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도시설계 제도가 도입되고 상업화 시설이 확대되면서 프라임 오피스 저층부의 공간구성방식이 변화하였다. 변화된 공간구성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서울의 대표적 중심업무지구인 종로구와 중구 일대의 프라임 오피스 20개 동을 선정하였다. 문헌 조사, 현장 조사 및 도면 분석을 통해 프라임 오피스의 저층부 공간구성방식을 살펴보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업무시설과 업무 외 시설의 진입 공간을 분리하고 대중교통과의 직접연결 방식을 다양화하여 접근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1층 외부 공간의 비율과 내부 공개 공간의 비율을 확대하여 개방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기존 도시조직과의 연결 및 내 · 외부 공간 간의 연결을 통해 연계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대형 업무시설의 저층부를 공공성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형 오피스의 공공성과 관련한 정책수립 및 기성시가지에 대형 오피스를 계획하는 경우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urban design system and the expansion of commercialization facilities, a space construction method of lower part of prime offices has changed.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space has changed, this paper looked at 20 prime offices in Jongno-gu and Jung-gu, Seoul’s business district. By documenting previous research works, field research, and drawing analysis, the method of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prime offices was grasped and its characteristic was examined. The paper concludes that as the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the lower part is diversified, the lower part of prime offices are securing public interest in terms of accessibility, openness, and connectivit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prime office has been viewed three-dimens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public interest, and it can serve as a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public nature of large offices and planning large offices in existing urban areas.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분석 방법
4. 프라임 오피스의 저층부 공간구성방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39-000883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