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프랑스민법상 방문권 - 방문권자(면접교섭권자)의 범위를 중심으로 -

Visitation Rights of Grandparent etc. in French Civil Law

국제법무
약어 : -
2020 vol.12, no.2, pp.147 - 187
DOI : 10.36727/jjilr.12.2.202011.006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35 회 열람

프랑스의 방문권에 관한 법 상황은 변화되어 왔으나, 방문권의 권리주체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논할 수 있는 법 개정의 기준은 점차적으로 子의 이익이나 子의 권리보호에 있었다. 즉 방문권이 인정된 초기에는 방문권을 방문하는 측의 권리로서만 구성되었으나, 최근의 방문권은 子의 권리이거나 방문권자와 子의 상호적 권리라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특히 이와 같은 변화는 1989년의 UN 아동권리협약 및 2000년 공포된 유럽연합 기본권 헌장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유럽인권법원 또한 면접교섭권을 판단함에 있어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이익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아동의 복리에 우위를 두고 있다. 아동의 복리는 사실상 가족 유대관계를 형성했던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들의 면접교섭권을 인정한다. 즉 유럽인권법원은 이를 기초로 하여 부모든 부모 이외의 자이든 일반적으로 가족 유대 관계를 지속하게 하는 것이 아동의 복리에 부합한 것으로 보며, 그 관계는 혈연과는 무관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영향으로 프랑스를 비롯하여 유럽의 다수 국가가 점차적으로 면접교섭권자의 범위를 더 확대하고 있다. 우리민법이 최근 개정으로 직계존속에까지도 면접교섭권을 인정하는 예외규정을 두고 있으나 해석으로 그 범위를 넓히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명문규정만을 놓고 본다면, 다른 나라에 비하여 협소하다. 장기간에 걸친 프랑스 내에서의 면접교섭권자의 범위와 관련한 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면접교섭권자의 범주를 원칙적으로 좁히고 예외적으로 그 범주를 넓히기보다는 원칙적으로 그 범주를 넓히고 예외적으로 좁히는 방식이 자녀의 권리로서의 면접교섭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한다. 향후 우리민법의 개정시에 이러한 태도가 수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lthough the provisions on the visitation rights have been changed under the French Civil Law, the standard for amendment of the law that can be discuss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subject of the right to visit was gradually in the interests of the child or the protection of the child’s rights. In other words, in the early days when the visitation rights was recognized in France, it consisted only of the right of the visitor, but in recent years, the position that the visitation rights is the right of the child or the mutual right of the right to visit and the child dominates. In particular,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believes that continuing family ties irrespective of blood ties is suitable for the welfare of children, and due to this influence, France and many other European countries are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Act, there are exceptions that allow for the visitation rights of grandparent, but apart from expanding the scope by interpretation, it is narrower than other countries in terms of prestigious regulations. As can be seen through a long-term amendment to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in France, the method of broadening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in principle and narrowing them to the exception substantially guarantees the visitation rights as a child’s right. I look forward to the acceptance of this attitude in future amendment of the Korean Civil Act.

면접교섭권(방문권), 조부모의 방문권, 제3자의 방문권, 프랑스민법, 자녀의 복리
visitation rights, visitation rights of grandparent, visitation rights of a third person, French Civil Law, the welfare of children

  • 1. [학술지] 곽민희 / 2013 / 프랑스법상 조부모의 방문권(droit de visite) / 가족법연구 / 27 (3) : 177 ~ 3 kci
  • 2. [학술지] 김보람 / 2020 / 부모 외의 자의 면접교섭권 ―유럽인권법원의 결정을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 34 (2) : 47 ~ 2 kci
  • 3. [학술지] 서종희 / 2020 / 면접교섭권자의 범위확대를 위한 해석과 그 한계 ―일본민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 34 (2) : 1 ~ 2 kci
  • 4. [단행본] 신영호 / 2018 / 가족법강의 / 세창출판사
  • 5. [학술지] 안문희 / 2019 / 프랑스민법상의 면접교섭권 / 가족법연구 / 33 (1) : 209 ~ 1 kci
  • 6. [단행본] 윤진수 / 2018 / 친족상속법 강의 / 박영사
  • 7. [단행본] 윤진수 / 2015 / 주해친족법 제1권 / 박영사
  • 8. [학술지] 최민수 / 2018 / 독일법상 조부모 이외의 제3자의 면접교섭권에 관한 법적 고찰 -면접교섭권자의 범위에 관한 독일민법과 비교를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 22 (1) : 221 ~ 1 kci
  • 9. [학술지] 현소혜 / 2015 / 조부모와 계부모 기타 친족의 면접교섭권: 해석론과 입법론 / 가족법연구 / 29 (2) : 1 ~ 2 kci
  • 10. [학술지] H. Bosse-Platière / 1997 / La présence des grands-parents dans le contentieux familial / JCP
  • 11. [단행본] F. Boulanger / 1994 / Droit civil de la famille, t. 2
  • 12. [단행본] D. Bourgault-Coudevylle / 2000 / Les relations de l’enfant avec d’autres personnes que ses père et mère / Droit et Patrimoine
  • 13. [단행본] A. Colin / 1923 / Cours élementaire de droit civil français, t. Ⅱ
  • 14. [단행본] C. Colombet / 1971 / Commentaire de la loi du 4 juin 1970 sur l’autorité parentale
  • 15. [단행본] P. Courbe / 2017 / Droit de la famille / Sirey
  • 16. [학술지] A. Gouttenoire / 2014 / Les droits de l’enfant / R.I.D.C. / 66 (2)
  • 17. [단행본] Pierre-Antoine Fenet / 1827 / Recueil Complet des travaux préparatoires du Code civil, Du divorce, t. 9 / réimpression
  • 18. [단행본] Murad Ferid / 1987 / Das französishe zivilrecht Bd. 3
  • 19. [단행본] Hugues Fulchiron / 2002 / L’autorité parentale rénovée(Commentaire de la loi du 4 mars 2002 relative à l’autorité parentale(1)) / Rép. Defrénois
  • 20. [단행본] Walter Frenz / 2009 / Handbuch Europarecht, Band 4
  • 21. [학술지] J. Carbonnier / 1998 / JurisClasseur civ., art. 371 à 387 / fasc / 50
  • 22. [단행본] L. Gaston / 1941 / Essai sur le droit de visite sous la puissance paternelle / thése Poitiers
  • 23. [단행본] Thierry Garé / 1989 / Les grands-parents dans le droit de la famille
  • 24. [단행본] L. Garola-Giuglaris / 1965 / Le fondement du droit de visiter et d’héberger l’enfant
  • 25. [학술지] Marc Gomy / 1999 / Vers un devoir de visite et d’hébergement de parents ? / JCP
  • 26. [학술지] M. Gobert / 1971 / L'enfant et les adultes (À propos de la loi du 4 juin 1970) / JCP
  • 27. [학술지] P. Guiho / 1952 / Essai d’une théorie générale du droit de visite / JCP
  • 28. [단행본] Sabine Hohensinn / 2009 / Eltern haften für ihre Kinder
  • 29. [단행본] Hans D. Jarass / 2016 / Charta der Grundrechte der Europäischen Union
  • 30. [단행본] L. Josserand / 1927 / De l’esprit des droits et de leur relativité : théorie dite de l’abus des droits
  • 31. [단행본] M. De Juglart / 1938 / Les droits de puissance paternelle des ascendants / Rev. crit
  • 32. [단행본] Jean-Faustin Kamdem / 1996 / L'enfant et le droit de visite / Gaz. Pal
  • 33. [단행본] Thorsten Kingren / 2016 / Art. 24 GRCh / EUV・AEUV
  • 34. [단행본] Valérie Lacoste / 1997 / Contribution à une théorie générale du droit de visite en droit civil / RRJ Droit prospectif
  • 35. [단행본] R. Legeais / 1973 / L’autorité parentale : étude de la loi n°70-459 du 4 juin 1970 et des textes qui l’ont complétée / Rép. Defrénois
  • 36. [단행본] Maurice Marthaler / 1963 / Le droit de visite des parents séparés de leurs enfants en Suisse, en France et Allemagne
  • 37. [단행본] H. Mazeaud / 1995 / Leçons de droit civil / La famille
  • 38. [학술지] Nathalie Rexand-Pourias / 2003 / Les relations entre grands-parents et petits-enfants depuis la loi du 4 mars 2002 sur l’autorité parentale / JCP
  • 39. [단행본] / 1989 / Répertoire de droit civil(Dalloz encyclopedie juridique)
  • 40. [단행본] Marcel Planiol / 1952 / Traité pratique de Droit civil français, La famille, par Rouast, t. Ⅱ
  • 41. [단행본] P. Simler / 1972 / la notion de garde de l’enfant(sa signification et son rôle au regard se l’autorité parentale) / RTD civ
  • 42. [학술지] G. Sutton / 1972 / Du droit des grands-parents aux relations avec leurs petits-enfants / JCP
  • 43. [단행본] G. Viney / 1965 / Du droit de visite / RTD c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