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된장과 간장을 포함하는 한국 전통장류의 발효와 숙성에는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Bacillus 균주가 발효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서경리에서 제조한 전통 간장과 된장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나,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16s rRNA 영역의 유사성으로 인해 정확한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통한 확인을 대신하여 고체 배지에서 자라는 콜로니의 형태학적 성상을 통하여 두 균주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콜로니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BHI, BL, PC, TS의 4가지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육안 및 현미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BHI, PC, TS 배지에서는 두 균주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BL 배지에서는 두 균주 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BL 배지의 높은 포도당 함량과 트립톤, 망간 이온의 존재로 인한 B. pumilus 균주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BL 고체 배지를 통하여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신속한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이 균주들의 분류에 있어 16s rRNA 영역의 단방향 PCR과 BL 고체 배지에서의 형태학적 성상 구분을 통하여 간편하고 저렴하게 두 균주의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유전자 서열만으로는 구분이 단순하지 않았던 두 균주의 신속한 동정법을 제시함으로써 여러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Bacillus pumilus and B. zhangzhouensis are two major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However, identification of these species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ir similarity in the 16s rRNA region. Instead of relying on 16s rRNA sequencing,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se two strains based on the morphology of colonies grown on solid media. Four types of media (BHI, BL, PC, and TS) were used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onies.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easy to differentiate B. pumilus and B. zhangzhouensis in BL medium. Therefore, a simple and cost-effective way to analyze these strains was proposed using one-way PCR sequencing of the 16s rRNA region and evaluation of their growth patterns on BL solid medium. In this method, one-way PCR sequencing was useful for distinguishing B. pumilus and B. zhangzhouensis from other Bacillus strains, and the growth pattern in BL medium distinguished B. pumilus from B. zhangzhouensi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