects on quesioning and vicarious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 ntelligence in Education 11:242-253.

Driscoll, D. M, Craig, S. D, Gholson, B, Ventura, M, Hu, X, Graesser, A. C(2003). “Vicarious learning:Effects of overhearing dialogue and monologue - like discourse in a vitual tutoring sess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24:565-591.

Hiltz, S. R, Goldman, R(2005). What are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Learning Together Online:Research o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Mahawah:NJ: Lawrence Erlbaum.

Holmberg, B(1995).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Eds.), London: Routledge.

Mama, R. S. (2001 The classroom or the internet?Student experiences and research results of a supervision in social work class, Unpublished paper, Retrieved May, 8, 2009. from http://www.cosw.sc.edu/conf/tech/2001/abstracts/PDFs/Mama.pdf

Moore, K. A, Kearsley, G(1996). Distance education:A systems view, Bost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Pawan, F, Paulus, T. M, Yalcin, S, Change, C(2003). “Online learning:Patterns of engagement and interaction among in-service teachers”, Language Learning and Technology 7(3), 119-140.

Phipps, R. A, Wellman, J. V, Merisotis, J. P. (1998 Assuring quality in distance education:A preliminary review, Council of Higher Education Association, Retrieved March, 2002. from http//www.chea.org/Events/QualityAssurance/98May.html

Picciano, A. G(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39.

Ropchan, K, Stutt, B. (2013 Flipped classroom, ETEC 510, Retrieve from http://etec.ctlt.ubc.ca/510wiki/Flipped_Classroom

Schoech, D, Helton, D(2002).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 course taught via classroom and internet chatroom”, Qualitative Social Work 1(1), 111-124.
crossref
Smith, D, Smith, K(2014). “Case for 'Passive'Learning-the 'Silent'Community of online learners”, European Journal of Open, Distance and E-Learning 17(2), 86-99.
crossref
So, H. J, Brush, T. A(2008). “Student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critical factors”, Computers &Education 51(1), 318-336.
crossref
Sutton, L. A(2001). “The principle of vicarious interaction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7(3), 223-242.

Swan, K, Shih, L. F(2005). “On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9(3), 115-136.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