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단계별 지원정책에 대한 델파이 및 계층분석과정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지원정책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콘텐츠산업 관련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했다. 델파이(Delphi)기법을 활용하여 현 상태를 진단하고 정책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계층분석과정(AHP)을 통해 콘텐츠 가치사슬에 따른 단계별 지원(기획/인큐베이팅, 제작, 유통 지원)(1단계) 및 세부정책(2단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를 통해 정책방안의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전문가는 현 지원사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렸으며, 현황 평가와 정책 강화방향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정책수단으로서 간접지원으로 구분되는 기획 및 제작인력 양성, 인큐베이팅, 해외유통, 공정거래, 조세감면, 금융지원 항목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사업에 대한 이슈별 평가나 신규 지원요청사항도 주로 제도개선과 같은 간접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계층분석결과, 1단계 우선순위는 기획/인큐베이팅, 제작, 유통 지원 순이었다. 2단계에서 기획/인큐베이팅 지원요인은 작가지원과 기획인력 양성이, 제작 지원요인은 제작 지원이, 그리고 유통 지원요인은 국내유통과 해외유통이 각각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복합가중치에 따라 기획/인큐베이팅 지원의 4개 하위평가요인이 1∼4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의 균형을 맞추되 점차 간접지원으로 초점을 옮기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possible improvements of supporting policy for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Korea. For this, we utilized Delphi method and AHP analysis and our finding are as follows. Experienced workers in the content industry and experts evaluated current support projects as poor. The mean difference between assessment of present projects and necessity to improve the policy i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is relatively large in indirect support category such a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cubating, international distribution, fair trade, tax credit, and financial benefit. The evaluation of current issues and requests for new support plan mainly focused on indirect support like institu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 AHP analysis, at the first step ‘pre-production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production support’, and ‘post-production support’. It has been confirmed that, synthesizing by multiplying them by the priority of their parent nodes(1st-level) and adding for all such nodes(2nd-level), all sub-factors in ‘pre-production support’ were ranked top 4. These results show that support policy needs to be shifted in a way that focuses on indirect support, simultaneously with balancing between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utting pre-production as priority.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