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에서는 한국의 종교 인구를 조사하는 인구센서스의 측정방식이 서양의 종교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서양에서 발전해 온 제도 종교의 규모를 측정하는 데는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유교와 같은 동양 종교 인구 규모를 측정하는 데는 한계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측정 방식은 한국 종교 지형을 제대로 살펴보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사방식이 제도 종교의 성장에는 유리하게 작용하는 반면 제도 종교로 발전하지 못한 종교에는 불리하게 작용하여 한국 종교 지형 형성에 다시 영향을 끼쳤다. 현재 한국 종교지형은 개신교, 천주교, 불교 등 제도 종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교는 한국 종교 지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교 지형은 일제 시대 실시되기 시작한 공인 정책을 포함하여 이후 지속된 제도 종교 중심 정책과 관련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종교 조사 방법으로 인해 유교 종교성이 가족주의나 경제주의 등을 통해 한국의 문화 구조와 개인의 인성구조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유교 종교성이 제대로 분석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종교 지형을 분석하기 위해 유교 종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조사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Census"s religious measurement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religious landscape. Because these measurements were developed to measure institutional religions in Western countries, they are not appropriate measures of non-institutional religions that are prevalent in Korea, such as Confucianism. These measurements have also influenced the change of religious landscape of Korea because it has been advantageous to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religion. The current religious landscape, which centers on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Buddhism, was influenced by the policy of the officially recognized religion of Japan which was exercised to control Korean religions during the colonization period.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xcluded Confucianism from official recognition. This paper argues that Confucianism has not been measured properly even though it has an effect on Korean culture and individuals in the form of cultural forces, such as familism and economism. The paper claims that there is a need to devise alternative measurements that accurately gauge Confucianism"s impact on the Korean religious landscap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한국의 종교 인구
3. 한국 종교 지형과 제도 종교
4. ‘공인종교’ 제도의 형성
5. 한국 제도 종교와 유교
6. 나가는 글
참고문헌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00-003102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