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92.241
18.191.192.241
close menu
KCI 등재
수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심리기술훈련의 적용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raining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Water polo Players
최강진 ( Choi Kang-jin )
DOI 10.46394/ISS.37.2.22
UCI I410-ECN-0102-2021-000-000454906

본 연구는 수구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수용을 통한 마음챙김 기반의 심리훈련을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 탐색과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이후 집단을 나누어 실험집단에 한하여 8회기의 마음챙김 기법을 통한 심리훈련을 진행하였다. 선수들은 회기 외에도 매일 Take home massage를 만들어 수식관과 심상 훈련 그리고 수행일지를 작성하였다. 모든 회기의 시작 전에 선수들과 집단 상담을 통하여 프로그램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심리훈련 후반(6획~10회기)에는 감정에 머물기 훈련을 진행하였다.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마음챙김 척도와 자기관리 척도를 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마음챙김 척도의 3가지 요인인 재집중, 비판단, 자각의 모든 요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심리훈련 프로그램이 선수들의 마음챙김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알려준다. 둘째, 수구 선수들의 경기력관련 심리요인으로 측정한 자기관리의 6가지 요인 중 훈련 관리와 대인관리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났으며, 고유행동 관리를 제외한 정신적 관리, 생활관리, 몸 관리 요인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mental training based on acceptan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ater polo players. First of all, the program was produced by referring to literature exploration and mind-picking programs. Subsequently, the group was divided and psychological training was conducted through 8th session of heart-picking techniques. In addition to the session, the players created a daily Take home massage to write up their modifiers, mental training, and performance logs. Before the start of every session, I checked my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through a group discussion with the players. In the latter part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six planning to 10 sessions), the training was conducted to stay emotiona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mind-bending scale and the self-management scale. First of all, in all three factors of the mind-punching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has brought about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al training program for mind-punching effectively played a role in improving the mindset of players. Second, among the six factors of self-management measured by the performance-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of water polo player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mental care, living management, and physical management factors other than the inherent behavioral manage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this programm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