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20.6
13.58.120.6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적 기업의 포용적 비즈니스 연구: 민-관 협력기반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Inclusive Business of Social Enterprise: Focusing on the Case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한준혜 ( Joon Hye Han )
중소기업연구 43권 1호 107-129(23pages)
DOI 10.36491/APJSB.43.1.5
UCI I410-ECN-0102-2022-300-000583963

포용적 비즈니스는 개발도상국의 빈곤층 사람들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 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회적 비즈니스이다. 포용적 비즈니스는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전통적으로 ‘원조’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온 빈곤층의 사람들을 시장기반의 경제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소득창출과 경제적 자립 등의 개발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발협력방식의 새로운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포용적 비즈니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도상국 빈곤층 시장의 다양한 장벽을 극복하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수익을 동시에 창출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포용적 비즈니스 모델과 유형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다중사례연구방식에 기반하여 민-관 협력을 통해 수행되는 사회적 기업의 포용적 비즈니스 17개 사례를 선정하여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지닌 특성과 비즈니스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민-관협력에 기반한 포용적 비즈니스의 가치제안 메커니즘, 가치창출 메커니즘, 가치확보 메커니즘별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빈곤층을 대상으로 사회적ㆍ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유형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포용적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Inclusive business is a social business that is promoted with the aim of supporting the economic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of poo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sive business is emerging as a new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 that can lead to development effects such as income generation and economic independence by engaging the poor, traditionally recognized as 'the target of aid' in term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market-based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considered how this inclusive business overcomes various barriers in the market for the poo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generates social values and economic return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nalyze inclusive business models and business types. And based on the multiple case study method, 17 cases of inclusive business of social enterpris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usiness models and the types of business. Through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value proposition mechanisms, value creation mechanisms, and value securing mechanisms of inclusive business based on public-private cooperation were derived. Also, how these inclusive businesses create social and economic values for the poor were analyzed. The findings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n inclusive business mode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IV. 분석결과
V.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