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물리적 리스크 증가가 국내 은행 기업대출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테스트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과거 국내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의 주 원인이 태풍, 호우로 인한 강수 피해인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고에서 물리적 리스크는 강수 피해로 정의하였다. 강수 피해로 인한 지역별 리스크 수준, 업종별 취약도 및 재해의 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리적 리스크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국내 은행 기업대출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예상손실 규모는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따라 2.6조원에서 51.8조 원까지 발생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은행의 총자본비율이 0.13%p, 2.68%p 감소 가능한 수준을 의미한다. 지역별로는 경남, 전남, 대구가, 업종별로는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제품 제조업, 부동산업,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이 대한민국의 물리적 리스크 증가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리적 리스크가 국내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최초로 시도한 연구로서 학술적 기여 뿐 아니라, 향후 국내 금융권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마련을 위해 활용가능성이 크다.

This study measured the impact of an increase in physical risk in Korea on corporate loans from domestic banks using the stress testing method. Physical risk was defined as precipitation damage as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in cause of loss due to natural disasters in Korea in the past was precipitation damage caused by typhoons and heavy rains. Regional risk levels, sectoral vulnerability and hazard intensity due to precipitation damage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so that the impact factor was measured. Then, under stress scenario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hysical risk, the estimated loss is assessed. As a result, estimated loss can occur from 2.9 trillion won to 52.9 trillion won depending on the stress scenario, which means that the total capital ratio of domestic banks can be reduced by 0.6%p and 1.65%p. Gyeongnam, Jeonnam, and Daegu by region, and machinery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other product manufacturing,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sectors are relatively more vulnerable to the increase of physical risk in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attempt the impact of physical risks on the domestic financial sector and is valuable as a practical study that can be referenced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in preparing banking sectors’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대한민국의 물리적 리스크 연구
Ⅲ. 연구모형
Ⅳ. 자료 수집 및 기초 자료 분석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