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선회식 무화염 로의 연소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연료 유량, 당량비를 변화시키며 실험과 화학평형 계산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당량비 0.59 이하에서는 연소불안정이 발생하였고, 0.59 이상에서는 안정적 무화염 연소 현상을 보였다. CO 배출은 로 평균온도가 낮아지면 높아졌고, 당량비 1 이하에서는 최대 10 ppm@3%O₂을 보였다. NO 배출은 로 평균온도와 분위기 산소농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기존 화염연소와는 다소 다른 당량비 0.7~0.8 범위에서 배출량이 가장 높았다. 이는 기존 화염연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면서도 최고 NO 배출 당량비 영역이 낮아짐에 의해 열효율이 좋은 당량비 0.9 근처에서 CO와 NO를 동시에 줄이는 최적의 운전조건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experiments and chemical equilibrium calculations were performed by varying the fuel flow rate and stoichiometric ratio to evaluate the combustion stability of a swirling flameless furnace.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combustion instability occurred below the stoichiometric ratio of 0.59, and stable flameless combustion was observed when the stoichiometric ratio was above 0.59. Furthermore, CO emissions increased a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urnace decreased. However, when the stoichiometric ratio was less than 1, the maximum was 10 ppm@3%O₂. NO emission was influenced by the average furnace temperature and oxygen concentration. The emission was the highest in the range of 0.7 to 0.8, which was slight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lame combus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an optimal operating condition, which is known to have good thermal efficiency in general, to simultaneously reduce CO and NO at a stoichiometric ratio of approximately 0.9.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실험
3. 화학평형상태 모델
4. 결과 및 토의
5.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