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valuation of Harbor VTS Operators' Workload by the Analysis of Marine Traffic

교통량 분석을 통한 항만 VTS 관제사의 업무량 평가

  • 박성용 (한국해양대학교) ;
  • 박진수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시스템공학부) ;
  • 강정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By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in last decades, Korean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grown rapidly and Korean Port and Port facilities have been improved stimultaneously: finally volume of the marine traffic increased rapidly. Presently, 15 VTS centers have serving in Korean waters an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VIS Center in Korea there is no quantitative analysis to find workload of VIS operator. After that Port-MIS and De-brief data have been gathered for 7 days and inbound-outbound vessels time-g/t table prepared and traffic volume examined for each V1S center. Hence $L^2$ conversion traffic volume and dangerous vessel ratio obtained Later on conversion controlled number obtained by denoting ratio 1.0 to directly controlled vessels by VTSO and denoting ratio 0.3 to indirectly controlled vessels by VTSO. Traffic volume, large vessel ratio, dangerous vessel ratio, dimension of VTS controlled area, marine accident occurrence frequency and communication volume of comm. log can be counted as a factor which influence to workload of VTSO. All those factors have been examined and analyzed. Finally, ship's size and dangerous vessel ratio have been chosen to derive the Number of composite conversion control for workload formula.

전세계적으로 물동량이 증가하고 동시에 지난 10여년간 VTS는 급격한 성장을 하여 왔다. 그러나 VTS가 생겨난 이후 15년간 VTS 관제사의 업무량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흡하였다. VTS 관제사의 업무량을 측정하기 위해 우선, Port-MIS 자료와 De-briefing자료를 이용하여 7일간 입출항 척수를 시간-톤수별로 구별하여 조사한다. 그러나, 한 척의 선박이 입항하더라도 관제사가 느끼는 부담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선종, 크기, $L^2$ 환산치등을 조사한다. 여기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해진 관제 비관제 척수를 1과 0.3의 가중치를 주어 환산관제척수를 구한다. VTS 업무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관제구역 크기, 사고발생 빈도, 거대선, 위험선을 조사 분석하여 관계식을 정립하고, 이 연구의 결론인 복합환산 관제척수(실제로 관제사에게 부담이 되는 업무량 교통량)를 산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진수, 박영수, 이형기(2005), "(최신)해상교통공학", 다솜출판사, pp. 205-209.
  2. 울산지방해양수산청(2005), "VTS와 블루오션", 해양문화사, pp. 7-8.
  3. 정재용, 박영수, 박진수(2006) "제한수역에서의 항행선박항과거리에 관한 연구(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pp.5-7.
  4. 해양수산부(2007), "해상교통 관제체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반연구 용역", pp. 6-1-6-25.
  5.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2006), 선박 입항 척수, http://www.sp-idc.go.kr.
  6. 해양안전심판원, 연도별 해양사고 통계, http://www.kmst.go.kr.
  7. IALA, "VTS Manual(2008, Draft)", pp. 13-130.
  8. 井上欣三, 原潔(1973), "海上交通量の觀測日數と 精度", 日本航海學論文集, 第50號, pp.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