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Q방법론을 활용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Field Trai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eachers Using the Q Methodology

  • 59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부장교사 대상 연수에 참여한 부장교사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선별된 Q표본을 7점 척도의 정규 분포 형태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Qmetho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베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을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유형 차이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유형이 분류되었다. 1유형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실습생을 학생으로 규정하고, 현장실습을 학교 교육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는 교육적 가치 강조형, 2유형은 현장실습의 가치를 업무수행을 통한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두는 직업기초능력 강조형, 3유형은 현장실습생을 학생으로 규정하지만 현장실습을 통해 취업 기반을 마련하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직무능력 강조형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field trai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eachers by using Q methodology. In this study, P-sample was composed of 30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he selected Q samples were arranged in the normal distribution form of 7 point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hrough varimax rotation using PQmethod program.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ognition types in field training. Type 1 is defined as a student who participates in field training, educational value emphasized type which regards field training as an extension of school education, and type 2 is to emphasize the value of the field training by emphasizing the basic skills of the profession, 3 type defines the field trainee as a student but emphasizes the ability to improve the job ability by establishing a base of employment through field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field training a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