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해양산업은 새로운 부가가치산업 및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항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해외 선진항만들도 앞 다투어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수익창출과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과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어떤 해양산업이 비교우위에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해양산업클러스터를 통한 집적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류를 중심으로 한 원자재 처리와 함께 컨테이너 처리, 중국과 카페리 항로 개설을 앞두고 있는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해양산업 분류에 대한 기존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해운·물류업, 조선업, 수산업, 해양관광업, 기타업 5개의 대분류와 21개 중분류, 84개 소분류로 해양산업을 재분류하였다. 재분류한 해양산업을 기준으로 입지계수와 변이할당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충남의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결과, 입지계수 분석에 있어서 수산업이 1.7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해양관광(1.092), 조선업(0.823), 해운·물류업(0.789)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충남지역 해양산업의 총 성장효과는 36,315명으로 나타났고 국가성장효과를 제외한 순성장효과는 21,321명으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충남지역 해양산업 중 비교우위, 비교열위에 있는 산업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충남지역 해양산업클러스터 구축 시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aritime industry is recognized as a new value-adding and growth engine industry. It provides high value by creating clusters centering on ports. Advanced international ports are also clashing ahead to create clusters, boost profi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and upbringing of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in 2015.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maritime industry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each region and to establish an integration strategy through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which is expected to deal with raw materials(mainly oil products), container throughput, and opening of ferry route with China’s port. The study analyzed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maritime industry and classified the industry into 5 major categories, 21 sub-categories, and 84 sub-categories in shipping and logistics, shipbuilding, fishery, marine tourism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Based on the reclassified maritime industry,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was analyzed by using location quotient(LQ) and Shift-Shar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fisheries industry showed the highest value(1.718) in the analysis of LQ, followed by the marine tourism industry(1.092), shipbuilding industry(0.823) and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0.789). The total effect of the maritime industry in Chungnam province was 36,315 and the net growth effect, excluding the national growth effect, was estimated to be 21,321. Based on these results, we classify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as comparative advantage and comparative disadva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ritime industry cluster in the Chungnam province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분석
Ⅲ. 해양산업 개념 및 분류
Ⅳ.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23-00315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