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바람직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의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핵심과정(내용-활동)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는 비판적·심미적·체계적·전략적 사고역량, 정체성·장소감 인식역량, 비지배 자유 보장역량, 사회적 상호관계성 인정역량, 환경정의·사회적 형평성 실천역량 등 5개의 핵심역량 함양에 집중하는 실제적인 교과로 달라져야 한다. 둘째, 민주시민 사회 형성을 의도하는 도덕 및 사회과는 과목통합적(도덕일사, 역사지리, 일사지리) 접근을 지향하여, 공통과목 사회과(도덕윤리, 일반사회, 역사, 지리) 내용을 정치생태, 경제지리, 문화역사, 사회윤리 영역으로 재편하고 정의로운 전환을 추구해야 한다. 셋째, 학생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 핵심 개념을 기후정의, 상품화, 장소감, 국토 인식→ 정체성, 상호존중, 행복, 평화와 통일→ 생활안전, 주민 자치, 성실과 배려, 정의와 책임→ 소비자 주권, 에너지 자립, 문화와 전통, 지구촌 시대→ 갈등 해결, 국제 협력, 협력과 경계, 상호의존→ 사회 개혁, 역사의식→ 자연의 권리, 지속가능성, 국가·인간·생태 안보→ 기본 소득, 4차 산업사회, 대중 매체, 인권과 공동체 순으로 배울 수 있다. 넷째, 학생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기본 과정),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심화 과정) 두 주기에 걸쳐 핵심 개념과 관련된 학습 주제를 분석, 예상→ 비교, 관련→ 토론, 변화→ 계획, 행동, 반성 순으로 단계적이고 순환적으로 배우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성을 기를 수 있다(그림 4).

This theoretical paper delves into key competencies and processes (contents-activities) of social studies to support students’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to a preferable future. The author discusses the following point. First, social studies must transform into a practical subject which is focused on cultivating key competencies in critical thinking, esthetics, systemic analysis, and strategic thinking as cognitive and affective competencies. Combined with a strong identity and sense of place, the new focus will build towards competency in civic pursuits regarding freedom as non-domination, social reciprocity, and practical competency seeking environmental justice and social equity. Second, in order to promote a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a just transition, the moral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must reorganize their contents into political ecology, economic geography, cultural history, and social ethics. The overall outcome would be to unify ‘social studies as a common subject’ throug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cluding civics responsibility, moral judgement,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geography. Third, during processes for transitions to a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justice and equity, students will engage in key concepts such as climate justice, and attachment to place, among several content conceptualizations shown in Figure 4. Fourth, key processes will permit students to transition through systemic principles of learning (analysis and expectation→ comparison and relation→ discussion and change→ planning, action, and reflec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회과 핵심역량 접근법 및 내용 영역의 재편성
Ⅲ. 사회과 내용 지식의 체계화 및 구체화
Ⅳ. 사회과 학습활동의 상세화 및 계열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74-00015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