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6-8380

전문경영인연구, Vol.23 (2020)
pp.207~231

DOI : 10.37674/CEOMS.23.1.12

온라인 광고가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상조서비스 회사의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송호진

(강남대학교 경영대학 박사과정)

허남일

(강남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상조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점차 커지고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른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전개되어오고 있다. 최근 상조서비스의 마케팅활동과 광고에 있어 유명인 모델을 기용하거나, 타깃대상을 젊은층을 대상으로 광고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정작 상조서비스의 실소비자인 소비자에 관한 연구 특히나 상조서비스 마케팅활동 의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재한 현실이다. 상조서비스의 보다 안정적인 수익창출과 상조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 등을 이끌어내는데 있어 마케팅활동은 매우 중요하며, 광고는 이를 대표하는 도구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상조회사 광고특성이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태도 및 상조서비스 구매의도에 미치 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성인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가설 1>의 결과 상조회사의 온라인 광고특성 가운데 ‘정보성’, ‘성가심’, ‘신뢰성’, ‘상호작용성’ 해당 4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세부적으로 ‘정보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세 요인 은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파악되었으며 ‘성가심’의 경우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연구가설 2>에서는 사전 동의와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 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사전 동의는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 태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검증되었다. <연구가설 3>에서는 인센티브와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 태도 간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인센티브는 상조회사의 온라인 광고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검증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조회사 온라인 광고의 특성 가운데 ‘정보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증진시키되 반대로 ‘성가심’요인은 최소화 할 수 있는 광고전략이 상조회사 광고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이는 최종적으로 상조서비스 이용의도로 연결된다는데 있어 상조회사의 마케팅전략 개발에 보다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Onlin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Ho-Jin Song

Nam-il Huh

As the size of the funeral service market has gradually increased and consumer demand has increased,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Al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 awareness of marketing activities for funeral services are limited. Marketing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in leading more stable profit generation of funeral service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funeral services, and advertisi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and attempted to structurally verify the influence of th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services industry on the online advertising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funeral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45 adults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as demonstrated that the four factors of 'informativeness', 'annoyance', 'trustworthiness', and 'interactivity' among onlin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f funeral servi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detail, three factors, 'informativeness',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ere found to be positive variables affecting the attitude of online advertisements for funeral services, and 'annoy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I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consent and online advertising attitudes of funeral servic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demonstrated that prior consent was a variable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online advertising attitudes of funeral services. In tried to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entives and attitudes of online advertis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incentives wer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online advertise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advertising strategies that promote 'informativeness',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dvertising of funeral services, however can minimize 'annoyance' factors,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of funeral services It is thought that this will lead to a mor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arketing strategy of a funeral industries in that it will eventually lead to the intention to use a funeral services.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784]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16길 10 서석빌딩 2층   
사무국: TEL 02-529-5102     ceoa2010@daum.net
편집국(논문투고관련): TEL 010-8973-9873     ceoajournal@naver.com
Copyright 2015 The Korea CEO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
관련사이트
국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