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스마트폰 과의존,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Google Forms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였으며, 서울 및 경기도의 수도권을 포함하며 총 12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190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중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소극적 대처방식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고 소극적 대처방식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대학생에 대한 상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consequ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of a total of 190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tive coping style 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consequ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ssive coping style 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consequ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ctive coping style 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consequ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ssive coping style 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consequ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overly dependent on smartphon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