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7.22
3.143.17.22
close menu
KCI 등재
서남해안 어촌의 갯벌이용형태와 지속가능한 어업 : - 갯벌세계유산 신청지역을 중심으로 -
Sustainable Fishing and the Different Uses of Tidal Flats in the Fishing Villages on Korea’s Southwestern Coast : - Focusing on the Tidal Flats That Are Recommended as Candidate for UNESCO World Heritage -
김준 ( Kim Joon )
남도민속연구 38권 7-40(34pages)
DOI 10.46247/NF.38.1
UCI I410-ECN-0102-2019-300-001385933

우리나라 갯벌은 한강 하구 경기만지역, 금강 하구 서천지역, 영산강 하구 서남해안 지역, 낙동강 하구 등에 발달했다. 이들 지역은 조차와 굴곡도가 크며 강 하구지역에 위치하고 배후에 다도해가 분포하여 갯벌 형성에 유리한 지형을 갖추고 있다. 이중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갯벌은 신안갯벌, 서천갯벌, 고창갯벌, 순천·보성갯벌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해당지역 어민들이 맨손어업으로 생업활동을 하는 공간이다. 맨손어업은 대규모 양식어업과 달리 단순한 도구를 이용한 소규모 생계형 어업이다. 마을주민들이 모두 참여해서 함께 이용하고 생산물을 나누는 공동체가 발달한 곳이다. 뿐만 아니라 당산제, 갯제, 풍어제 등 독특한 마을의례가 발달한 곳이 갯벌어업에 기반 한 것들이다. 사례지역은 여자만, 곰소만과 같은 폐쇄형 ‘만갯벌’과 신안 다도해처럼 개방형 ‘섬갯벌’로 구분할 수 있다. 폐쇄형 갯벌은 펄갯벌이 개방형 갯벌은 모래갯벌이나 혼합갯벌이 발달해 있다. 폐쇄형 하구인 순천·보성의 경우 펄갯벌이 발달해 꼬막, 가리맛이 서식하고, 혼합갯벌이 발달한 고창 곰소만은 바지락양식이 활발하다. 신안 다도해는 펄갯벌에 낙지, 갯골을 따라 김양식이 발달했고, 신안의 섬지역은 염전업이 활발하다. 또 유부도는 모래갯벌이 발달해 백합이 서식하며 도요새류나 물떼새류가 많이 찾는 곳이다. 이들 지역의 지속가능한 갯벌어업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남획, 밀식, 왜곡된 갯벌체험, 주민들의 갯벌가치 공감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도, 등재되고 나서 보전 및 관리계획의 수립에서도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직접적인 자원의 증식이나 양식보다는 금어기, 금어구역, 서식환경 개선 등의 소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인위적으로 치패를 투입하는 방법보다 적절하다. 또 잡는 어업 중심으로 갯벌체험이나 수산물축제의 개선과 낚시면허제 도입 등도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사라질 위험에 있는 어패류나 해조류의 보존방안, 미세플라스틱 문제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는 어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의 참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국가중요어업유산과 연계한 보전과 관리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슬로피시 운동과 연계한 국제연대도 추진되어야 한다. 갯벌어업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 마을어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가치를 생태계서비스차원에서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세계유산에 등재하려는 갯벌의 생태계, 어촌문화, 마을어업이 지속될 수 있으려면 어민들만의 노력이 아니라 슬로피시가 주창하는 것처럼 소비자들도 공동생산자로 참여해야 한다.

In Korea, tidal flats can be found in the areas of the Han River estuary in Gyeonggi Bay, the Geum River estuary in Seocheon, the Yeongsan River estuary in the southwest offshore, and around Nakdong River. With a high tidal range and sinuosity in addition to being located at an estuary with archipelagos behind, these areas possess favorable conditions for developing tidal flats. Among these tidal flats, Sinan Tidal Flats, Seocheon Tidal Flats, Gochang Tidal Flats, Boseong-Suncheon tidal flats have been recommended to be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Local residents work at artisanal fisheries on these tidal flats. Unlike large-scale commercial fisheries, an artisanal fishery is a small-scale fishery where fishermen incorporate traditional fishing craft with hand-held equipment to support their livelihood. Tidal flats not only serve as a major source of livelihood but have an important place in the local communities as a hub for networking and trading and for their contribution to creating a unique local culture. Village rituals such as Dangsanje, Gaetje, and Pungeoje have all originated from these tidal flat fishing practices. The aforementioned tidal flats can be differentiated between sheltered embayed tidal flats such as Yeoja Bay and Gomso Bay and exposed island tidal flats such as the Sinan Archipelago. Sheltered tidal flats are muddy whereas the exposed tidal flats can be sandy or mixed. Cockles and razor clams can be found in the muddy flats of the Boseong-Suncheon Tidal Flats that are situated at an estuary. Manila clams are cultivated on farms in the mixed flats of the Gochang Tidal Flats and Gomso Bay. In the Sinan Archipelago, whip-arm octopi are harvested in the muddy tidal flats while seaweed farms are developed along the tidal creek and channels and salt evaporation ponds on the shoreline. Moreover, a haven for shorebirds and plovers, Yubudo Island’s sandy tidal flats provide excellent habitat for Asian hard clams. The sustainability of these tidal flats is now being threatened by overfishing, overcrowding, unregulated eco-tourism, and the residents’ indifference to the value of the tidal flats. These threats must be recognized and overcome in order for the Korean tidal flats to be listed as a World Heritage and must be seriously considered when developing plans fo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when they become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Passive approaches such as area and time restriction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re deemed to be preferable to direct approaches such as resource propagation or farming, while improving the health of the habitat should be prioritized to the artificial placement of spats. Different types of fishing other than hand-gathering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by promoting seafood festivals and implementing a fishing license. In addit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concrete measures to protect endangered marine species and to reduce microplastics. Such measures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all consumers and not simply the fisherme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in line with the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must be achieved in conjunction with the Slow Fish campaign. Enhancing the brand value for local small-scale fisheries by focusing on their importance in the ecosystem can be an excellent way of raising the value of the tidal flats. To sustain the tidal flats’ ecosystem and the unique culture of the fishing villages that are the basis of being recommended for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listing, consumers must actively participate and perform their roles as co-producers as advocated by the Slow Fish campaign.

1. 서론
2. 서남해안 갯벌의 이용형태와 세계유산 추진
3. 서남해안 어촌 갯벌어업의 지속가능성
4. 갯벌어업의 위협요인과 개선방안
5. 결론, 지속가능한 어촌과 어업을 위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