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nvolution Neural Network 가속기는 AI시대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되었다. CNN 가속기의 내부 구성을 몇 가지로 나눈다면 연산을 위한 Multiplier-Accumulator (MAC unit), 데이터 저장을 위한 SRAM, 데이터 이동을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그리고 제어 로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CNN 가속기들의 경우, 각기 다른 공정과 동작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안되었으며, 또한 아키텍처 형태에 따라 내부 MAC unit의 수와 SRAM의 크기가 매우 큰 차이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각 가속기들의 기본 사양으로 면적, 에너지, 성능을 비교하였을 때는 공정이나 동작 주파수 등 여러 조건들에 의해서 아키텍처에 따른 정량적인 비교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CNN 가속기에서 여러 조건들을 동일하게 재구성하였을 때, ResNet-50 추론 동작 시에 요구되는 면적, 에너지, 성능을 비교하여 아키텍처의 특징과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accelerator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AI era. The primary components of a CNN accelerator include the Multiplier-Accumulator (MAC unit) for calculation, SRAM for data storage, memory interface for data movement, and control logic. Different CNN accelerators have been designed based on different assumptions regarding the process technologies and operating frequencies. In addition, the number of internal MAC units and the size of SRAM vary substantially between different types of architectures. These factors make it difficult to design a fair comparison of the area, energy, and performance of different CNN accelerator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ompare the area, energy, and performance of different CNN accelerator architectures by constructing them all with the same fabrication process and operating frequency while making inferences using the ResNet-50 network.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

참고문헌 (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569-001489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