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위상수학적 데이터분석을 이용한 국악연구 Ⅰ -도드리와 수제천의 시김새를 중심으로-
Topological data analysis of Korean music I -Structural effects of Sikimse for Dodeuri and Sujechon-

첫 페이지 보기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opological data analysis(TDA) has recently been developed in the areas of data science. As TDA uses techniques from homology, it is known that TDA is efficient for analyzing the circular structures and patterns embedded in data. In our previous study(Tran et al., 2021) TDA was applied to study Korean music by constructing the music network of Korean music and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music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concept of overlap matrix. In this study, we used TDA to analyze the role of Sikimse for Dodeuri and Sujechon music. In our previous study, we defined the node as a two dimensional vector composed of the pitch and duration of the given note, but for the current study, we expanded it to a three dimensional vector as considering additionally the Sikimse symbol, whether it is applied or not to the given note. Through the analysis using TDA and overlap matrix, we showed that those music pieces with and without Sikimse, respectively, yield structural differences. In this presentation, we explain the methodology used for the study and provide various results.
한국어
최근 개발된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 방법은 데이터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순환하고 반복하는 형태를 찾아내고 분류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연구에서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악 데이터를 네트워크화하고 그 안에 담긴 위상적 구조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밑도드리 와 수제천을 이용하여 시김새가 음악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음의 높낮이와 음의 길이로 구성된 2차원 벡터로 네트워크의 노드를 정의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음의 높낮이와 음의 길이 그리고 시김새의 여부를 고려한 3차원 벡터로 네트워크의 노드를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김새를 고려한 음악과 시김새를 고려하지 않은 음악의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고 위상적 분석 방법을 통해 얻어진 중첩행렬을 이용하여 두 음악이 구조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본 발표에서는 연구에 쓰인 방법론을 소개하고 연구의 결과를 나열하며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을 기술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방법론-위상적 분석과 중첩행렬
Ⅲ. 음악 데이터
Ⅳ. 시김새 여부에 의한 비교분석
Ⅴ. 결론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

  • Tran, Mai-Lan [ 포항공과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
  • 최병찬 [ Choi, Byeong-Chan | 포항공과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 ]
  • 김명옥 [ Kim, Myung-Ock | 고등과학원 위촉연구원 ]
  • 정재훈 [ Jung, Jae-Hun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국악학회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 설립연도
    1948
  • 분야
    예술체육>음악학
  • 소개
    한국국악학회는 국악을 연구하여 음악학 및 민족음악의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1948년 4월 봄에 이혜구, 장사훈, 성경린, 이주환 외 15명의 발기로 발족하여 1963년 12월 14일 사단법인체로 인가취득한 이래 1) 국악의 연구발표 2) 국악 관계자료서 수집 3) 국악에 관한 전시회 및 강연회 개최 4) 국악에 관한 출판사업 5) 국내의 학계간 교류 등의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본 학회는 국악의 연구발표를 4000여회에 가까운 월례발표회를 가졌으며, 20회에 걸친 국악기 및 국악서적 전시회를 열고 3회의 신국악작곡 발표회를 가진 바 있다. 특히 학회에서는 1971년 한국음악연구 제1집을 발간한 이래 현재 제45집 출판에 이르렀으며, 30여종의 고악보 간행, 이혜구 박사 송수기념 음악학 논총, 장사훈 회갑기념 동양음악논총 등 30여권의 단행본을 출판하였다. 또한 1989년 제1회 국악학 전국대회를 열어 한국음악의 쟁점이 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전국규모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1975년 한·일간의 고려악 연구회를 발족시켜 일본의 음악학자들과의 공동연구로 심포지움을 개최하였으며, 1981년에는 국제전통음악학회(ICTM) 서울대회를 치뤄내고, 1994년에는 제1회 아시아 태평양 민족음악학회(APSE)를 서울에서, 1999년에는 제6회 아시아 태평양 민족음악학회(APSE)를 수원에서 성황리에 치뤄내는 등 외국학회와 교류에 힘써왔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음악연구 [STUDIES IN KOREAN MUSIC]
  • 간기
    반년간
  • pISSN
    1975-4604
  • 수록기간
    1975~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679 DDC 78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음악연구 제71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