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433.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The Study of Industry Field Awareness About Core Competencies

  • 345

본 연구는 기업인사담당자와 근로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핵심역량간의 차이를 업종, 규모, 시장전략 등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핵심역량에 대한 기업의 인식을 분석해보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K-CESA 6대 핵심역량을 업종, 규모를 고려하여 기업인사담당자와 근로자 각 3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기업과 근로자 배경변인, 6대 핵심역량의 중요도로 구성하였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사담당자와 근로자의 핵심역량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직장 규모에 상관없이 인사담당자가 근로자보다 핵심역량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단, 근로자의 경우 직장 규모에 따라 핵심역량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데, 직장 규모가 클수록 핵심역량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다. 인사담당자는 직장 규모에 상관없이 대인관계역량을 가장 주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고, 근로자는 의사소통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글로벌역량은 기업인사담당자와 근로자 모두 우선순위를 낮게 인식하고 있다. 인사담당자는업종별로 순위에 차이는 있으나 대인관계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자기관리역량을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하고 있다. 위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에서 K-CESA 진단 시, 개별 역량보다 주요 역량군으로 접근하여 진단영역을 제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즉 학생이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업종과 규모를 고려하여, 해당 업종과 규모의 인사담당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군을 진단영역으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맞춤식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Analyzed the key competencies for HR managers and employees. First, even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workplace, HR managers perceived that core competencies are more important than workers. Seco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orkplace, HR personnel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s the most important, while workers thought that communication capacity was the most important. Third, both HR managers and workers thought that global competence was less important. Fourth,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differed by industry. Fifth, in the future, K-CESA should consider supporting core competency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although the ratio of recognizing changes in the compan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low, it offers diverse competencies in the capacity needed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