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우울, 불확실성, 자가간호역량 및 건강정보이해 능력을 파악하고 자가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의 S시와 G시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 치료 중인 환자 123명으로 자료수집은 2021년 1월 10일부터 2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으로,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은 우울(r=-.21, p =.019), 불확실성(r=-.30, p =.001)과 부적 상관관계, 자가간호역량(r=.58, p <.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자가간호역량 중 인지적 측면(β=.38, p =.016)이었으며, 결혼상태 중 배우자 있음(β=.18, p =.040)이 두 번째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F=8.75, p <.001), 48.8%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배우자를 참여시키며, 인지적 측면의 자가간호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대상자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depression, uncertainty, self-care agency, and health literacy as factors that affect self-management adherence in hemodialysis patients. From 10 January to 15 February 2021,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23 patients in two artificial kidney rooms in S city and G city of the J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by apply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Self-management adher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21, p =.019) and uncertainty (r=-.30, p =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are agency (r=.58, p <.001).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self-management adherence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marital status (β=.18, p =.040) and cognitive aspect of self-care agency (β=.38, p =.016),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about 48.8% (F=8.75, p <.001). In order to increase the self-management capacity of hemodialysis patients, our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a target education program that involves the spouses in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enhances the cognitive aspect of self-nursing competency.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