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74.205
3.22.74.205
close menu
KCI 등재
현장조사를 통한 경관가이드라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송도 1공구 공공주택지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Guidelines through Field Surveys - Focused on the Apartment Complex of Songdo District 1
김유림 ( Kim Yurim ) , 안예봄 ( Ahn Yebom ) , 주신하 ( Joo Shin-ha )
DOI 10.36466/KLC.13.2.8
UCI I410-ECN-0102-2022-500-000957045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경관가이드라인이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지는 경관가이드라인이 충실하게 작성된 IFEZ 송도 1공구 중 공공주택지구 15단지를 선정하였다. IFEZ 경관가이드라인 중 대상지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별 가이드라인, 중점경관관리구역 가이드라인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구대상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지도사이트의 로드뷰를 활용한 사전조사를 통해 중경, 원경에서 확인해야 하는 경관가이드라인을 파악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근경에서 확인해야 하는 가이드라인 적용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단지 전체의 가이드라인 적용여부는 3점을 기준으로 전체 단지 평균이 2.58점으로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이 잘 준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개 단지 중 중점경관관리구역에 해당하는 7개 단지에서 가이드라인이 더 잘 준수되고 있었다. 경관가이드라인 별 적용여부 분석결과 도출된 28개 가이드라인 중 9개 가이드라인은 전반적으로 잘 지켜지고 있었으나 5개의 가이드라인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각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지별로 가이드라인 적용에 대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단지별 상황에 따라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가 달라지기도 했으나, 가이드라인의 내용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편차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가이드라인에 대한 작성에 집중되었던 기존 연구와 달리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가이드라인의 실제 현장적용 현황을 파악하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만,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 판단에 주관적인 측면이 있으며, 연구대상도 적다는 한계가 있다.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 방지를 위한 절차를 보완하고 연구대상과 유형을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관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와 경관미와의 관계를 밝히는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향후 현장에서의 적용을 고려한 경관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xtent to which landscape guidelines are applied in the actual field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The study site is 15 apartment complexes in Songdo District 1 in which the landscape guidelines are faithfully suggested. Among the various landscape guidelines, the guidelines for each component and the guidelines for the intensive landscape management zones were analyzed whether they were well followed in the fil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using the online map, the Roadview, the landscape guidelines that should be checked in the middle and long distance views were identifi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to be confirmed in the near distance was reviewed through a field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of the overall complex was 2.58 points based on 3 points as to whether the guidelines were applied to the entire complex, indicating that the guidelines were well observed overall. Among the 15 complexes, 7 complexe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ve landscape management zones were better observing the guidelin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each landscape guideline, 9 of the 28 guideline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5 guidelines were not well followed. For each guidelin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uideline application for each complex.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diffe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omplex, but there were also deviations due to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field application of landscape guidelines through field surveys. However, there is a subjective aspect in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the guideline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is small. For more objective and gener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dures for preventing subjective judgment by researchers and to diversify research subjects and types. Also,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hould b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guidelines and the scenic beau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landscape guidelines considering future field application.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고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