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9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학교, 가족 제도의 근대화와 더불어 부상한 아동(기)은 ‘읽기’ 중심의 정보 전달 사회에서 성인과 구분되는 대상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텔레비전, 인터넷 등 전자매체의 등장은 연령별로 구분되어 있던 지식 유통 및 소비 체계를 붕괴시키며 아동/성인(기)의 경계를 붕괴시켜 왔다. 특히 유년기의 섹슈얼리티가 미디어를 매개하여 적극적으로 탐색되고 관련 일탈 행위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가 그 해결책으로 부상해 왔다. 이러한 지점에 주목하면서 이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분석을 통해 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0년대 비디오 문화 영향과 인터넷 대중화 배경에서 청소년의 성적 일탈이 시각문화의 자극에 기인한다고 보고 영상문화의 비판적 해독이라는 측면에서 등장한 미디어 리터러시 논의는 2000년대 인터넷 대중화 이후 기술 활용 및 정보감별 능력, 공동체 윤리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2010년대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 환경은 ‘프로슈머’로서의 역량을 부각시켰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아동기’부터 필요하다는 논의로 이어졌다. 2017년부터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이른바 ‘가짜뉴스’가 문제시되면서 언론 담론이 급증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조되고 정책적 개입이 시도되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미디어 매개 성적 일탈 사건들이 보도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성인지 감수성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강조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인터넷 도입 초기 아동, 청소년을 미디어 이용의 취약층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부터 이들이 기술활용능력을 토대로 각종 성적 일탈의 생비자(프로슈머)로 부상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을 뉴미디어 등장과 더불어 부상하는 규범적 담론의 차원으로 바라보면서 이것이 매체 환경 변화와 아동, 청소년(기)를 바라보는 도구적 인식, 미디어 환경의 상업화, 유년기의 연장과 레저 커리어 및 섹슈얼리티 추구 수단으로서의 미디어 등과 연관되는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논의를 역사화, 맥락화하고자 했다.

The rise of “children” as a modern concept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ng children and adults in a society where edu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are centered on “read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However, the emergence of electronic media has bridged the gap in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Also, as part of the ‘self project’ aimed at self-achievement through nuclear familiarization and education, the use of media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s not only instrumental to achieving productive purposes but also a means of exploring ‘leisure career’ and sexuality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ical process of media literacy discussions in Korean media dis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Big Kinds’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Media literacy emerged as a critical concept in deciphering visual culture, seeing that adolescents’ sexual deviance was caused by the stimulation of visual culture amidst the influence of video culture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in the 1990s. The upsurge of the Internet in the 2000s expanded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information choosing ability, and community ethics.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and social media environments in the 2010s enhanced the competence of “prosumers,” empowering them to create materials, not only pertaining to information consumption, but also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Since 2017, the political world has actively responded to the prevalence of “fake news,” and as one solution, media literacy has become an important discourse in determining an individual’s ability to choose information. In addition,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 gender sensitivity has been proposed to cope with adolescents’ media-mediated sexual devi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textualize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by examining how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applied in relation to media-mediated sexual devia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목차

1. 들어가며
2. 유년기의 발견
3. 미디어 환경 변화와 특수한 수용자로서 ‘아동·청소년’
4. 한국의 인터넷과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
5.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