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높은 데 반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 수준은 미흡하다는 평가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식과 행동 간의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기존 위험 인식과 해석수준이론을 참조하였고,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지형을 도출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지형을 비교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공중의 행동 의도 및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위험 인식, 대응 행동의 개인적 역량 평가, 정책 이해의 과정 등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일반인과 전문가의 공통적인 부분도 관찰되었는데, 그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반인과 전문가를 막론하고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체감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과 정책지지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에너지 정책의 관계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리고, 심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 밖에도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커뮤니케이션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단서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that although the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 at its highest in the Korean society, its responsive practices or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stimated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is inconsistency between perceptions and behavior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pplied risk perception and construal level theory as the frameworks to investigate paradoxical incompatibility about climate change. Specifically, we explored socio-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Koreans’ decision-making processes associated with major energy issues through developing the perceptual maps of laypeople and experts. As a result, several noticeable differences have been captured in following areas: knowledge about the concept and cause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s, roles of individual people for adapt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upporting the policy. Meanwhile, laypeople and experts have also a consensus o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climate change. In the conclusion, we try to enric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climate-respons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support for low-carbon energy policy from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provide various socio-cultur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s.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인식지형도 비교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70-000664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