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2차연도 조사에 참여한 5,527명 중 결측치를 제외한 922명이다. STATA 15.1, SPSS 22.0, PROCESS Macro 3.5.3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애인의 SNS 활동이 매개변인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매개변인 우울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에서 매개변인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장애인의 SNS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에 대한 양적·질적 수준 강화, SNS를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일자리 창출형 돌봄사업 추진,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the multi-media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5,527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lif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922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missing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ediating self-esteem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mediating depression. Since the parameters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s such as strengthe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SNS use,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SNS, promotion of job creation-type care projects, and customized strategies considering health conditions were suggested.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설계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