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특성이 도시 열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특성은 인구규모, 인구밀도, 집중도와 군집도, 토지이용혼합도, 녹지면적의 여섯 가지 지표로 측정하였다. 또한 도시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투수면적, 자
연적 요소인 풍속, 강수량을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68개 도시에 대해 9년(2005~2013) 동안의 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높은 인구밀도와 불투수면적은 도시 열지수를 높이는데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도와 군집도는 도시 열환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그 결과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중심지역을 높은 집중도와 군집도로 고밀 개발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에 긍정과 부정적 영향을 복합적으로 나타낸다. 반면, 중심지역 외에서의 저밀개발은 도시 열지수를 낮추나, 이 지역에서 산발적 분산적 고밀개발을 나타내는 낮은 군집성은 도시 전체의 열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풍속과 강수량은 도시 열환경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도시중심지는 고밀개발을 지향할 지라도 그 외 지역은 저밀개발을 통해 혼잡과 밀집을 줄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
며, 이와 함께 불투수면적을 축소시키고, 충분한 투수공간, 바람길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ompact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Compact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ccording to six indicators, population size, population density, concentration, clustering, land use mix, and green space. The models considered impervious surface, rainfall and wind spe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panel analysis of 68 cities from 2005 to 2013 indicated that high population density and impervious surface area considerably increased the heat index. The concentration and clustering of development demonstrated different effects on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Concentrated and clustered development in the urban center had both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heat index. Low-density development in areas outside the center reduced urban heat; however, low-clustered development exacerbated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increasing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reduced the heat. The findings suggest that a compact urban form with high-density development in the center and relatively low-density development outside the center is recommended to enhanc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Green space, a pervious surface, and the wind path must be more seriously considered in urban planning for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특성이 도시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39-001806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