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文化圈現行常用漢字字形比較

A Systematic Comparison of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254
  • DOIhttps://doi.org/1036523/HERC.2019.1.1.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500원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enter)
초록

본 논문은 2011년 대만교육부에서 공표한 『標準字與簡化字對照手冊』 중 4808개의 상용 표제자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한자에 대응되는 간체자와 2010년 일본 정부가 공표한 『常用 漢字表』 2136개의 자형들을 서로 비교 대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에서 현행 사용하고 있는 「한자」를 대조하는 데 있어 보다 깊은 이해가 있기를 기대한다. 분석 방법은 이 세 종류의 한자(표제자, 간체자, 일본신자체를 순서로 한다.) 자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따라 8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모두 동일한 자형이다. 예를 들어 「地/地/地」가 있다. 둘째로, 대만 자형과 중국 자형이 같은 것이다. 예를 들면 「收/收/収」가 있다. 셋째로, 대만 자형과 일본 자형이 같으면서 중국 자형과 다른 것이다. 예를 들면, 「赏/赏/赏」이다. 넷째로, 중국과 일본의 자형은 같으나 대만 자형과는 다른 것들이다. 예를 들어, 「医/医/医」이다. 다섯째로, 대만과 중국, 일본이 모두 다른 것이다. 「图/图/図」가 있다. 여섯 번째는 대만자형과 중국자형은 같으나 상응하는 일본 자형이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泛/泛/X」이다. 일곱 번째는, 대만자형과 중국자형이 다르고 대응하 는 일본 자형이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働」이다.
상술한 분류 방법에 따라 현행 삼국의 상용한자를 표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많은 대만의 자형들이 중국의 자형과 대응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 였다. 예를 들면, 「髮」글자와 「发」글자는 모두 간화자로 「发」를 사용하고 있다. 동시에 대만 자형과 중국 간화자 사이에 존재하는 「微别字形」를 검토하였다.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adopted in the Chinese writing system, which is a logograph ic system, in contrast with phonographic system in Semitic alphabet, which has been adopted in Arabic, Roman, and Cyrillic scripts. Chinese characters has also been borrowed and modif ied by China’s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orean, Japan and Vietnam during the past two thousand years, yielding variations. While the simplified characters are now used in mainland China since 1950s, the traditional full forms of characters remain to be used in Hong Kong, Macao, Taiwan and oversea Chinese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At the same time, Japanese has also recently created a set of new characters, which are distinct from both full forms and simplified forms of Chinese charact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hree-way systematic comparison of the commonly used Chinese charac ters in contemporary East Asia for the facili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and Japanese writing systems as a second language.

本文以台灣教育部2011年公佈的≪標準字與簡化字對照手冊≫中的4808個常用正體字為 基底, 比較其所對應的簡化字, 以及日本政府2010年公佈的≪常用漢字表≫2136個新字體字 形的異同, 希冀能對 「漢字文化圈」國家現行所使用的 「漢字」之異同有更深入的瞭解。 分析的 方法是把這三種漢字(依序為正體字, 簡化字, 日本新字體)依據字形的異同分為八類:一, 三 者皆同, 如 「地/地/地」;二, 正體與簡化相同, 但與新字體不同, 如 「收/收/収」;三, 正體與新 字體相同, 但與簡化不同, 如 「賞/赏/賞」;四, 簡化與新字體相同, 但與正體不同, 如 「醫/医/医 」;五, 三種皆不相同, 如 「圖/图/図」;六, 正體與簡化相同, 但沒有相對應的新字體, 如 「泛/ 泛/X」;七, 正體與簡化不同, 也沒有相對應的新字體, 如 「媽/妈/X」;八, 新字體中獨有的 「 和製漢字」, 沒有相對應的正體與簡化, 如 「働」。 依據上述的分類方法把現行常用漢字整理出 字形總表。 本文也針對多個不同正體字對應同一簡化字以表列出, 如正體字的 「髮」和 「發」都 簡化成 「发」, 同時簡單探討正體字與簡化字之間 「微別字形」的差異。

목차
ABSTRACT
Ⅰ. 引 言
Ⅱ. 正體字, 簡化字與日本新字體三者的異同與分類
Ⅲ. 多個不同正體字, 對應同一簡化字
Ⅳ. 結 論
Reference 參考文獻
中 文 摘 要
한국어 초록
저자
  • Pang-Yu Tsai(Graduate Institute of Linguistics,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 蔡邦佑
  • James H.-Y. Tai(Graduate Institute of Linguistics,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 戴浩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