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 13(4).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양수업의 팀기반학습에서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팀만족도와 개인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on Team Satisfaction and Individual Academic Achievement in Team-Based Learning of General Education

본 논문은 교양교육에서 팀기반 학습을 효율적이며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팀만족도와 개인의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서울의C대학에서 2020년 2학기<창의와소통>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들(n=106)를 대상으로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팀효능감은 개인성과와 유의하지만,지각된 태만은 개인성과와 유의하지 않아서 팀효능감이 지각된 태만보다 개인성과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팀효능감 중 팀의 과제기여 확신도는 가장 영향력 있는 중요한 팀효능감으로 확인되었다.본 연구는 표준집단의 계열별,성별 분석을 하여 팀효능감,지각된 태만,팀만족도,개인의 학업성취도가 집단별로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연구 결과, 첫째,여학생들보다 팀효능감이 더 높았던 남학생들이 팀만족도와 개인의 인지된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이는 팀효능감이 높으면 팀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둘째,인문사회계열보다 팀효능감이 더 높고 태만을 덜 지각한 이공계열 학습자들이 팀과 자신의 과제수행,팀과 자신의 역량발휘에서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팀효능감이 높고 지각된 태만이 적으면 더 헌신적으로 팀활동을 한다는 가설을뒷받침한다.셋째,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두선행연구(유지원,2014;좌현숙,2020)와는 다르게 유의하지 않았다.이것은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의 차이나 팀원들 간의 친밀도의 차이 등 다른 제3의요소가 작용하여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차후 후속 연구에서는 팀효능감, 지각된 태만,개인성과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실제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전략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nd interaction effect of each variable from 106 students to examine how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affect team satisfaction and individual academic achievement in team-based learning of general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but perceived loafing was not significant to learning outcomes. Gender analysi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team efficacy and rated higher in team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females. This suggests that higher team efficacy leads to higher team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analysis by majors,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who showed higher team efficacy and lower perceived loafing rated higher in task performance and ability both by their team members and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when team efficacy is higher and perceived loafing is lower, learners are more dedicated to team assignments. In this study,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on learning outcomes was not significant unlike in the two previous studies (Yu Ji-won, 2014; Jwa Hyun Suk, 2020). It might be because of other factors, such as differences in intimacy among team members and learner perceptions between major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In future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hould be identified from a more multifaceted perspective, with th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와 논의

5. 결론과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