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CLSM) for managing inorganic sludge generated during aggregate extraction and production processes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LSM incorporating inorganic sludge were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unit binder content and mixing factors. Analysis of the inorganic sludge revealed that particles smaller than 75 μm constituted approximately 85 % and were classified as low plasticity clay (CL). The fluidity and resistance to material segregation in the CLSM utilizing inorganic sludge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olid content ratio of the cement composite. The blending conditions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fluidity, material segregation resistance,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s specified by ACI Committee 229 were attainable with a unit binder content of 160 kg/m³ and a water-to-binder ratio of 475 %.

목차

ABSTRACT
1. 서론
2. 실험계획 및 방법
3. 실험결과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