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국내 롱런브랜드의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브랜드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브랜드 아이콘 관리를 중심으로

The Strategy of Managing Long-Run Brands for Korean circumstances: Brand Icon Strategy

상품학연구
약어 : JPR
2007 vol.25, no.3, pp.123 - 131
DOI : 10.36345/kacst.2007.25.3.011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연구분야 : 경영학
Copyright © 한국상품학회
45 회 열람

본 연구는 국내 100대 롱런(long run)브랜드들의 브랜드 자산 관리방법을 중심으로 롱런브랜드의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 시장에 적합한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국내 브랜드에 직접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나라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서 브랜드에 대한 개념의 도입이 늦은 편이어서 1990년대에 들어서야 브랜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 정착화 단계에 들어감에 따라 현재는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파워브랜드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역사가 짧았던 만큼, 브랜드를 하나의 생명체로 보고 그것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리하기보다는 실적위주의 브랜드 관리로 인하여 브랜드 단명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이는 곧 21C의 무한경쟁사회의 글로벌시장에서 국내브랜드의 위치를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하루에도 수십 개의 브랜드들이 새로이 생성되며 동시에 소멸되기도 하지만,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서 최종적으로 구매단계까지 이어지는 브랜드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오랜 기간 그 생명력을 유지하며 소비자와의 약속을 지키며 꾸준한 연구개발로 현대화를 시도하며 트랜드를 창출해 내는 롱런브랜드들이다. 브랜드의 최종 목표는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그 생명력을 유지하며 소비자의 기억 속에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 롱런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브랜드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전략위주의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이미 성공한 롱런브랜드들의 사례를 통하여 장수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롱런브랜드전략 수립 시에 지침으로 삼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One of the challenges in managing brands is the many changes that occur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The marketing environment evolves and changes, often in very significant ways. Shifts in consumer behavior, competitive strategies, government regulations, and other aspects of the marketing environment can profoundly affect the fortunes of a bran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he role of brand for distinction and existence for long-term. In 2004,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announced that 14 among 31 brands except foreign ones was 20 years long lasting brands according to the research for the brand power in the food and drinks industry. Thus, long-run brand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brand power, valuation of assets and consumer's attitude for purchase. Actually, this is the period when mapping out and making changes to our brand strategy are emphasized to firmly establish long-run brands not to follow the wake of ephemeral brands.At this point of time, this study will be important data for enterprises, marketers and designers who are focusing on brand management and guidance to establish long-run brand strateg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study for long-run brands will be continued and the more and the excellent brands are beloved by customers both at home and abroad over the long run.

브랜드 관리, 롱런브랜드, 브랜드 아이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brand management, long-run brand, brand icon, visual communication

  • 1. [학술지] 김성제 / 2006 / 현대 브랜드 경영 전략-이론과 실제
  • 2. [학술지] 김승범 / 2005 / 한국 최고의 브랜드
  • 3. [학술지] 김정현 / 2006 / 브랜드 자산 관리
  • 4. [학술지] 안광호 / 2005 / 전략적 브랜드 관리 2판
  • 5. [학술지] 여준상 / 2003 / 한국형 마케팅 불변의 법칙 33
  • 6. [학술지] 김승범 / 2005 / '한국의 장수브랜드' 연재물
  • 7. [학술지] 한국능률협회컨설팅 / 2007 / 제 9차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조사(K-BPI) 결과
  • 8. [학술지] Aaker / 1996 / Building Strong Brands
  • 9. [학술지] 이상민브랜드앤컴퍼니 / 2006 /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경영
  • 10. [학술지] Keller / 1999 / Managing Brands for the Long Run : Brand Reinforcement and Revitalization Strategies / 41 (3) : 102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