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인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 모두를 고려한 다층모형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의 객관적 농도와 주관적 인식이 인천 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인천광역시에서 조사한 ‘인천사회지표조사’ 자료 및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에서 측정한 주요 대기오염물질 6가지(PM10, PM2.5, NO₂, SO₂, CO, O₃)의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수준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수준 변수는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는 대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높을수록, 지역사회 소속감이 높을수록, 이웃간 소통이 잘 될수록 행복감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수준 변수와 지역수준 변수를 모두 고려한 모형3에서는 대기오염 물질의 객관적 농도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PM10) 농도가 높을수록 행복감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역수준 변수에서는 생활환경만족도(대기환경)가 높을수록(β=.5370, p<.001), 지역사회 소속감이 높을수록(β=.5858, p<.001), 이웃간 소통이 잘 될수록(β=.3558, p<.001) 행복감이 높은 경향을 보여, 지역수준 변수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 행복에 있어 지역사회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인천광역시 시민들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정책과 환경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bjective concentra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air pollution on happiness, mainly in Incheon. For this, it used the data from social indicators of Incheon and using the data of six major air pollutants(PM10, PM2.5, NO₂, SO₂, CO, O₃) measur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ir Korea’ in 2019.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show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happiness. The regional level variabl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 higher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and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s, the higher the happiness. Finally, which considered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objectiv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In particula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fine dust(PM10) tended to decrease happiness. Also, the higher the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β=.5370, p<.001), the higher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β=.5858, p<.001), and the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s(β=.3558, p<.001) showed a high tendency of happ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and environmental policie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itizens in Inche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59-001101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